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정책] 일본 전동자전거시장, 도로교통법 개정으로 유망
  • 통상·규제
  • 일본
  • 나고야무역관 이경석
  • 2009-03-23
  • 출처 : KOTRA

 

[정책] 일본 전동자전거 시장, 도로교통법 개정으로 유망

- 작년 12월 개정된 도로교통법으로 관련시장 호재 맞아 -

- 일반 소비자에게는 높은 가격대, 틈새시장 가능성 -

 

 

 

유망사유 : 환경, 건강의식 고조로 전동자전거시장은 이미 확대 중이나 작년 12월 관련 도로교통법 개정으로 성능이 향상된 전동자전거 출시가 이어지고 있음. 하지만, 고용량 배터리 등으로 인한 높은 가격대가 넘어야 할 과제로 주목받고 있어서, 가격경쟁력이 강화된 국내 관련업계의 시장진출 가능성은 높을 것임.

 

1. 시장동향

 

□ 도로교통법 개정으로 더욱 강해진 전동자전거

 

 ○ 2008년 12월, 전동자전거 관련 도로교통법 규칙이 일부 개정됐으며, 지금까지 전동자전거는 시속 15㎞까지는 사람과 원동기에 의한 보조비율이 1:1로 정해져 있었으나 법 개정 후 비율이 시속 10㎞까지는 최대 1:2로 완화됨.

 

○ 전동자전거(電動アシスト自車, 전동 보조자전거)는 전동모터가 인력을 보조하며, 모터만으로의 주행은 불가능 하고 기본적으로 페달을 사용할 때만 모터가 구동되는 방식으로, 모터가 있어도 별도 면허가 필요하지 않음

 

전동자전거 보조율 기준

자료원 : 일본 경찰청

 

  ○ 관련 메이커 각 사는 1월부터 모터 보조비율을 종래에 비해 최대 2배로 끌어올린 신기준 대응 자전거를 연 이어 발매 중임.

 

 ○ 과제는 가격으로 전동자전거의 전동력 증가로 전지용량도 증가해야 하며, 전지는 약 5000~1만 엔 정도로 구 모델에 비해 높은 편임.

 

 ○ 차량 판매가격은 10만엔 이상의 고가가 보통이며, 그 때문에 야마하 발동기 등 일부 메이커는 신 기준 대응과 구모델을 함께 판매하며 제품전환 시점을 가늠하고 있음.

 

신 기준에 대응하는 산요 하이브리드 전동자전거(CY-SPG226)

자료원 : 산요 홈페이지

 

 ○ 전동자전거의 08년 일본 출하대수는 건강, 환경지향 추세와 가솔린 값 급등으로 약 31만대를 돌파했으며, 2000년 이후 매년 10%정도 증가해 오고 있음.

 

 ○ 주부층이나 사업자를 포함 남성의 통근이용도 늘고 있어서 향후 마운틴 바이크 등 남성 선호분야에도 신 기준 대응모델 발매가 예상돼 시장은 크게 확대될 것이며, 전동자전거의 구입자의 80%가 신규구입인 점을 감안하면, 시장 확대는 더욱 확실시됨.

 

 

□ 설문조사에서도 드러난 전동자전거 인기

 

 ○ 최근 거래알선 사이트인 알리바바 재팬(alibaba.co.jp)에서 자전거에 관한 의식조사를 실시했으며, 20~50대 남녀 각 150명, 계 300명으로부터 회답을 받음(조사기간 : 2008.12.13~12.15).

 

 ○ 이중 자전거를 보유하고, 이용하는 202명에 대해 주로 사용하는 자전거를 종류별로 조사한 결과, 전동 자전거는 전체의 약 7.4%를 차지함.

 

주로 이용하는 자전거 종류

자료원 : 알리바바 재팬

 

 ○ 또, 다음으로 구입하고 싶은 자전거에 대한 질문에 대해 일반자전거가 52.7%, 스포츠 타입이 19.7%, 전동자전거가 16.3% 로 전동자전거의 높은 인기를 반영함.

 

다음에 구입하고 싶은 자전거 타입

자료원 : 알리바바 재팬

 

2. 시장규모

 

자전거 차종별 생산량 (2008년)

 

구분

합계(대)

구성비

MTB

생산

4,392

0.40%

수입

296,984

3.30%

소계

301,376

3.00%

미니 자전거

생산

77,445

7.10%

수입

157,596

1.70%

소계

235,041

2.30%

소아·유아용 자전거

생산

45,718

4.20%

수입

3,132,339

34.70%

소계

3,178,057

31.40%

일반 자전거

생산

647,340

59.10%

수입

4,106,823

45.50%

소계

4,754,163

46.90%

기타

생산

320,767

29.30%

수입

1,340,031

14.80%

소계

1,660,798

16.40%

전동자전거

274,475

25.10%

합계

생산

1,095,662

100.00%

수입

9,033,773

100.00%

소계

10,129,435

100.00%

출처 : 일본 자전거산업진흥협회

 

3. 수입동향

 

자전거 및 자전거부품 국가별 수입동향(2008)

                (단위: 대, 천엔)

국가명

완성품

부품

합계

수량

금액

금액

중국

8,693,925

67,834,359

9,574,098

77,408,457

대만

317,194

8,916,774

2,492,888

11,409,662

이탈리아

1,540

202,214

1,694,556

1,896,770

미국

7,221

749,577

550,214

1,299,791

말레이시아

-

-

1,028,596

1,028,596

체코

-

-

453,399

453,399

프랑스

52

9,522

408,535

418,057

영국

2,301

149,162

76,758

225,920

싱가포르

-

-

211,194

211,194

스페인

1,194

91,511

72,922

164,433

독일

599

31,653

122,333

153,986

베트남

6,181

54,398

34,453

88,851

루마니아

-

-

77,435

77,435

캐나다

186

22,829

27,717

50,546

스위스

5

785

43,956

44,741

벨기에

121

7,795

24,279

32,074

인도네시아

1,001

18,610

12,366

30,976

캄보디아

1,350

28,610

-

28,610

오스트리아

1

250

19,896

20,146

네덜란드

108

14,038

5,316

19,354

타이

1

598

12,196

12,794

대한민국

10

730

11,097

11,827

홍콩

666

4,013

7,453

11,466

합계

9,033,773

78,142,462

16,991,736

95,134,198

자료원 : 일본 자전거산업진흥협회

 

4. 진출방안 및 유의점

 

 ○ 환경, 건강의식의 고조 등으로 인기를 꾸준히 모아온 전동자전거가 최근 개정된 최근 일본 도로교통법에 따른 기능강화로 더욱 매력적으로 소비자에게 어필하고 있음.

 

 ○ 더 편하고, 안전하게 운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주부들의 단거리 교통수단이나 회사원들의 통근수단은 물론, 언덕지형이 많은 일본에서 근력 저하로 어려움을 겪는 노약자들에게까지 점차 시장은 확대될 것으로 보임.

 

 ○ 일본 자전거시장은 중국, 대만 등지로부터의 수입물량이 압도적이고, 일본 자전거업계는 자전거협회가 업계 자체 안전기준인 BAA(Bicycle Association Approved)을 2004년 발표하는 등 고품질, 차별화에 힘을 기울이고 있음.

 

 ○ 전동자전거는 바로 이런 측면에서 일본 자전거산업계가 주목하는 시장이며, 보급률이 낮고 환경, 건강이라는 키워드를 포함한 점에서 향후 시장확대 전망은 매우 밝다고 할 수 있음.

 

 ○ 하지만, 앞에서와 같이 10만 엔을 넘는 높은 가격대가 문제이며, 국내 관련업계에서는 최근의 환율상황으로 인해 강화된 가격경쟁력은 물론, EV, HV에도 적용될 수 있는 관련 유망기술로의 과감한 전환 및 차별화로 미래 유망시장을 준비해야 할 것임.

 

 

 자료원 : 일본경찰청, 일간공업신문, 일본자전거산업진흥협회, 알리바바 재팬, 인터넷 검색, KBC 자료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정책] 일본 전동자전거시장, 도로교통법 개정으로 유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