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이집트 전력프로젝트 재원분석과 활용방안
  • 투자진출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권세영
  • 2009-02-26
  • 출처 : KOTRA

 이집트 전력프로젝트 재원분석과 활용 방안

- 아프리카 개발은행 등 국제기구에 의한 자금 지원 비중 높아

국제기구를 통한 기술 사양 입수, 발주처 네트워크 구축으로 활용-

 

보고일자 : 2009. 2.26

권 세영 카이로 비즈니스센터

seyoung@kotra.or.kr

 

 

□ 정보 개요

 

이집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전력 확충 프로젝트 재원이 국제기구의 원조나 차관의 비중이 높은 특징을 보이고 있음.

 

화력발전소의 경우 국제기구 차관과 전력공사 재원조달 형태로 이루어지며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여기에 일부 국제환경 기구의 무상원조 형태로 진행되고 있음.

 

국제기구 및 선진국 개발은행의 지원에 의한 전력 확충으로 이집트 전력 프로젝트 시장은 지원국가나 기구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

 

통상 자금지원 기구의 경우 세부 기술 사양에 대해 결정권이 강하며 지원국가의 경우 지원 프로젝트를 자국기업이 수주하고 있어 우리 기업 진출의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국제기구 재원으로 이루어지는 이집트 전력 프로젝트 진출을 위한 활용방안으로는 관심 프로젝트 국제기구 기술 담당자를 통한 정확한 기술 정보 획득, 관련 기구의 프로젝트 심사 보고서의 면밀한 사전 분석을 들 수 있음.

 

□ 이집트의 전력 확충 지원기관 현황

 

이집트 전력 확충 지원에 참여하고 있는 국제기구로는 ADB(African Development Bank), AFESD(Arab Fund for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KFAED(Kuwait Fund for Arab Economic Development ), EIB (European Investment Bank), OPEC, USAID, IDB(Islamic Development Bank), JBIC(Japanese Bank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BRD(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을 들 수 있음.

 

이집트의 발전소 건설은 이들 국제기구와 이집트 전력공사가 공동 재원을 마련하여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음.

 

이집트 전력프로젝트  및 지원 외부 기관 현황

프로젝트 현황

용량

지원 기관

El Kureimat III

700 MW

ADB

Cairo North I

750 MW

AFESD, EIB, IDB

Cairo North II

750 MW

EIB, OPEC

Cairo West

700 MW

AFESD,KFAED,OPEC

Noubra I. II

750 MW

AFESD. KEAED, EIB

Talkha

750 MW

KFAED, EIB

El Kureimat II

750 MW

OPEC, EIB

El-Atf

750 MW

AFEESD, KFAED, EIB

Sidr Krir

750 MW

EIB

El Kureimat I

700 MW

USAID

El Tebbin

700 MW

IBRD

Zafarana I~IV 풍력

160 MW

스페인,덴마크

Zafarana  풍력

120 MW

JBIC, GEF

Kureimat 태양열 복합발전

150.MW

JBIC (1억5천만 불 차관)

Gef(Global Environement Faciltiy/

4천9백만 불 무상원조)

자료: 아프리카개발은행

 

□ 전력 확충 계획 및  추진 프로젝트 자금 지원기관 현황

 

장기 전력 확충

-이집트는 2027년 까지 장기 전력 확충 계획을 마련하여 2007년 기준 21,944 MW의 전력 생산량을 2027년 까지 76,775.5 MW로 확충할 예정임.

-발전원별로는 풍력발전 비중이 현재의 1.0%에서 2027년 10.1%로 크게 증가할 전망인데 이집트 발전의 향후 재원 조달 방식도 과거와 유사한 국제기구 원조와 자국 일부 조달 형식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임.

 

이집트 전력 생산 장기 계획 요약

유형

2007

비중

2008~

2017

비중

2018~

2017

비중

합계(MW)

비중

화력

-복합

-스팀

 

7365

11571

 

33.6%

52.7%

 

8227

9472.5

 

34.3%

39.5%

 

11020.5

13447.5

 

35.7%

43.6%

 

26594.5

34491

 

34.6%

44.9%

수력

2783

12.7%

32

0.1%

 

 

2815

3.7%

태양열

 

 

150

0.6%

 

 

150

0.2%

풍력

225

1.0%

5100

21.3%

2400

7.8%

7725

10.1%

원자력

 

 

1000

4.2%

4000

13.0%

5000

6.5%

합계

21944

100%

23981.5

100%

30850

100%

76775.5

100.0%

자료원 : World Bank

 

향후 프로젝트 자금지원 기관

- 현재 입찰 진행 중이거나 일부만 낙찰된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는 Ain El Sokhna, Abu Qir, Nuwaiba 3개 프로젝트로임.

-  3개 프로젝트 모두 국제기구 원조와 이집트 정부측 자금 조달이 혼합된 형태의 재원 조달이 이루어지고 있음.

 

3개 발전소 건설별 자금 지원 내역

발전소

용량

재원

세부내역

Abu Qir

1300MW

ADB, IDB, AFESD,KFAED

ADB(324백만 불)

IDB (155 백만 불)

AFESD(103백만 불)

KFAED(98백만 불)

이집트정부(640백만 불)

Ain El Sokhna

1300MW

IBRD, ADB, AFESD

ADB(550백만 불)

AFESD(208백만 불)

IBRD(600백만 불)

이집트정부(831백만 불)

Nuwaiba

750MW

ADB, EIB

NA

자료 : 이집트 전력공사, World Bank

 

□ 활용방안

 

국제기구 자금 지원시 자금 지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전 타당성 검토를 실시하고 있는데 타당성 검토시 적용 기술 세부사항에 대한 검토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관심 프로젝트가 있는 경우 자금 지원 기관의 기술 관련 담당자를 통해 정확한 기술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입찰 준비에 유리함.

 

자금 지원기관의 사전 프로젝트 타당성 검토 보고서는 대부분 공개되어 있으며 프로젝트 세부내역부터 자금지원기관, 향후 계획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관련 정보를 수집 활용 가능

 

이집트 전력 프로젝트 특성상 자금지원 국제기관의 지원비율은 정부측 재원에 비해 낮기 때문에 발주처인 전력공사와의 네트워크 구축도 프로젝트 진출을 위해서는 중요한 요소임.

-주요 전력 기업인 Alstom, Mitsubishi, Siemens, Hitachi, Ansaldo 등은 이집트에 사무소를 두고 있어 전력공사와의 네트워크 구축을 하고 있는 상황임.

-대형 전력프로젝트의 경우 사전 워크샵 참가를 통해 경쟁사 동향과 기술검토에 대해 사전에 대비하는 전략도 함께 구사할 필요가 있음.

 

정보원 : 아프리카 개발은행, 세계은행, 이집트 전력공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집트 전력프로젝트 재원분석과 활용방안)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