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녹색산업기술] 밝게 빛나는 인도의 태양광 발전
  • 트렌드
  • 인도
  • 뭄바이무역관 최동석
  • 2011-08-09
  • 출처 : KOTRA

 

밝게 빛나는 인도의 태양광 발전

-2021년 인도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6만8000㎿ 될 듯-

- 잉곳, 웨이퍼, 폴리실리콘, 솔라패널 등 부품소재 진출 호기-

 

 

 

□ Lanco Infratech의 자회사 Lanco Solar사 사례

 

  인도의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 중 하나로 Lanco Infratech는 지난 25년 동안 EPC, 전력, 태양광, 천연자원, 인프라, 부동산 개발분야에서 성장을 주도해왔음.

  - 현재 시가총액은 약 22억8000만 달러이며 2011년 3월 기준 총수입은 1만1265루피(25억6000만 달러) 이상이었음.

  - 세계경제포럼의 우대회원으로 선출됐으며 200대 글로벌 성장기업 중 엘리트 멤버로 뽑혔음.

  - 인도 내 에너지 수요에 대한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그린 솔루션을 위해 태양광 사업에도 진출했으며 현재 민간 발전업체 상위 3대 기업으로 꼽히면서 빠르게 성장함. 전력 3292㎿를 생산 중이고 5953㎿의 발전시설을 건설 중이며, 7110㎿ 규모의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중임.

 

  Lanco Infratech의 자회사인 Lanco Solar사는 2012년까지 인도의 첫 End-to-End 태양광 발전 시설 생산 라인을 세울 계획

  - 차티스가르주의 Methumkurd, Chawardhal 두 마을에 걸쳐 경제특구 지정됨. 폴리실리콘 잉곳, 웨이퍼, 태양전지모듈 등 태양광 발전을 위해 필요한 모든 장비를 생산할 공장을 세울 것. 2012년 9월까지 경제특구에서 1250t의 폴리실리콧 잉곳, 웨이퍼를 생산할 것이라고 예상했으며 이 생산량은 80㎿의 태양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정도의 양임.

  - 인도의 태양광 발전 시설 수요량의 15%를 맞출 계획이며 최종 목표는 2014년의 두 번째 단계 말까지 250㎿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만큼의 장비를 생산하는 것임.

 

 

  마하라쉬트라 주 전력회사가 마하라슈트라 주 Dhule 지역에 크리스탈라인 기술에 기반한 75㎿ 규모의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를 건설하는 데 큰 관심을 보임. 88억4180만 루피 규모의 이 프로젝트는 2012년 2월까지 완전히 가동할 것으로 예상

 

  Lanco solar사는 라자스탄 주에서 열린 JNNSM 프로젝트의 경매에서 100㎿의 태양열 에너지, 5㎿의 태양광 에너지 전력구매 계약을 체결함.

 

□ 인도의 태양열 관련 프로젝트 예시

 

  태양광 조명 프로젝트

  - 8만2500개 이상의 가로등을 포함, 총 140만 대 이상의 태양광 조명 시스템을 설치했으며 대부분이 지방에 설치됨.

  - 4만1397개의 태양광 랜턴이 Jammu &Kashmir 지역, Himachal Pradesh &Uttarakhand 지역, 가뭄에 영향을 받은 지역에 공급됐으며 2009년 11월 30일까지 설치된 총 램프는 77만 개에 달함.

 

  가정용 발전시스템과 태양열 시범프로젝트

  - 51만 개의 가정용 전력생산시스템과 7247개의 태양열 펌프가 설치됨.

  - 2009년에 2만590개의 태양열조리기가 판매됐으며, 2009년 11월 30일을 기준으로 총 65만7000개의 태양열조리기가 인도 전역에서 사용됨.

 

  도시, 산업 및 상업용 목적을 위한 신재생 에너지(2008/9 회계연도기준)

  - 태양광 온수난방 시스템: 연 약 50만㎡ 면적에 걸쳐 태양 에너지 집열기가 설치됐으며 총 집적면적은 270만㎡임.

  - 태양광 도시: 태양광 도시 건설 계획 승인이 9개 주 12개 도시에 남.

  - 태양광 난방·증기 시스템: 2009년 3개 주에 6개의 집열기 지역 건설이 총 1000㎡의 면적에 걸쳐 허가됨.

  - 태양광 발전 장치·시스템: 도시 지역에 태양광 발전 조명 등 태양광 발전 시스템 2000대 이상이 설치됨. 2009년에 두 개의 주에 2700대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설치됐으며, 총합계는 8개 주 160개 도시에 1만2000대의 시스템에 이름.

 

 

  

< 제공 VRG Energy India Pvt. Ltd.                   < 제공 Barefoot Photographers of Tilonia>
 http://vrgsolarwaterpump.tradeindia.com

 

 

□ 시사점 및 전망

 

  국제에너지기구(IEA)에 의하면 세계 태양광 발전설비용량은 2010년 40GW에서 2020년 210GW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인도의 태양광 에너지 생산 능력은 2021~22년에 22GW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인도의 에너지 수요는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며 2017년경 1조2500억kWh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2007~17년 세계의 에너지 수요 추이 및 전망

                      (단위: 십억 kWh)

자료: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EIA); McKinsey analysis

 

  어니스트 앤 영 보고서에 따르면 태양광 에너지의 가격은 감소하는 반면, 화석 연료의 가격은 증가하고 있으므로 대규모 설비의 가격 경쟁은 격화될 것으로 전망함.

  - 2018~19년 태양광 발전단가가 kWh당 9루피 선에 이르러 화력발전 단가와 유사한 수준인 그리드 패리티에 도달한다면 집단 거주지역의 옥상 태양광 발전 패널의 수요가 급증할 것이며 현재 발전원료로 쓰이는 디젤유의 30%를 대체할 것으로 예상함.

 

  태양광 발전 시설의 성장이 관련 사업자들에게 큰 투자 기회를 열어줄 것으로 전망

  - KPMG 리포트에 따르면 2012~22년에 진행되는 프로젝트나 애플리케이션의 투자만으로도 약 1100억 달러(4조9000억 루피)에 달하며, 태양광 발전 관련상품 시장 규모는 최대 300억 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함.

 

  인도 정부는 태양광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의 확산을 위해 정책적·경제적 지원을 함.

  - 전기세 면제, 판매세 면제, 소득세 감면, 그 외 각종 세금 감면 혜택이 있음.

  - 태양광 랜턴과 램프의 기본관세는 10%에서 5%로 감소됐으며 태양광 셀과 모듈 생산을 위해 수입되는 silver paste, 강화유리에 적용되는 관세는 전면 철폐됐음.

  - 2011년 신재생에너지부의 예산책정은 2억695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0% 증가한 양상을 보임.

 

  인도 정부는 태양광 및 태양열 산업의 세부적 정책 방향으로 자와할랄 네루 내셔널 솔라 미션(Jawaharal Nehru National Solar Mission) 프로젝트를 2009년 말 발표함. 총 3단계에 걸쳐 진행되며 최종 단계인 2022년에는 연간 2만㎿ 전력생산, 2000㎡에 달하는 면적의 태양열 집열기 설치, 시골지역에 2000만 개의 태양열 조명 시스템 도입 등을 목표로 하고 있음.

 

  태양광 발전설비 단계별 수입 제한 규정에 따라 2011~12 회계연도부터 실행되는 태양광 프로젝트는 인도 국내에서 생산된 셀과 모듈만을 사용할 것으로 규정하며 2011년 4월 1일부터 발효됨. 이 규정에 어긋날 시 프로젝트 입찰이 금지됨.

 

  올해 9월 27일~9월 30일 뭄바이에 있는 Holiday Inn Mumbai International Airport에서 제2회 Renewcon India가 개최될 예정이며 태양열 발전, 풍력 발전, 폐기물 관리 등을 주제로 한 세미나와 워크숍의 형태로 진행될 것임.(참고 사이트: www.renewcon-india.com)

 

 

자료원: Unleashing India, Fortune India,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Lanco Solar, KOTRA 뭄바이 KBC 자체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녹색산업기술] 밝게 빛나는 인도의 태양광 발전)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