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산업기술] 친환경으로 가는 UAE
  • 경제·무역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주재원
  • 2009-07-22
  • 출처 : KOTRA

 

친환경으로 가는 UAE

- 탄소제로시티 MASDAR 프로젝트 등 노력으로 국제재생에너지기구 UAE 유치 확정 -

- 환경친화적시스템 지속 도입 중, 향후 관련 시장 성장 기대 -

 

 

 

□ 국제재생에너지기구 IRENA(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Agency) 본부 아부다비 유치결정

 

 ㅇ 지난 6월 30일 열린 국제재생에너지기구 IRENA(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Agency) 총회에서 IRENA 본부를 UAE의 아부다비에 유치하기로 결정

  - 2009년 1월 26일 전 세계적인 재생가능에너지 사용 활성화를 위해 설립된 IRENA는 129개 회원국이 재생에너지 사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구축하고 이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 주목적임.

  - 이번 IRENA 본부 유치의 경우 UAE로서는 처음으로 국제기구를 자국에 유치한 사례일 뿐 아니라 중동국가들 중 그동안 국제기구 본부를 유치한 국가가 없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음.

  - 무엇보다 UAE는 지금까지 환경문제를 야기하는 주범인 원유 수출이 주된 수입원인 국가였고 1인당 탄소배출량도 세계국가들 중 가장 높은 수준을 차지하는 국가였기 때문에 이번 IRENA 본부 유치는 UAE의 친환경 행보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

 

 ㅇ IRENA 본부는 아부다비에 현재 건설 중인 친환경 도시 마스다르시티(MASDAR CITY)에 위치할 예정임. 마스다르시티는 세계에서 처음으로 탄소배출제로 목표 하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친환경도시이므로 IRENA 본부 입지로는 최적의 장소임.

 

마스다르시티란?

 

ㅇ UAE 수도 아부다비 도심에서 약 20km 떨어진 지역에 위치. 전체면적 6.5㎢로 총 220억 달러가 투입, 2016년 완공예정인 친환경 도심 건설 프로젝트

ㅇ 도시의 모든 전기 생산은 풍력과 태양열, 지열로만 운영됨. 도시 중심에는 대규모 태양열발전소가 건설돼 주요 에너지 공급원의 역할을 하며, 도시 외곽에는 풍력발전기가 설치돼 걸프만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최대한 이용하게 됨. 또한 박막 태양전지를 건물의 지붕과 벽에 설치해 각각의 건물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할 예정

ㅇ 도시에 사용되는 재생에너지의 비율은 태양에너지 82%, 폐기물 발전 17%, 풍력발전 1% 수준으로 예상

 

마스다르시티 조감도

자료원 : www.neilhair.com

 

MASDAR시티의 예상 에너지 공급원

자료원 : www.neilhair.com

 

□ 환경보전 노력에서 다소 뒤떨어졌던 UAE

 

 ㅇ UAE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유국 중 1인당 온실가스배출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음. UAE에는 급격한 인구증가와 도시화의 결과로 대기오염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2000년 기준 CO2 배출량은 9000만 톤으로 1990년 대비 50% 증가했음.

  - 1인당 배출량을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UAE 1인당 CO2  배출량은 총 배출량에 비해 비교적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임. 이는 개방화 시기에 인구유입으로 인한 인구증가가 1인당 배출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임.

  - 또한 무더운 날씨 및 다른 국가에 비해 대중교통이 상대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특성상 자동차의 등록대수가 급속히 증가하며, 이로 인한 CO2  발생도 대기오염의 주범 중 하나임.

 

 ㅇ UAE는 세계에서 도시폐기물 양이 가장 많은 국가들 중 하나로 1인당 연간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Abu Dhabi에서 730kg, Dubai에서 725kg인 것으로 집계됨.

  - 미국에서 1인당 연간 710kg, 호주 690kg, 영국 300kg의 생활폐기물이 발생하는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양임.

 

중동지역 고형폐기물 종류별 발생현황

국가

kg/1인당/연간

유기물

종이

플라스틱

유리

금속

바레인

584

59.1

12.8

7.4

3.4

2.1

이라크

285

63

1

1

1.6

1.1

요르단

330

63

11

16.8

2.1

2.1

쿠웨이트

660

51

19

13

4.5

5

레바논

220

59

18

8

8

2.4

오만

256

60

8

12

10

9

카타르

475

57

18

12

3

5

시리아

185

62

4

7

4

6

UAE(Dubai)

750

42

6

10

3

3

UAE(Abu Dhabi)

542

4

6

12

9

6

예멘

165

55

14

13

1.5

2

자료원 : Sound environmental management of solid waste

 

□ 최근 UAE에서 새롭게 보이는 환경보존 노력들

 

 ㅇ 환경에 관한 여러 안좋은 기록을 가진 UAE는 MASDAR시티 건설프로젝트 외에도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친환경 행보를 취하고 있으며, 그 중 몇 가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음.

 

구분

관련 이미지

내용

분리수거

분리수거가 의무사항은 아니나 길거리 등지에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이 설치되고 있음. 또한 Dubai의 Al Barari 지역에 뜨거운 여름 악취가 나는 것을 방지하는 지하저장식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이 설치된 바 있음.

재활용

아부다비 국영에너지기업인 TAQA는 Emirates Energy Group(EEG)과 함께 재활용센터를 운영 중.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은 EEG의 공장으로 보내져 재활용됨. 또한 민간기업인 DULSCO도 재활용품 수거트럭을 도입하기로 하는 등의 움직임이 있음.

친환경

세차

물을 사용하지 않는 이동식 세차기가 2008년부터 두바이 곳곳의 주차장에서 운영되고 있음.(쇼핑몰에 주차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주차장에서 직접 세차) Geowash사에서 운영 중인 이 세차기기는 기존 물을 사용하는 제품보다 환경보존면에서 큰 이점이 있음.

각종

캠페인

시행

거리의 광고판과 현지 유력 일간지를 통해 환경보존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각종 캠페인 시행 중

자료원 : KOTRA 두바이KBC 촬영, www.keetsa.com(Geowash), www.gulfnews.com(Dulsco)

 

 ㅇ UAE는 최근 들어 이와 같은 환경보전에 대한 다양한 시도를 통해 과거 환경보전에 크게 힘쓰지 않은 모습을 벗어나려 노력하고 있음. 특히 폐기물 처리 및 환경보전 등에 대한 논의를 위한 제1회 Middle East Waste Summit이 지난 5월 26~28일 두바이에서 개최됐으며, 전 세계 50개국의 2690여 명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인 이 행사를 통해 UAE의 친환경정책 의지를 대내외에 공표함.

  - 참고로 두바이의 경우 최근 몇 년간 도시가 급격히 팽창하면서 2000년 연간 3000톤의 폐기물을 처리했으나 지난 2008년에는 그 규모가 1만1000톤으로 3배 이상 증가함.

 

 시사점 : 향후 친환경 행보 지속 예상,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장이 성숙, 관련 제품들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

 

 ㅇ 그동안 환경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던 UAE는 최근 들어 다양한 노력을 통해 환경문제에 관심을 보이는 있음.

  - 특히 친환경도시인 MASDAR시티 건설프로젝트는 이러한 UAE 정책의 대표적 사례이며, 이 같은 노력에 힘입어 이번에 IRENA의 본부를 유치하는 성과를 올림.

 

 ㅇ 무엇보다 지금까지 일반 시민들이 익숙치 않은 재활용, 신재생에너지, 지속가능성장 등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고자 일간지 및 거리광고 등을 통해 환경의 중요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것은 매우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짐. 이를 통해 환경보전에 무엇보다 중요한 일반 시민들의 인식전환을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

 

 ㅇ 환경보전이 이처럼 중요하게 부상함에 따라 관련 시스템 및 제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으며, 지금은 시장규모가 작지만 향후 지속적인 인식전환 등을 통해 점점 매력적인 시장으로 변할 것이 기대됨.

  - 특히 MASDAR시티의 경우 친환경 시스템의 시험장이 될 것이며, 풍력 등 에너지 시스템뿐 아니라 일반 환경보전제품들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이에 대한 진출준비가 필요함.

 

 

자료원 : www.neilhair.com, Sound environmental management of solid waste, www.keetsa.com, www.gulfnews.com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산업기술] 친환경으로 가는 UAE)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