-
그린에너지시장을 치고 나가는 AGL
- 경제·무역
- 호주
- 시드니무역관 최규철
- 2009-08-26
- 출처 : KOTRA
-
그린에너지시장을 치고 나가는 AGL
- 향후 10년간 A$ 70억 규모의 프로젝트 추진 예정 -
○ 호주 최대의 전력회사로 손꼽히는 AGL(Australian Gas Ltd, www.agl.com.au)은 향후 10년 동안 A$ 20억 규모의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개발할 것이라고 발표했음.
- AGL 내부에서는 최근 호주의회를 통과한 RET(Renewable Energy Target)가 호주 경제뿐만 아니라 AGL사에 있어서도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임.
○ 최근 새로 통과된 재생에너지 관련 법안에 따르면, 2020년까지 호주에서 생산되는 전체 전력량의 20%는 재생에너지로 충당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 호주 최대의 전력생산회사인 AGL사에는 이러한 변화가 새로운 전력생산 프로그램 개발의 촉진제가 되고 있음.
- 앞으로 10년간 호주 전체로 볼 때 A$ 약 200억~300억 규모의 새로운 재생에너지 프로젝트가 진행돼야만 호주 전력생산의 20%를 재생에너지로 채운다는 RET가 달성 가능함.
- AGL사가 이 중에서 A$ 70억 규모의 재생에너지 개발을 자체적인 목표로 삼은 것은 호주 전력시장에서 차지하는 AGL의 위상을 고려해보면 적정한 수치임.
○ AGL은 이미 재생에너지 법안이 통과되기 전부터 이러한 움직임에 발 빠르게 대응해 새로이 추진할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와 관련된 기본계획은 모두 수립해 놓은 것으로 알려짐.
- 이미 AGL은 A$ 규모의 프로젝트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마련돼 있다고 발표했음.
- 특히 AGL의 자체분석에 의하면 RET를 2020년까지 맞추기 위해서는 호주 전체적으로 4500개 정도의 풍력발전 터바인이 설치돼 9000㎿의 전력을 생산해야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AGL도 우선 풍력발전에 초점을 맞춰 프로젝트들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됨.
○ 현재 호주 전력생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석탄화력발전은 앞으로 그 입지가 점점 줄 것임.
- AGL은 일부 오래된 석탄화력발전소는 점차 운행을 중단할 것이며, 나머지 석탄화력발전소는 그 처리시설을 업그레이드시켜 지금보다 탄소배출량을 줄일 계획임.
○ 현재 사용 연료별로 구분한 호주의 전력생산구조를 보면 Black Coal과 Brown Coal이 각각 56.7%, 24.5%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고 천연가스, 수력발전, 석유가 그 뒤를 잇고 있음.(아래 그래프 참고)
자료원 : Electricity Supply Association of Australia(ESAA)
○ AGL사 역시 석탄발전에 의한 전기와 가스 공급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1차적으로 풍력발전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 현재 호주에는 총 42개의 Wind Farm이 운영 중이며, 추가로 6개의 Wind Farm이 건설 중인데 AGL이 참여한 프로젝트도 있음.
- 터바인 수로는 총 560개가 가동 중이며, 이를 전력량으로 환산하면 총 817㎿의 전력이 생산되고 있음.
○ AGL 외에 아래의 업체들이 호주의 풍력발전사업에 뛰어들었거나 큰 관심을 가지고 계획을 추진하고 있음.
- Acciona Energy(www.acciona.com)
- Air Ride Wind Pty Ltd.(www.airride.com.au)
- Babcock and Brown Wind Partners(www.babcockbrown.com)
- Keppel Prince Engineering Pty Ltd.(www.keppelprince.com.au)
- Pacific Hydro Ltd(www.pacifichydro.com.au)
- Roaring 40s(www.hydro.com.au)
- Stanwell Corporation(www.stanwell.com)
- Suzlon Energy Australia Pty Ltd.(www.suzlon.com)
- TrustPower(www.trustpower.co.nz)
- Vestas-Australian Wind Technology Pty Ltd(www.vestas.com)
자료원 : ESSA 등 관련 협회 및 현지언론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그린에너지시장을 치고 나가는 AGL)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호주, 태양광과 풍력이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개발 주도
호주 2020-11-11
-
2
[산업기술] 호주, 재생에너지 사용 및 폐기물처리 등 성장동력 전망
호주 2009-04-26
-
3
뉴질랜드, 지적재산권(특허권, 상표권) 등록 따라하기
뉴질랜드 2009-05-27
-
4
호주, 재생에너지 법안 통과로 국내업체 진출 길 열려
호주 2009-08-21
-
5
[정책] 호주, 탄소배출권거래제 도입 연기
호주 2009-05-06
-
6
[산업기술] 호주의 탄소포집저장 관련 추진동향
호주 2009-06-26
-
1
2025년 호주 프랜차이즈 산업 정보
호주 2025-06-12
-
2
2025년 호주 의류산업 정보
호주 2025-03-28
-
3
2024년 호주 광업 산업 정보
호주 2024-12-13
-
4
2024 호주 수소산업 정보
호주 2024-04-24
-
5
2021년 호주 광업 정보
호주 2022-01-04
-
6
2021년 호주 의료기기 산업 정보
호주 2021-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