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식품업계 정보화설비 구축 요구 급증
  • 경제·무역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09-06-18
  • 출처 : KOTRA

 

중국, 식품업계 정보화설비 구축요구 급증

- 정보 시스템화를 통한 식품관리와 위생관리에 대한 중국 정부의 관심 표명 -

     

     

     

□ 중국 정부, 식품업계 정보화 구축에 대한 규획 발표

     

  중국 정부 ‘경공업 조정 및 진흥 규획(业调整和振兴规划)' 발표

  - 2009~11년, 3년 동안 집중 시행될 이 규획은 총 10개의 항목을 제시하고 있으며 2008년 말부터 시작된 금융위기로 중국 경공업 업계의 위기와 시장축소, 재고증가 등 생산환경 악화에 대한 정부차원의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특히, 제 5항에서 기술개발과 정보화 강화를 통해 경공업의 생산성 증대와 식품가공업의 안전관리 강화 및 국내 브랜드 구축을 촉구함.

  - 이는 멜라민 파동 이후 식품안전관리에 부쩍 예민해진 중국정부의 식품산업의 근본적인 체제 정비를 통한 안전관리 강화 요구를 그대로 드러낸 것

     

□ 중국 식품업계 관련 정보화기술 절대적으로 부족해

     

  중국 식품업계, 정보화는 향후 필수 개발 항목

  - 중국의 대표적인 육가공업체인 슈앙훼이(双汇)의 정보화담당관 류샤오빙(小兵)은 최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식품 생산라인 정보화와 자동화를 통해 기업의 총체적인 경쟁력 향상과 핵심 역량을 기를 수 있다고 강조함.

  - 식품생산업체의 재무관리, 인력관리, 공급라인관리, 고객관리, 사무자동화 및 RFID(무선인식) 기술에 이르기까지 단계별로 각각 다른 정보화 기술이 필요하지만 중국의 식품업계 정보화 정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 특히 중소영세 사업자들이 많은 식품업업계의 특성상 몇몇 대형 식품업체를 제외하고는 정보화 설비에 필요한 비용 문제로 인해 대다수의 중소기업들의 정보화 수준은 현격히 낮은 상황임.

          

슈앙훼이(双汇)그룹의 자동화 생산라인

자료원 : 中国电

     

  관리 효율성과 생산 효율성 밀접한 연계, 많이 떨어져

  - 중국 식품공업협회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중국의 식품관련 기업 중 일정 매출규모 이상의 식품생산기업은 4만 개에 미치지 못하며 이는 전국 식품업체수의 25% 수준임.

  - 기업 대부분이 영세한 규모에 정보화설비 구축 정도도 상당히 낮은 상태로, 식품생산 및 가공 안전관리 전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어 정부 차원의 정보화를 위한 지원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됨.

     

  식품업 특성에 맞는 중국 자체 소프트웨어 생산 부족

  - 식품업의 특성상 일단 가공이 시작돼 생산된 물품은 하자가 발견돼도 최초의 원료 상태로 되돌릴 수 없고 폐기해야 함. 따라서 원자재수입, 가공, 유통, 판매에 이르는 단계를 정밀하게 연계할 수 있는 ‘통합형 IT 운영기술’의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나 중국 자체 소프트웨어 개발은 사실상 전무한 상황

  - 게다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식품업계 설비는 대부분 해외에서 수입되고 있으며 이러한 설비는 해외 설비생산업체의 자체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관리됨.

  - 이런 경우, 기존의 설비를 함께 통제할 수 있는 호환성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이 각 업체 생산품의 경쟁력을 발전할 것이라고 전문가는 조언함.

     

□ 시사점

     

  지난 6월 1일 중국 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식품안전법(中人民共和食品安全法)’를 재차 발표하면서 과거 발표된 ‘중화인민공화국식품위생법(中人民共和食品生法)’에서 제정돼 있던 ‘위생’의 개념을 ‘안전’의 개념으로 한층 격상시키면서 정부차원의 식품안전관리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표명함.

 

  중국 정부의 강력한 의지와 함께 향후 식품관련 자동화 생산라인, 정보화 기술, 관련 IT 소프트웨어 등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우리 관련기업들의 장기적인 안목과 지속적인 시장 주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

     

 

자료원 : 中国电国际,기타 현지언론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식품업계 정보화설비 구축 요구 급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