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09년 미국 게임시장을 진단한다 (상)
  • 경제·무역
  • 미국
  • 로스앤젤레스무역관 송용진
  • 2009-06-20
  • 출처 : KOTRA

 

2009년 미국 게임시장을 진단한다 (상)

- E3 전시회를 통해 본 올해 미국 비디오게임 소프트웨어시장 전망 -

- 경기침체로 인해 새로운 게임 개발보다는 기존 흥행작의 새 버전 출시가 대세 -

 

 

 

□ 미국 게임시장 개요

 

 ○ 미 최대 게임전시회 E3, 로스앤젤레스에서 성황리에 개최

  - 미국 최대 게임전시회인 E3(Electronic Entertainment Expo)가 미국 엔터테인먼트 소프트웨어협회(Entertainment Software Association) 주최로 6월 2~4일까지 로스앤젤레스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됨.

  - 78개국에서 4만 명 이상의 관람객이 전시회를 찾은 가운데 216개 참가업체들이 수백여 개의 새로운 게임 관련 제품을 선보였으며, 이는 미국 게임시장에 활력소로 작용할 전망임.

 

 ○ 미국 게임시장 현황

  - 미국 엔터테인먼트 소프트웨어협회의 ‘2009년 컴퓨터와 비디오게임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2008년 미국 게임산업의 매출은 220억 달러에 달함. 이 중 컴퓨터와 비디오게임 소프트웨어 판매가 117억 달러를 기록해 전년에 비해 22.9% 성장함.

  - 작년 12월에만 게임산업의 매출이 53억 달러를 기록해 사상 처음으로 한 달에 50억 달러를 돌파함.

  - 그러나 시장조사기관 NPD에 따르면 올해 1~4월까지의 비디오게임 소프트웨어 판매는 전년 같은 기간 27억 달러에서 6% 감소했음. 특히 5월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 감소한 4억4890만 달러를 기록했음.

  - 68%의 미국 가정에서 컴퓨터 또는 비디오게임을 하고 있으며, 42%의 미국 가정에 비디오게임 콘솔이 구비돼 있음.

  - 시장조사기관 NPD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엔터테인먼트 관련 지출 중 비디오게임에 가장 많은 지출을 한 것으로 나타남.

  - 게임을 즐기는 인구의 평균 나이는 35살이며, 12년 동안 게임을 한 것으로 나타남.

  - 전체 게이머의 40%가 여성이며, 특히 온라인 게이머의 43%가 여성으로 나타남.

 

2007~08년 미국 컴퓨터게임 및 비디오게임 소프트웨어 매출

(단위 : 10억 달러)

자료원 : NPD

 

미국 컴퓨터게임 및 비디오게임 소프트웨어 매출 추이

(단위 : 10억 달러)

자료원 : NPD

 

2008년 비디오게임 소프트웨어 판매순위

순위

게임명

사용하는 게임 콘솔

이용범위

1

Wii Play With remote

닌텐도 위

모든 연령층

2

Mario Kart

닌텐도 위

모든 연령층

3

Wii Fit

닌텐도 위

모든 연령층

4

Super Smash Bros : Brawl

닌텐도 위

10대 청소년

5

Grand Theft Auto IV

마이크로소프트 Xbox 360

성인

6

Call of Duty : World At War

마이크로소프트 Xbox 360

성인

7

Gears of War 2

마이크로소프트 Xbox 360

성인

8

Grand Theft Auto IV

소니 플레이스테이션3

성인

9

Madden NFL 09

마이크로소프트 Xbox 360

모든 연령층

10

Mario Kart

닌텐도 DS

모든 연령층

            자료원 : NPD

 

□ 2009년 비디오게임 소프트웨어 시장 전망

 

 ○ 인기있는 기존 게임의 새 버전 출시가 대세일 듯

  - 경기불황으로 인해 최근 비디오게임 소프트웨어 판매가 줄면서 주요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들은 시장에서 검증되지 않은 새로운 게임 개발보다 이미 소비자들에게 인지도가 높은 흥행작의 후속편을 출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

  - 닌텐도사는 자사의 가장 유명한 게임인 슈퍼마리오 게임을 4명까지 동시에 즐길 수 있도록 했으며, 3차원 게임인 '슈퍼마리오 갤럭시 2'를 선보일 예정임.

  - EA(Electronic Arts)사는 흥행작인 Madden NFL 풋볼게임을 출시할 예정이며, Activision사는 인기게임인 Tony Hawk 스케이트보드게임의 새로운 버전을 선보일 계획임.

  - 이 같은 추세는 각 업체들이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게임을 출시해 안정적인 매출을 보장받으려는 전략을 취하고 있기 때문임.

 

 ○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비디오게임 개발에 초점

  - 각 업체들은 'Halo 3 : ODST', 'Modern Warfare 2', 'Uncharted 2 : Among Thieves', 'Assassin’s Creed 2' 등을 출시해 전문 게이머들의 시선을 사로잡을 전망임.

  - 그러나 전반적으로 보다 넓은 범위의 소비자를 공략하기 위해 초보자도 쉽게 즐길 수 있는 대중화된 비디오게임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 이는 닌텐도사의 비디오게임 콘솔인 위(Wii)가 누구나 하기 쉬운 게임을 앞세워 연령에 관계없이 폭발적인 인기를 얻은 데에서 기인하며, 기타히어로나 락밴드 등 리듬액션게임이 인기를 끌고 있는 점과도 연관이 있음.

 

 ○ 리듬액션게임의 인기추세는 지속될 듯

  - 인기 리듬액션게임인 락밴드를 개발한 Harmonix사는 올해 9월 비틀즈 락밴드 버전을 선보일 예정임. 총 45개의 비틀즈 노래를 수록하고 기타, 베이스, 드럼, 마이크 등 여러 개의 컨트롤러를 포함한 게임으로 다수의 사용자가 리듬과 박자에 맞춰 밴드식 연주를 하거나 노래를 부를 수 있음.

  - Activision사가 10월에 출시할 DJ히어로는 인기게임인 기타히어로를 변형한 것으로 실제 DJ처럼 턴테이블 컨트롤러를 통해 믹싱과 스크래칭 등의 기법으로 레코드를 돌리고 음악을 섞으면서 사운드를 변형할 수 있는 게임임.

 

Activision사의 DJ히어로 게임 화면

 

 ○ 스포츠 관련 게임

  - 닌텐도사는 기존 위피트 게임을 업그레이드한 위피트 플러스 게임을 올 가을 출시할 계획임. 이 새로운 버전의 게임에서는 밸런스 보드를 이용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으며 저글링, 스케이트보드, 댄스 등을 즐길 수 있음.

  - 또한 닌텐도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모션 컨트롤러를 이용한 게임인 위 스포츠 리조트 게임을 올 9월에 출시할 예정이며 이 게임에서는 양궁, 야구, 수상스키, 탁구 등을 즐길 수 있음.   

  - Ubisoft사는 사용자의 신체모양에 따라 차별화된 운동계획을 제공하는 Your Shape을 올 가을에 출시할 예정임. 카메라를 이용해 신체를 스캔한 후 스트레칭과 요가동작을 할 때 동작을 교정할 수 있음.

  - EA사는 Madden NFL과 복싱게임인 Fight Night의 그래픽을 강화해 출시하는 동시에 카레이싱 게임인 Need for Speed의 후속작으로 실제 운전과 유사한 경험을 할 수 있는 ‘Need for Speed : Shift’를 내놓을 예정임.

  - Activision사는 무선 스케이트보드 컨트롤러를 이용해 즐길 수 있는 Tony Hawk Ride라는 스케이트보드 게임을 출시할 계획임.   

 

Tony Hawk Ride 게임

 

□ 시사점

 

 ○ E3는 미국 게임시장의 미래를 가늠할 수 있는 전시회

  - 매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리는 미국 최대 규모의 게임전시회인 E3는 미국 게임시장의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전시회임.

  - 이번 E3에서는 경기침체로 소비심리가 위축됨에 따라 새로운 게임 개발보다는 기존 흥행작의 새로운 버전 출시가 두드러진 추세였음.

  - 또한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대중화된 비디오게임을 출시해 보다 넓은 소비자층을 공략하려는 움직임을 보임.

 

 ○ 국내 기업, 현지시장의 흐름에 주목해야

  - 경기불황에도 불구하고 비디오게임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

  - 온라인게임이 주를 이루는 한국시장과 달리 비디오 콘솔게임이 압도적 우세를 보이는 미국 게임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Xbox 360·닌텐도 위·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 3용 비디오게임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필요가 있음.

  - 닌텐도사의 슈퍼마리오 게임처럼 꾸준한 인기를 이어가고 있는 흥행작을 개발해 한국 게임산업의 위상을 재고하려는 노력이 필요함.

 

 

자료원 : ESA 2009년 컴퓨터와 비디오게임 산업 보고서, E3 홈페이지, 현지 E3 참가자 인터뷰, LA Times, WSJ, USA Today 등 현지 언론 속보, KOTRA 로스앤젤레스KBC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09년 미국 게임시장을 진단한다 (상))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