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르단, 외국인 투자 5년만에 첫 감소
- 투자진출
- 요르단
- 암만무역관 권중헌
- 2009-02-19
- 출처 : KOTRA
-
- 중동의 안전지대 평판 무색, 세계적 금융위기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해 -
-우리기업 진출은 오히려 늘어, 원전 협력 등 정부간 협력사업 성사 시 더욱 확대 기대 -
보고일자 : 2009.2.19
권중헌 암만 KBC
1. 정보 요약
ㅇ 최근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던 요르단에 대한 외국인 투자 규모가 2008년 들어 5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를 기록함.
ㅇ 암만 KBC의 요청의 의거, 요르단 투자청 (JIB)이 제공 (공식 발표는 하지 않은 상태)한 2008년도
총투자 및 외국인 투자동향 자료에 따르면, 2008년 중 요르단에 대한 외국인 투자는 총 7억 9천만
불로서 전년 비 47%가 감소함.
ㅇ 지난 2003년 1억 2천만불을 기록한 이후 유가 상승을 배경으로 걸프지역 자금이 집중 유입되면서
2006년에는 사상 처음으로 10억불을 돌파하는 등 급상승 곡선을 그려왔던 외국인 투자가 5년
만에 전년대비 거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것임.
- 세계적 금융위기의 여파로 인해 걸프지역 국가들로 부터의 투자자금 유입이 예상외로 크게, 빠르
게 줄어들고 있다는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 당국자들에게는 큰 충격
- 실제로, 사해(Dead Sea)와 압달리 재개발 지역 등 외국인 투자자금의 유입이 많았던 지역의 투
자 분위기가 2008년 하반기 이후 급냉각
ㅇ 국가별로는 영국이 사해 지역에 새로이 짓고 있는 인터컨티넨탈 호텔 (2012년 완공 계획) 투자를
신규 추진하면서 총 3억 3천만불을 투자, 2008년 중 1위의 투자국으로 올라섰으며, 2007년 중 총
4억불을 투자하여 1위에 올랐던 바레인은 2008년에는 5위로 밀려났음.
ㅇ 2위는 1억 6천만불을 기록한 UAE, 그리고 3위와 4위는 사우디 (1억 2천만불)와 이라크 (9천 7백만
불)가 차지함.
- 2007년 중 1억 2천만불을 투자하여 3위에 올랐던 미국은 2008년에는 6백만불로서 8위로 떨어졌
으며, 비 아랍권 국가들 중에서는 1위를 기록한 영국에 이어 프랑스가 1천 2백만불로서 7위를 기
록함.
* 프랑스는 2000년대 초반 요르단의 민영화 사업에 가장 많이 참여 (이동통신, 항공 등)하였으며
2008년말 현재 프랑스 기업들의 대 요르단 총투자는 13억 유로
(Jordan Times 2009.2.19일자 보도)
국가별 대 요르단 투자 (단위 : US$ 백만)
순위
국가 명
2007
2008
1
영국
19
333
2
UAE
8
165
3
사우디아라비아
146
128
4
이라크
97
94
5
바레인
414
21
6
팔레스타인
20
16
7
프랑스
-
12
8
미국
118
6
9
레바논
-
3
10
이집트
-
3
11
쿠웨이트
9
2
12
카타르
71
2
기타
580
7
계
1,482
792
참고) 2007년 중 인도 (US$ 71백만), 중국 (US$ 44백만), 캐나다 (US$ 19백만),
파키스탄 (US$ 12백만) 등이 주요 투자국에 올랐음.
자료 : JIB
아랍/비아랍 국가별 대 요르단 투자 추이 (단위: US$ 백만)
구분
2005
2006
2007
2008
아랍 국
299
1,090
765
434
비 아랍국
91
97
717
358
자료 : 상동
ㅇ 한편, 외국인 투자와 함께 발표된 2008년도 총투자 (Local + FDI)도 최근 5년내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집계되었음.
- 내국인투자 (Local)의 증가에도 불구, 외국인 투자 (FDI)의 큰 폭 감소로 인해 전년비 13%가
감소
연도별 총 투자 추이 (단위: US$ 백만, ( )내는 전년비 증감률)
연도
총 투자
증감률
2005
1,058
+79%
2006
2,304
+117%
2007
3,137
+36%
2008
2,733
-13%
자료 : 상동
ㅇ 산업별로는 (총투자만 집계되고 외국인투자는 미집계) 제조업 투자가 총 413건에 15억 불로서
가장 비중이 높았으며, 이어 도로, 물류, 가스, 오일 등 인프라 분야와, 호텔, 리조트 분야 등의
순이었음.
산업별 총 투자 (단위: 건, US$ 백만)
산업
2007
2008
건수
금액
건수
금액
제조업
380
2,488
413
1,516
호텔
13
575
17
972
도로, 물류, 가스. 오일
등 인프라
0
0
7
121
병원
6
40
10
65
리조트
1
0
11
41
농업
19
24
9
18
컨벤션, 전시
2
10
0
0
철도, 해운
0
0
0
0
계
421
3,137
421
2,733
자료 : 상동
2. 평가 및 전망
ㅇ 요르단 투자청(JIB)에 따르면, 2008년 중 외국인 투자감소는 세계적인 금융위기의 여파로 인해
타격이 큰 UAE 등 걸프국가들로 부터의 투자가 급격히 감소함에 따른 결과로 풀이됨.
ㅇ 즉, 요르단의 경우 세계경제에의 편입 정도가 낮아 금융위기로 인한 직접적인 영향은 2008년 말
현재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었지만, 외국인 투자가 감소한 것은 투자 부문에서는 이미
그 영향권에 접어들었음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향후 1-2년 동안 외국인 투자 유치 부진에 대한 우
려감이 높아가고 있음.
- 경상수지가 만성적인 적자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투자자금 유입 감소에 따른 자본 수지 악화로
인해 국제수지 빨간불 불가피 예상
ㅇ 한편, 외국인 투자 감소에도 불구, 우리 기업들의 요르단 진출은 2008년 중 오히려 활기를 띠고
있음.
ㅇ 수출입은행의 해외투자 통계정보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대 요르단 투자규모는 2009년. 2월 현재
총 23건, 투자금액은 15,158천불로서 그리 큰 규모는 아님.
- 2008년 중 투자실적은 LG전자 레반트 법인 설립 1건 (투자금액 : 5,000천불)
ㅇ 최근 한국기업들의 대 요르단 진출은 투자진출 보다는 건설 플랜트 프로젝트 수주에 의한 건설 관
련 기업들의 진출이 크게 돋보이고 있다는 점이 특징임.
- 2008년 중 롯데건설과 코오롱 건설, STX중공업 등이 신규로 공사를 수주하면서 프로젝트 사무소
를 설치한데 이어 2009년에는 한국전력, LS전선 등도 추가 진출 예정으로 있어 조용했던 요르단
이 갑자기 한국의 건설 관련 기업들로 크게 붐비고 있음.
ㅇ 건설 부문에서의 이 같은 호조는, 현재 양국 정부간 전략적 협력사업으로 추진을 준비하고 있는
원자력 발전소 건설, 홍해-사해 대수로 건설, 담수화 프로젝트, 방위산업 등의 분야에서의 협력 등
이 2009년 중 본격화 될 경우, 앞으로 국내기업들의 요르단 진출은 사상 최대 규모로 늘어날 것으
로 예상됨.
- 원전과 대수로, 담수화 프로젝트는 2008.12월 요르단 국왕의 한국 방문 시 양국 정부간 전략적
협력을 위한 MOU를 기 체결하였으며, 현재 관련 정부 부처 및 기업 간 세부협력 방안이 본격적
으로 논의 되고 있음.
ㅇ 유가 하락과 걸프지역 국가들의 프로젝트 발주 취소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 요르단 양국
정부간 대규모 프로젝트에서의 전략적 협력을 바탕으로 요르단이 우리 기업들의 새로운 ‘불루오
션’ 지역으로 부상되고 있는 바, 국내 관련 기업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요망됨.
ㅇ 참고로, 최근 우리기업들이 수주하여 2009.2월 19일 현재 진행 (혹은 준비) 중인 건설 플랜트 프로
젝트는 다음과 같음.
분야
프로젝트 내용
수주 업체
비고
발전
1)알 카트라나 복합 화력
발전소 건설
한전(원청),
롯데건설 (시공)
-우선협상자로 선정
-2009. 2-4월 중 PF
및 세부가격협상 추진
2)Amman East 복합 화력
발전소 건설
두산중공업
(시공)
-2009.7월 완공예정
*원청사는 AES-Oasis(미)
전력
1)암만 시내 송전망 가설
LS전선
-2009.2월말 확정
2)요르단 전력공사 변전소
설비 (변압기) 납품, 설치
효성
-2009.2월중 확정
폐수
처리
1)암만 남부 폐수 처리시설 건설
이산 (설계)/
코오롱건설
(시공)
-EDCF 자금지원 사업
-건설장소 이전으로
공사규모 확대,
-2009.3월중 착공예정
제조
플랜트
1)알 카트라나 시멘트 공장 건설
STX중공업
(시공)
-2008.10월 개시
*원청사는 Mid Contractor
2)요르단 정유공사 LPG
저장탱크 건설
롯데건설
(원청시공)
-2008.10월개시
3)MEC 가전제품 공장건설
프로젝트에 생산라인 및
기자재 공급
*MEC :요르단 최대 가전회사
로서, 현재 LG와 삼성,대우
전자제품 SKD 현지생산 중
대우전자
-공사 주체 : MEC
-국내의 대우전자
전자 협력업체들과
들과 함께 수행
참고) 기업 정보보호를 위해 공사 금액은 표기대상에서 제외
정보원 : 요르단 투자청 및 자체 보유정보.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요르단, 외국인 투자 5년만에 첫 감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아제르바이잔, 건설경기 호황에 건설용 철강제품 수요 증가
아제르바이잔 2009-02-19
-
2
인도, PC시장 수요 증가세 꾸준
인도 2009-02-19
-
3
중국 특허법 실시조례 개정예정
중국 2009-09-14
-
4
中 차스닥, 오는 10월경 개장
중국 2009-06-30
-
5
中, 사례로 본 공장 건설시 주의점
중국 2009-08-19
-
6
2008 필리핀 외국인직접투자 제조업 비중 줄고, 광물, 건설 늘어
필리핀 2009-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