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산업기술] 중국, 풍력발전 각광받는 신재생에너지
  • 경제·무역
  • 중국
  • 우한무역관
  • 2009-05-27
  • 출처 : KOTRA

 

중국, 풍력발전 각광 받는 신재생에너지

- 중국업체와 협력, 지원정책 등 활용한 현지 진출 노려야 -

     

     

 

□ 풍부한 풍력자원 존재, 개발 가능성 무궁무진

     

 ㅇ 2008년 기준, 중국의 풍력발전시설은 24개성(省)에 분포해 있으며, 총 누적대수는 1만1600기, 발전시설 규모는 1215만3000㎾에 달함. 이는 2007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것이며, 2000년에 비해 32배 증가한 수치로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또한 대부분의 설비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한국기업의 진출에도 유리할 것으로 전망됨.

     

 ㅇ 중국의 풍력자원은 매우 풍부해 지상 10m에 개발 가능한 풍력자원은 2억5300만㎾, 지상 50m는 5억㎾, 해안지역에 인접할 경우 7억5000만㎾에 달함.

     

중국 풍력에너지 분포도

 

중국 풍력자원 분포 지점 및 특징

지역

풍력에너지 규모

江, 吉林, 宁, 河北, 蒙古,

 甘, 海, 西藏, 新疆

폭 200㎞ 이상의 광대한 지역에 200~300W/㎡ 풍력자원

개발 가능

, 江, 上海, 浙江, 福建,

广, 广西, 海南

동남쪽 연해지방으로 폭 10km로 이어지는 지역에 200W/㎡의

풍력자원 개발 가능

중부내륙지역

호수 등 지리적인 위치로 인해 풍력자원이 풍부한 지점 다수 존재

자료원 : 中, 中再生能源

     

□ 시장 초기단계, 에너지분야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낮아

     

 ㅇ 2008년 현재 중국 전체 발전에서 풍력발전이 차지하는 규모는 0.37%에 불과해 화력(81.18%) 및 수력(16.45%) 발전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나 빠른 증가율을 보임.

     

2008년 중국 발전량 통계

 

수력발전

화력발전

원자력발전

풍력발전

발전량(억㎾/h)

5,633

27,793

684

128

전년 대비 증가율

19.5%

2.16%

8.79%

126.8%

자료원 : 中, 中再生能源

     

□ 정부의 지원정책으로 발전 가능성 큼

     

 ㅇ 중국의 풍력발전은 아직 시장 초기단계이나 중국정부가 발표한 신재생에너지 정책인 '可再生能源法'와 관련 조치들을 볼 때 중국의 풍력발전 수요는 연 2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관련 전문가들의 예측에 의하면 2020년에는 발전 수요량이 2억2500만㎾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발전시설 설치비용이 4000위앤/㎾임을 감안할 때 2020년 풍력발전시장 규모는 1800억 위앤에 달할 것으로 보임.

     

2008~09년 확정된 풍력발전 건설 계획

발표시기

발전규모

(만㎾)

지역

수주업체명

투자금액 및 비고

2008.11

50

蒙古 通

际电开发公司

50억 위앤

2009.2

10

 酒泉

电龙力集公司

15억 위앤, 2011년 완공예정

2009.4

5

宁 彰武

风电能源投有限公司

4억5,900만 위앤

2008.9

15

云南 巍山

캐나다 Pacific Railway

15억 위앤, 3년 내 완공 예정

2008.2

9

 云港

云港中能发电有限公司

9억5000만 위앤

2009.5

100

 

东电力有限公司

120억 위앤,

산동성 최대 풍력발전소

자료원 : 현지 언론보도 및 신문종합

    

□ 미성숙시장으로 경쟁은 비교적 적은 편

 

 ㅇ 중국 풍력발전시장에서 주도적인 기업은 아직 없으며, 수요에 비해 공급이 적은 상황이므로 경쟁은 비교적 약함. 2007년 말 기준, 중국 내 풍력발전설비 관련 기업은 21개이며, 이 중 외자기업 4개, 합자기업 5개, 중국기업 12개임.

 

2008년 주요 중국 풍력발전기업 점유율 통계

 

시장점유율(%)

점유율 1위 기업

중국기업

44.9

华锐风电

외자기업

30.7

덴마크 Vestas

외자기업

24.4

스페인 Gamesa

자료원 : 中, 中再生能源

 

 ㅇ 중국의 풍력발전 관련 기술은 아직 성숙되지 않은 상태이며, 대부분의 제품은 수입하거나 중국 내 외자기업이 생산하고 있음.

     

중국 풍력발전설비 수급 현황

부품

수급 현황

날개

발전시설의 핵심부품으로 발전시설 설치비용의 20%를 차지.

제품은 대부분 수입하거나 중국 내 외자기업이 생산함.

기어박스

발전시설 설치비용의 15%를 차지하며, ㎿급 이상은 전량 수입에 의존함.

베어링

㎿급 이상은 전량 수입하며, 현재 수요 대비 공급이 적은 부품임.

제어시스템 및 변환기

수입 혹은 중국 내 외자기업 생산

제동시스템 및 클러치

수입 혹은 중국 내 외자기업 생산

윤활시스템

수입 혹은 중국 내 외자기업 생산

외부 도료

전량 수입

기타 부품

대부분 수입

자료원 : 中, 中再生能源

     

□ 한국기업 진출 포인트

     

 ㅇ 통상적인 풍력발전설비 입찰기준에 의하면 입찰 시 중국업체가 포함돼야 하며, 부품의 국산화율이 70% 이상 돼야 함. 따라서 세계적인 풍력발전기업인 Vestas, Gamesa, GEwind, Suzlon 등은 중국 내 법인, 공장, 연구소 설립 등의 방법을 통해 중국시장에 진출함. 한국기업도 현지공장 설립 및 중국업체와 합작을 통해 진출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됨.

     

 ㅇ 중국정부의 에너지 관련 지원정책 동향을 파악해 중국 진출 시 이익을 취할 수 있음. 참고로 2008년 중국 재정부는 중국업체가 연구개발 목적으로 수입하는 풍력발전설비 및 부품에 대해 관세 및 부가가치세 환급 정책을 실시함. 또한 부품 수입이 풍력발전설비 자체 수입보다 관세가 낮은 편임. 중국정부의 정책은 항상 바뀔 수 있으므로 관련 정책을 항상 주시해야 함.

  

한국 및 외국기업 진출 사례

국가

업체명

진출 현황

한국

A사

2007년, 중국 云港에 공장을 설립해 풍력발전시설 골격(탑)을 제작하며, 70%는 수출함.

한국

B사

2007년, 江 南通에 2,000만 달러를 투자해 10㎿급 풍력발전기 1200대 건설

한국

C사

2009년, 河北亿风电设备公司와 합작, 3억 달러를 투자해 풍력발전설비 및 부품 공장 건설 중. 3년 후 완공예정이며, 연 매출액은 80억 위앤 전망

미국

GEwind

2006년, 宁 沈에서 중국업체와 합작으로 풍력발전설비 및

부품생산공장 건설, 주로 기어박스를 생산함.

스페인

Gamesa

2006년, 天津에서 관련부품 생산 시작. 2008년 중국업체에 50만㎿

발전설비 공급 계약

인도

Suzlon

2006년, 8000만 달러 투자 공장설립. 蒙古, 山에 15만㎿급 발전설비수주

독일

Nordex

2005년, 중국업체와 ㎿급 부품 합작생산. 2006년, 중국업체와 20만㎿급 발전설비 공급 계약

스페인

Acciona

2개 중국업체와 공동지분으로 풍력발전설비업체 운영 중. 2007년 말 蒙古에 공장 설립

독일

REpower

2006년, 중국 및 영국 업체와 공동지분으로 풍력발전설비공장 운영 중.

연간 2㎿급 발전설비 400대 생산

덴마크

Vestas

2006년, 天津에서 3,000만 달러를 투자해 각종 부품 생산 중이며,

 발전설비 전체를 생산할 예정임.

 

 

자료원 : 中, 中再生能源 및 현지 언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산업기술] 중국, 풍력발전 각광받는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