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훈춘, 수출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세금환급 정책 실시
  • 투자진출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09-06-08
  • 출처 : KOTRA

훈춘, 수출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세금환급 정책 실시

- 변경무역 수출기업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올라 -

 

□ 훈춘, 수출세 환급 서비스 강화

 

○ 중국 길림성 훈춘(春)시 세무국은 5월 12일, 훈춘 지역의 수출기업에 대한 수출세 환급 서비스

    를 강화하여 지난 1월부터 4월까지 수출기업의 환급금액이 1257만 위앤에 달하였음을 공고함.

 

    

<동북아 수출입 통로>

 

○ 이는 금융위기를 맞이하여 수출기업의 경쟁력이 약화된 것을 보완하여 지방정부에서 주도적으로

    수출기업에 대한 세금혜택을 줄 수 있도록 정책을 펼쳐나간 결과이며, 이로 인해 다수의 훈춘 지역

    내 기업들이 수출세 환급혜택을 받을 수 있었음.

 

○ 훈춘시 세무국은 신문, 잡지, TV, 라디오 등 다양한 언론매체를 동원하여 수출세 환급정책을 홍보

    하였으며, 세금혜택에 대한 정보를 각 기업에게 전달하거나, 공청회를 개최함으로써 수출기업들

    이 이러한 혜택에 대한 인지를 하도록 하였으며, 이로 인해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었다고 함.

 

○ 또한, 수출세 환급에 대한 관리 제도를 철저히 수행하여 수출기업들이 수출세 환급 관련 문건을 통

    해 환급을 수행할 수 있게 하였으며, 규범화 제도를 통해 수출기업들에게 불이익이 가지 않도록 조

    치하였음.

 

○ 법 기준에 따라 수출세 환급 절차를 간소하게 하였으며, 환급에 소요되는 기간을 단축하여 기준에

    적합할 경우 빠른 시일 내 세금환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음.

 

○ 이러한 적극적인 노력의 결과로 훈춘시 수출기업 환급액 규모는 1257만 위앤에 달하며, 2008년 수

    출세 환급 규모는 2966만 위앤에 달하였음.

 

□ 동북아 국경무역의 중심지, 훈춘

 

○ 훈춘은 러시아, 북한과 접경지대에 위치하여 있으며, 동해를 끼고 한국, 일본과 인접하여 있으므로

    동북아 무역 중심도시로 발전하여 왔음.

 

1992년 중국 국무부는 훈춘시를 대외개방 변경도시로 지정하고, 훈춘변경합작구(春邊境合作

    )설치를 비준하였음. 이는 중국 최초의 국가급 변경경제합작구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현재 훈춘변경합작구 내에는 중국 훈춘-러시아 공업원, 중국 훈춘-일본 공업원, 중국 훈춘-한국

    공업원, 중국 훈춘-홍콩 공업원등이 건설되어 있음.

 

2008년 상반기까지의 훈춘변경경제합작구의 생산 총 가치는 8.4억 위앤에 달하며, 수출입 총액은

    1. 8억위앤, 공업 총 자산가치는 18.49억 위앤에 달함.

 

훈춘은 중국이 동해를 거쳐 수출입 무역을 수행하기 어려운 상황임을 감안하여 전략적인 변경무

    역도시로서 발전하여 오고 있으며, 현재 한국 동해와 러시아 자루비노를 거쳐 훈춘까지 연결되어

    있음.

 

□ 변경무역, 성장 추세

 

○ 2007년 이후, 중국 인민폐 가치의 상승, 원자재 가격 상승, 노동력 비용 상승 등의 원인으로 인해,

    중국 내 수출기업의 경쟁력이 낮아지고 있음. 이에 중국에서는 이들 수출기업들에 대한 각종 혜택

    을 통해 수출 경쟁력 제고 방안에 대한 노력을 하고 있음.

 

○ 이에 비해 변경무역은 이러한 악조건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고성장추세를 유지하고 있는데, 훈춘

    변경경제합작구의 경우, 2008년 상반기 생산 총가치, 공업총가치, 재정수입증가폭은 각각 39.6%,

    67.3%, 37.8% 증가하였음.

 

○ 러시아와 인접한 또다른 변경무역지역인 만주리경제합작구(滿洲里經濟合作區)의 경우, 2008년

    생산 총가치는 28억 위앤에 달하여, 동기대비 195.4% 증가하였으며, 구소련 연방국가들과 인접한

    우르무치, 카스 등의 변경무역도 높은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음.

 

○ 이는 현재 중국이 유럽, 미국 등지에서의 무역흑자로 인한 무역마찰이 심화되어지고, 이로 인해 반

    덤핑 소송 등이 이어짐에 따라 어려움을 겪는 반면, 동북아, 동유럽, 동아시아 등지에 인접한 국가

    와의 변경무역은 무역마찰이 그리 심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좋은 성과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임.

 

○ 변경무역은 특히, 동북아 노후 공업지역에게 새로운 기회를 가져다 줄 것으로 여겨지는데, 주변에

    인접한 러시아, 한국, 일본 등지에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수출을 장려할 수 있는 좋은 방안임.

 

○ 동북아 지역은 인근지역과의 협력을 통해서 합작투자의 기회를 찾고, 기술교류를 증진하며, 경제

    공동체로서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지역으로 꼽히고 있으며, 특히 훈춘의 경우, 동해로 통하는 변

    경경제합작구로서 역할을 충분히 수행해 나갈 것임.

 

□ 시사점

 

○ 글로벌 금융위기가 고조되면서 수출기업의 입지가 점차 줄어드는 가운데, 변경무역을 통한 이익

    창출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음.

 

○ 이들 변경무역은 인근 국가를 대상으로 무역활동을 수행하면서 국가의 재정적인 우대정책을 기대

    할 수 있으므로 수출기업의 좋은 선택적 대안이 되고 있음. 특히, 동북아 지역을 대상으로 훈춘 지

    역은 변경무역 중심지로서 자리매김하고 있음.

 

○ 최근 두만강 주변의 국가들을 중심으로 두만강 경제협력이 점차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제협

    력을 통해서 변경무역 및 산업발전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여짐. 한국은 두만강 주변 국가 중 하

    나로서 두만강 경제협력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서 상호간의 장점을 이용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함.

 

○ 두만강 경제협력 중 중요한 변경무역 중심지역이 훈춘이며, 훈춘의 지역적 우세를 활용하여 경제

    발전을 이루는데, 한국기업 및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매우 바람직할 것임.

 

○ 또한, 훈춘 지역에서 적극적인 수출세 환급정책을 펼쳐나감에 따라 중국 내 한국기업들이 수출세

    환급을 통한 경제적인 이익을 적극적으로 취해 나갈 필요가 있음.

 

자료원: 중국개발구 인터넷(www.cadz.org.cn) 등 중국 현지 언론 종합정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훈춘, 수출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세금환급 정책 실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