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크라이나 2009년 상반기 FDI 22.4억 달러 늘어
- 투자진출
- 우크라이나
- 키이우무역관 최현필
- 2009-08-21
- 출처 : KOTRA
-
2009년 상반기 FDI 22.4억 달러 늘어
- 2008년 하반기 급감했던 외국인투자가 증가세로 반전 -
- 투자여건 개선 보다는 외국계 은행 모기업의 자본증액 참여 많아 -
키예프KBC 최현필
□ 2009년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 22.4억 달러 증가
ㅇ 우크라이나 통계위원회(State Statistics Committee)가 2009년 8월 20일 발표한 FDI 통계에 따르면 2009년 7월 1일 기준 우크라이나 투자누계는 379억 6570만 달러로 6개월 동안 22억 4230만 달러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남.
ㅇ 이는 2008년 하반기 투자증가액(-7억 2750만 달러)에 비하면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인 것이지만 전년동기(2008년 상반기)의 투자증가액 69억 6150만 달러과 비교하면 32% 겨우 수준에 그친 것임.
ㅇ 분기별로 투자증가액을 살펴보면 2008년 2/4분기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감소세를 보이다가 2008년 4/4분기에는 외환위기의 직격탄을 맞으면서 감소세롤 돌아섰지만 2009년부터는 신규 투자는 없지만 기존 계획되었던 투자가 일부 들어오고, 서유럽을 중심으로한 외국은행들이 우크라이나 자은행에 대한 자본확충(recapitalization)에 나서면서 증가세로 돌아섰음.
분기별 외국인직접투자 증가액 추이
(단위 : 백만 달러)
자료원 : 우크라이나 통계위원회(State Statistics Committee) 통계를 기초로 재가공
□ 국가별 외국인직접투자
ㅇ 최대 우크라이나 투자국은 사이프러스로 전체 외국인직접투자의 21%를 상회하며, 이어서 독일(17.2%), 네덜란드(9.8%), 오스트리아(6.6%), 영국(6.1%), 러시아(5.6%), 프랑스(4.1%), 미국(3.6%) 등의 순으로 나타남.
국가별 대우크라이나 직접투자(2009.7.1일, 누계기준)
(단위 : 백만 달러, %)
구 분
투자금액
비 중
합계
37,965.7
100.0
사이프러스
8,063.7
21.2
독일
6,530.9
17.2
네덜란드
3,717.1
9.8
오스트리아
2,490.0
6.6
영국
2,330.0
6.1
러시아
2,125.1
5.6
프랑스
1,573.2
4.1
미국
1,369.2
3.6
버진아일랜드(영국령)
1,323.7
3.5
스웨덴
1,259.1
3.3
이태리
919.7
2.4
폴란드
851.8
2.2
스위스
787.7
2.1
헝가리
615.6
1.6
기타 국가
4,008.9
10.7
자료원 : 우크라이나 통계위원회(State Statistics Committee)
ㅇ 사이프러스는 우크라이나의 최대 외국인직접투자 자본이 들어오는 국가이지만 우크라이나의 최대 해외투자대상국이기도 함에 따라 우크라이나 자본이 사이프러스로 갔다가 본국으로 다시 들어오는 것으로 추정됨.(우크라이나 해외투자진출의 약 93.5%가 사이프러스에 집중)
우크라이나의 해외투자진출(2009.7.1일, 누계기준)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해외직접투자액
비중
합계
6226,8
100,0
사이프러스
5820,2
93,5
러시아
137,6
2,2
폴란드
46,9
0,8
라트비아
31,8
0,5
그루지아
26,9
0,4
카자흐스탄
26,7
0,4
버진아일랜드(영)
20,8
0,3
기타 국가
115,9
1,9
자료원 : 우크라이나 통계위원회(State Statistics Committee)
□ 분야별 외국인직접투자
ㅇ 주요 투자분야는 금융, 부동산, 도소매, 건설 등과 같은 분야로 특히 금융부문은 주재국의 은행설립 요건이 타 국가에 비하여 엄격하지 않고, 은행에 대한 M &A도 많아 외국으로부터 투자금이 가장 많이 유입되었음.
ㅇ 2009년 상반기에도 외국 모은행의 우크라이나 자은행에 대한 대규모 자본 확충으로 금융부문 투자증가액이 8억 달러를 상회하면서 최대 투자부문으로 유지됨.
ㅇ 180개가 넘게 난립한 은행에 대한 구조조정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 은행간 통폐합은 물론 외국자본의 현지은행 인수합병도 활발해질 것 전망임.
분야별 투자통계(2009 1-6)
(단위 : 개사, %, 백만불)
분야
2008
2009 1-6
업체수
비중
금액
비중
금액
총계(누계)
17,887
100.0
35,607.1
100.0
37,965.7
금융
627
20.1
7,154.7
21.1
8,015.7
도소매
5,678
10.4
3,686.9
10.1
3,828.4
부동산
3,152
10.2
3,613.8
10.7
4,068.7
건설
1,188
5.4
1,936.7
5.3
2,005.9
식품가공
812
4.7
1,686.0
4.7
1,792.1
금속
326
3.8
1,356.3
3.7
1,406.0
운송.통신
1,206
4.0
1,411.2
3.8
1,442.6
기계
675
2.9
1,017.4
2.8
1,051.7
광업
218
2.8
1,010.1
2.8
1,046.2
화학
522
2.7
942.9
3.0
1,150.7
농업
655
2.3
808.5
2.2
839.9
호텔.식당
394
1.2
413.0
1.1
422.9
기타
2,434
29.5
10,569,6
28.7
10,894.9
자료원 : 우크라이나 통계위원회(State Statistics Committee)
□ 시사점
ㅇ 2009년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는 외국계 은행들의 우크라이나 자회사에 대한 자본증액 등으로 인해 일정 수준이 유지되었지만 자본증액이 마무리되고, 2010년 1월 대통령 선거를 의식해 외국인투자자들이 투자의사 결정을 대통령 선거 이후로 미루고 있어 외국인 투자는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사료됨.
ㅇ 다만 긍정적인 요인으로는 우크라이나 경기가 하락세를 지속하면서 자금난에 처한 기존 기업들이 매물로 나오고 가격도 외환위기 이전 보다 크게 낮아져 인수합병의 경우에는 대형거래가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임.
정보원 : 우크라이나 통계위원회, 현지진출기업 인터뷰, 기타 키예프KBC 보유자료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우크라이나 2009년 상반기 FDI 22.4억 달러 늘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사우디서 한국 플랜트업체 사상 초유의 수주실적 예상
사우디아라비아 2009-07-31
-
2
독일, 디지털캠코더 소형제품이 인기
독일 2009-06-30
-
3
태국, 피트니스산업 발전으로 운동기기 수요 증가
태국 2009-11-19
-
4
中, 외국인 부동산투자 추가 억제책 나올 듯
중국 2008-01-09
-
5
美 애플사의 3세대 아이폰 출시, 연간 1천만 대 판매 목표
미국 2008-06-13
-
6
멕시코 원자력 발전, 2026년까지 8개 원자로 신설 검토
멕시코 2009-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