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09년 홍콩 소매시장 트렌드 및 마케팅 포인트
  • 경제·무역
  • 홍콩
  • 홍콩무역관 박은균
  • 2009-01-21
  • 출처 : KOTRA

2009년 홍콩 소매시장 트렌드 및 마케팅 포인트

- 연말 소비침체 최악, 2009년 홍콩소매시장 4% 감소 전망 -

- 미용과 식품 소매시장 유망, 브랜드 강화에 중점 -

 

보고일자 : 2009.1.21.

홍콩 코리아비즈니스센터

박은균 hanguo@kotra.or.kr

 

 

□ 2008년 연말 소매시장 침체

 

 ○ 2년 내 소매판매액 최저

  - 세계 금융위기로 인해 U-right, 크리스피크림 도넛, Tai Lin 전자제품 유통, 메구로 스시 등 많은 소매업체들이 문을 닫고 있음. 현재 홍콩 소매시장은 침체하고 있으며, 2008년 3분기 주요 소매지역의 판매는 두자릿수의 감소세를 보임. 2008년 10~12월 중 소매 판매는 연말에도 3분기 판매량보다 3.4% 줄었음.

  - 홍콩 가계소비 축소와 관광객 감소로 인해 2007년 1월 이후 처음으로 작년 10월 소매업 판매량이 전년 동기대비 4.3%나 줄었음. 생활필수품을 제외한 대부분의 품목 판매가 감소했으며, 특히 시계류 및 고가품 판매가 타격이 가장 커 동기 대비 8% 이상 감소했음. 소매업이 이처럼 위축되자 부동산 시장도 침체양상을 보이며 부동산 임대도 감소함.

 

홍콩 소매 판매 변화율 추이

  자료원 : 홍콩통계청

 

○ 크리스마스 대목에도 고가품 판매 저조

  - 홍콩 소매관리 연합에 따르면 보통 12월 매출은 크리스마스 시즌을 맞아 소매점들이 큰 할인을 시행해 소비가 폭등하는 경향이 있으나 올해는 전년 동기대비 2%~3% 감소했음. 이러한 저조한 판매율은 내수시장 약화를 시사하며, 심지어 소매점들은 금년 춘절 연휴 판매에 대한 기대도 낮은 실정임.

  - 특히 의류, 시계 및 귀금속류 등 고가품의 매출이 크게 감소했음. Kun Tong의 APM 쇼핑몰 관계자에 따르면 중국인 관광객들로 인해 화장품류의 판매율은 두 자리까지 상승했으나 시계 및 귀금속류의 매출은 전달인 11월보다 30%까지 떨어졌다고 함.

 

□ 홍콩 소매기업들의 고객유치 전략

 

 ○ 쇼핑몰 전문성 강화

  - 쇼핑센터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동종 업계 브랜드를 집중시켜 백화점과 차별화된 전문 분야를 강화해 고객들을 유치하고 있음.

  - 예를 들어, 샤틴(Shatin) 소재의 그랜드 센트럴 플라자(Grand Central Plaza)쇼핑몰은  규모를 확장해 원스탑 홈 데코레이션 센터로 업그레이드 했음.

  - 유명 브랜드(가구, 홈 액세서리, 조명, 가전제품 등)와 Ikea, Ulfer, Alessi 등의 인테리어 상점들이 입점해 쇼핑몰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한 번에 들러서 여러 브랜드를 비교하고 구매할 수 있음.

 

사진 : 홍콩의 쇼핑몰

 

 ○ 할인 확대 및 영업시간 연장

  - Coach, Tommy Hilfiger, Ztampz, S.Culture 등의 브랜드는 ‘회원 단독 세일’을 11월부터 실시했고 Sincere, Sogo, Lane Crawford 및 Tata 백화점은 보통 때 보다 연말 세일을 일찍이 시작했음.

  - 각종 브랜드 샵은 가격을 다시 한번 낮추는 “Further Sale”을 통해 겨울 상품 재고 판매를 촉진하고 있음. 또한 일부 브랜드들은 창고 대개방을 개최하고 있으며 작년 말 고가품으로는 드물게 창고 대개방을 개최한 “Chloe" 행사장에는 100여 명의 소비자들이 줄을 서서 입장하는 등 성황을 이루었음.

  - 일부 쇼핑몰은 영업시간을 이례적으로 연장하고 있음. 7시 30분이면 대부분의 상점이 문을 닫던 IFC몰은 최근 9시까지 영업하는 상점이 출현하고 있으며, 쇼핑센터 Sino Group은 새벽 2시까지 영업을 하기도 했음.

 

  

사진 : Chole 창고 대개방

 

 ○ 연간 회원권 판매를 통한 단골 확보

  - 헬스장, 미용센터, 바 등 홍콩의 각종 서비스 업소는 연회원권이 보편화 돼있음. 불경기로 인해 매출이 감소하자 통한 할인 혜택을 강화한 회원권 마케팅이 증가하고 있음.

  - 그러나 이러한 대규모 할인 혜택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은 연회원 가입을 기피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기업 도산에 대한 우려 때문인 것으로 나타남.

 

 ○ 요식업계 1억 홍콩달러 상당의 쿠폰 발행

  - 500여개의 홍콩 레스토랑들은 겨울 할인 시즌 이후 최악의 소비침체를 우려해 1억 홍콩달러 상당의 쿠폰을 발생해 소비를 진작시킬 계획임.

  - 홍콩요식업 연합회 회장 Mr.Simon에 따르면 원래는 2천만 홍콩달러 상당의 쿠폰을 제작할 계획이었으나 회원사들의 발행 부수 확대 요청으로 5배 증액했다고함. 또한 연합회는 1만개의 행운백을 제작해 일정 수준의 소비를 한 사람에게 쌀, 소스, 오일 등 500 홍콩달러 상당을 행운백에 담에 배포할 예정임.

 

 ○ 금요일 소비, 10% 할인

  - 홍콩의 대표적인 유통기업인 ParkNShop과 Mannings, Jusco등은 HSBC은행과 협력해 금요일에 HSBC 신용카드로 소비하는 금액에 한해 10% 할인해주는 ‘최홍싱치우(最紅星期五)’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음.

  - 상기 유통매장들은 홍콩가정에서 평균 일주일에 1~2번은 방문하는 곳으로 2월말 까지 진행되는 동 이벤트로 홍콩 소비자들의 가계 부담이 일부 해소되고, 소비도 진작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2009년 연초 소비 트렌드

 

 ○ 소매품 중, 생활필수품 매출 두드러져

  - IMF 경기침체 때에도 중저가 식당, 슈퍼마켓, 식료품점 등 필수품 판매 매장은 매출이 최악까지는 가지 않은 바, 이번 경기침체에도 생활필수품 관련 업계의 매출은 일정 수준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연초 소비자 두드러진 분야는 연료, 가구, 생활용품, 가전제품 등이며, 2008년 연말과 2009년 연초까지 23일 동안 진행된 ‘홍콩 브랜드 및 상품 엑스포’에서도 생활필수품, 식료품의 판매가 가장 높았음.

 

 ○ 품질 선호 현상 여전

  - ‘홍콩 브랜드 및 상품 엑스포’ 주최사인 중국제조업협회 부회장 Ms. Irons에 따르면, 홍콩 소비자들의 품질 선호 현상은 여전했으며, 다소 비싼 가격이라도 품질대비 합리적이라고 생각되면 구매하는 경향이 높았다고 함.

  - 주최측은 최근 경기 침체로 인한 소비위축으로 방문객 수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작년보다 25만명 많은 216만명이 방문했으며, 총 판매액도 작년 대비 1/3 증가하한 2억7000만 홍콩달러를 기록했음. 이는 합리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홍콩인들의 소비패턴을 뚜렷하게 보여준 것임.
 

 ○ 저렴하면서 실용적인 상품 인기

  - 홍콩 네티즌들이 즐겨 찾는 온라인 생활용품점의 1월 인기 아이템 품목에 의하면, 저렴하고 활용도가 높은 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음.

  - DIY 제품 인기 상승과 건강 관심 증가가 온라인 몰에도 반영돼 가정에서 미용 관리를 할 수 있는 피부관리기, 마사지기계, 안대, 안마기 등이 인기를 얻고 있음.

  - 이외 휴대용 보온제품(난로, 발열조끼) 및 청소기 등의 소형 가전이 인기 상품임.

 

홍콩 온라인샵 인기 아이템

제품

내용

○ 멀티 초음파 피부 미용기

 - 소매가 : 1,380 홍콩달러

 - 특  징 : 각질제거 및 피부 보호막 형성에 탁월

○ 인공지능 청소기

 - 소매가 : 4,680 홍콩달러

 - 특  징 : 인공지능 기능, 강력한 흡입력, 쓸고 닦는 기능 및 살균 소독 기능 내제

○ 이어 클리너

 - 소매가 : 268 홍콩달러

 - 특  징 : 귓속 위생에 탁월. 간편한 귓속 이물질 제거

○ 휴대용 충전식 도자기 난로

 - 소매가 : 380 홍콩달러

 - 특  징 : 충전 가능 난로. 500회 이상 사용가능

○ SPEED D5 디지털 캠코더

 - 소매가 : 1,380 홍콩달러

 - 특  징 : 권총을 쥐는 듯한 형태의 안정적 형태

○ 발열조끼

 - 소매가 : 930 홍콩달러

 - 특  징 : 탄소섬유를 이용해 발열. 500회 까지 사용 가능한 배터리 내장, 안전성 확보

○ DIY 아기 발 도장 만들기

 - 소매가 : 580 홍콩달러

 - 특  징 : 신생아의 손이나 발 도장을 즉석에서 제조

○ I-Roller 얼굴 마사지 기계

 - 소매가 : 980 홍콩달러

 - 특  징 : 혈액순환, 대사촉진, 주름개선, 피부노화방지 등에 효과

○ 기압식 미용안대

 - 소매가 : 980 홍콩달러

 - 특  징 : 기압식 안마, 진동의 원리로 다크써클, 붓기 등을 해소

○ 저주파 목 안마기

 - 소매가 : 268 홍콩달러

 - 특  징 : 국부 혈액순환 촉진, 신진대사 촉진

     자료원 : www.JCshop.com

  

□ 2009년 홍콩 소매시장 전망과 마케팅 포인트

 

 ○ 2009년 2분기-3분기 소비침체 심화 예상

  - 작년 4분기부터 시작된 소비 침체 현상은 올해도 감원, 급여삭감, 부동산 및 주식가격 하락 등으로 소비자들의 소비 심리는 더욱 위축될 것으로 보임. 현재 홍콩의 소비자 심리는 2003년 사스때와 비슷함.

  - 또한 홍콩인들은 1분기에 1년 세금을 한꺼번에 내야 하므로 1사분기에 세금을 내고 난 후 2분기에는 지출을 더욱 자제할 것으로 예상됨. 홍콩 경제기관에서는 2009년 홍콩 소매 시장 성장률은 4%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하지만 정부의 경기부양책 추진, 여행업․요식업․소매점 등의 각종 할인 정책 등은 얼어붙은 홍콩 소비자들의 소비 심리를 점점 회복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 중가시장 공략

  - 경기 침체와 고용 불안이 심화됨에 따라 홍콩소비자들은 사치품 소비를 줄이고 있으나 품질을 고려한 합리적인 소비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남. 그동안 한국 제품은 일본, 유럽, 미국의 브랜드 파워와 중국의 가격 경쟁력에 밀려 어려움을 겪었으나, 최근 경기 악화에 따른 고가품 소비 위축과 위안화 상승에 따른 중국 제품의 가격경쟁력 상실 등으로 합리적인 가격의 믿을만한 품질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 제품들은 홍콩시장에서 약진이 전망됨. 현재 한국제품의 포지셔닝이 현 소비추세에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는 바, 합리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홍콩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이 기대됨.

  - 예를 들어 홍콩 코리아비즈니스센터 지사화 기업인 남양의 경우 최근 홍콩 유력 화장품 유통기업 아사나 그룹에 자기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마스크팩 납품에 성공함. 그동안은 일본과 유럽의 고가 화장품 팩에 밀려 시장 진입이 어려웠으나 최근 소비트렌드 변화로 기술력이 우수하고, 가격경쟁력까지 갖춘 남양 마스크팩에 홍콩 바이어들이 눈을 돌린 것으로 분석됨.

 

 ○ DIY 시장 각광

  - 홍콩은 사람이 직접 하는 서비스의 경우 매우 고가로, 최근 가계 소득 감소로 DIY 제품들이 각광을 받고 있음. 주요 인기 DIY 제품으로는 가구, 귀금속, 인형, 미용제품 등임.

  - 특히 미용에 대한 관심이 많은 홍콩 여성들은 높은 가격을 지불해야 하는 피부관리실 서비스보다 집에서 사용 가능한 미용제품(DIY 네일아트)들을 구입하는 경향을 보임.

 

 ○ 브랜드 강화에 주력

  - 홍콩 내 한국 식품 최대 수입 바이어 Goldtop Century사 Icey 과장의 인터뷰에 따르면, 한국 제품은 홍콩 소매시장에서 한류와 삼성, LG의 선전으로 양호한 인지도를 갖고 있다고 함. 하지만 일본 제품에 비해 아직 인지도가 낮기 때문에 한국 제품이 갖고 있는 우수한 디자인과 품질, 한류로 인한 긍정적 이미지를 더욱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고 충고함.

  - 또한 남양 마스팩을 수입한 ASANA사 Carol 이사와 인터뷰한 바에 따르면 한국 화장품은 한류의 영향으로 홍콩 소비자들의 관심 유도에 성공했다고 함. 라네즈, 설화수 등은 전세계 화장품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홍콩의 고가 화장품 시장에서도 선전하고 있음. 하지만, Carol 이사는 한국 화장품의 강한 임팩트가 부족함을 지적했음. 일본은 품질과 관리면에서 이미 홍콩 바이어들을 사로 잡았으며, 유럽·미국 제품은 브랜드 파워면에서 뛰어남. 따라서 한국 제품이 홍콩 소매시장에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브랜드를 강화하는 마케팅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고 지적함.

 

 

자료원 : 홍콩바이어 인터뷰, 홍콩언론종합, 홍콩무역발전국, 홍콩통계청, Knight Frank 보고서('Hong Kong Retail')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09년 홍콩 소매시장 트렌드 및 마케팅 포인트)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