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독일, 신재생에너지 유망품목을 파헤치다
  • 경제·무역
  • 독일
  • 함부르크무역관 김은경
  • 2009-08-03
  • 출처 : KOTRA

 

독일, 신재생에너지 유망품목을 파헤치다

- 태양광 모듈 및 장비 관련 품목 -

- 풍력 타워, 소형 풍력발전기 전망 밝아 -

 

 

 

□ 독일 신재생에너지 산업동향

 

 ○ 태양광(PV)산업, 경제우기 속 꾸준한 성장세 예상

  - 태양광산업은 독일 내 급성장하는 산업분야로 태양광 관련 독일 업체들은 자국 기술과 납품업체에 투자하고 있어 약 70%가 넘는 부가가치가 내수시장에서 형성됨.

  - 태양광산업은 지난 5년 동안 평균 매년 약 90% 증가율을 기록하며, 2008년 이 산업 매출은 총 70억 유로를 달성해 전년 대비 약 36% 증가했음.

  - 태양에너지는 향후 수십년 간 전력을 공급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 독일은행(Deutsche Bank) 조사에서 태양에너지산업의 성장세는 2010년까지 지속될 것이며, 2030년까지는 매년 두자릿수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함.

 

독일 태양광산업 매출현황

                      (단위 : 백만 유로)

연도

매출액

2000

201

2001

348

2002

264

2003

492

2004

1,645

2005

2,793

2006

4,451

2007

5,741

2008

약 7,000

자료원 : 독일 연방 태양광에너지협회

 

태양광산업

PV 관련 업체수(기술업체, 납품업체, 서비스업체 포함)

약 1만 개사

PV 관련 업체 중 Cell 생산업체, 모듈 생산업체,

시스템장치 생산업체

약 130개사

PV산업 매출(2008)

70억 유로

PV산업 수출지수(2004/2008/2020*)

14%/46%/70%

수출액(2004/2008/2010*/2020*)

2억 유로/37억 유로/60억 유로/180억 유로

주 : *BSW-Solar 예상지수

자료원 : BSW Bundesverband Solarwirtschaft

 

 ○ 풍력발전시장 안정세 유지

  - 2008년도 신규 설치용량 1665㎿(2007 : 1667㎿), 총 40.4bn kWh 전력을 생산, 이는 독일 남부지방인 Baden-Württemberg주에서 석탄 및 원자력 발전으로 생산하는 전력량의 절반에 해당됨.

  -풍력에너지 발전용량은 2008년 말 기준 2만903㎿로 전체 전력소비 중 6.6% 차지함.

  - 2008년 866개 풍력터빈 신규 설치가 이뤄진 것으로 이는 2007년 883개 대비 소폭 감소했음.

 

Share of renewable energies in total final energy consumption in Germany, 2007/2008

자료원 : 독일 연방 에너지협회

 

□ 신재생에너지 분야별 유망품목 및 우리업체의 마케팅 전략

 

  태양광에너지의 경우 모듈, 모듈 관련 부품 및 장비 등 다(多)품목 해당. 풍력에너지는 대형화 추세인 발전기에 적합한 강파이프식 타워 및 소형 풍력발전기를 들 수 있음.

 

분야

품목

태양광

태양전지 모듈

 

태양전지 부품, 인버터

 

태양광 자재 및 장비

풍력

타워

 

소형 풍력발전기

 

 ○ 태양광에너지분야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독일은 Enduser의 요구사항도 상당히 높은 편으로 가격경쟁력과 품질경쟁력을 갖춘 업체가 유리한 고지 점령

  - 모듈의 경우 경제위기 속에서도 수요량이 꾸준히 증가했으나 우리 업체들에는 모듈장비 또는 우수한 품질의 모듈부품 개발이 우선 과제라고 할 수 있음. 현재 많은 모듈 관련 부품 및 장비는 독일산 제품이 주로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중국 대비 월등한 품질 우수성과 고가의 독일산 제품 대비 가격경쟁력을 가진 우리업체들이 틈새시장을 노릴 경우 전망이 밝을 것으로 예상됨.

  - 태양전지분야는 2008년도 과잉공급으로 인해 현재 많은 모듈이 작년 대비 30% 이상 하락한 이유로 비싼 Q사의 태양전지보다 효율성 및 가격경쟁력이 높은 외국산 제품을 찾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음. 모듈의 가격하락세는 우리업체들의 독일 진출을 위한 발판으로 삼을 수 있는 호기임.

 

 ○ 풍력에너지 관련 유망품목은 대형 타워 및 소형 풍력발전기를 꼽을 수 있음.

  - 2008년에 독일에 신규 설치된 풍력발전기는 총 866대로 이 가운데 2㎿급 풍력발전기가 61%를 차지하고 있으며, 풍력발전기의 대형화가 진행되고 있음. 따라서 이에 적합한 강파이프식 타워의 주문과 생산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

  - 독일연방정부의 정책적 지원으로 2011년까지 1.5GW 발전용량의 해상풍력발전단지를 독일의 북해와 동해상에 건설해 향후 20~30년 안에 풍력발전용량을 20~25GW로 증가시켜 독일의 전체 전력공급량 비중을 15%로 높일 계획으로 해상풍력발전기용 결합형 타워시장의 전망이 매우 밝음.

  - 효율이 높은 소형 풍력발전기의 경우 설치량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임. 독일 내 소형 풍력발전기분야 대표적 업체인 Prevent사의 경우 500W 이하 소형 풍력 발전용량이 2008년 기준 3만7073W에서 2009년 상반기 발전용량은 2만7358W를 기록, 전년 대비 약 1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업체 관계자는 전망함.

 

독일 소형 풍력발전기 설치현황

     (단위 : kW, 유로)

풍력발전

발전용량

시중가격
(부가가치세 19% 포함 가격)

Superwind 350

0.350

1,250

AIR

0.4

약 700

Passaat

1.40

4,300(12m 탑)

5,310(18m 탑)

Antaris 3.6㎾

3.6

6,290(18m 탑)

WESpe

5.0

15,900(15.5m 탑)

Montana

5.6

9,595(12m 탑)

11,035(18m 탑)

12,140(24m 탑)

INCLIN 6000 neo

6.0

8,950(9m 탑)

AIRCON 10S

9.8

42,930(18m 탑)

50,980(24m 탑)

57,230(30m 탑)

자료원 : KOTRA 함부르크KBC 보유자료

 

 

자료원 : 독일연방 태양광협회, 독일연방 풍력협회, KOTRA 함부르크KBC 보유정보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독일, 신재생에너지 유망품목을 파헤치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