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노베이션이 필요한 영국 선물시장
- 경제·무역
- 영국
- 런던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8-11-29
- 출처 : KOTRA
-
리노베이션이 필요한 영국 선물시장
보고일자 : 2008.11.29.
런던 코리아비즈니스센터
□ 개요
○ 영국 선물용품시장은 매출액 기준 약 4억5700만 파운드 규모로, 이는 품목별로 완구 및 게임기, 귀금속 및 시계, 도자기, 유리제품, 가죽제품으로 나눠짐.
○ 점차 혼인율의 감소 및 혼인절차 간소화 등 전통적 방식의 선물시장이 침체되고 있는 반면, 점차 최첨단 전자제품 등이 선물시장의 주요 품목으로 상위랭크되는 등 현재 선물용품 시장은 높아진 소비자 안목과 취향을 고려한 리노베이션이 필요한 시기임.
□ 시장 동향
○ 품목별 분류 중에서 가장 높은 소매시장 점유율을 보인 품목은 귀금속 및 시계류와 완구 및 게임용품임.
○ 선물용품 시장은 크게 용도 및 목적에 따라 개인 선물용품과 회사차원에서 지급하는 판촉용 선물용품으로 나눠짐.
○ 판촉용 선물용품은 고객에게 감사의 표시로 혹은 직원 사기증진, 또는 브랜드 홍보 및 판촉 등의 목적으로 제작된 것을 말하며, 시장규모는 대략 1억 파운드 규모를 차지하고 있음.
○ Debenhams, Marks & Spencer, Next, Boots, House of Fraser and John Lewis 등 일반 소매점 체인을 통한 선물용품 구매는 다소 그 성장률이 감소하고 있는 반면, 온라인 구매를 통한 선물 시장은 지속적인 확대를 보이며 100억 파운드 이상의 매출액을 기록하고 있음.
○ 고품질의 저가상품들이 대거 등장함에 따라 시장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음. 이는 소비자들에게 있어서는 저가의 더 다양한 제품 구매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
○ 패션잡화 등의 명품 브랜드에 있어서 브랜드 확장이나 서브브랜드의 활성화가 보편화되고 있으며, 이는 기존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나 명성은 그대로 유지한 채 다른 시장에서의 성장을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을 통해 주요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음.
□ 마케팅 전략
○ 선물용품 시장의 주요 문제인 복제품 또는 가짜 제품에 대한 우려로, 이에 대응해 진품 확인표시 부착 등의 방안이 요구됨.
○ 완구나 게임기 등 어린이를 위한 제품은 특히 안전과 위생에 철저한 검사를 요함. 실제 영국 내에서 대량 판매되는 중국산 제품들의 전량 리콜 사태로 완구시장에 큰 문제를 일으킨 바 있음.
○ 한편 성인을 위한 게임기 등의 상품이 특정 시장을 차지할 정도로 그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앞으로 하나의 틈새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
○ 영국 통계청에 의하면 2005년 기준, 16세 이하 인구가 25%(1971년)에서 19%로 하락했으며, 점차 감소하는 출산율 및 아동 인구수를 감안했을 때 새로운 타깃마케팅 전략이 요구됨.
□ 전망 및 시사점
○ 어린이들의 성장속도가 빨라지면서 더 이상 단순한 장난감을 선호하지 않는 경향이 보임에 따라, MP3나 휴대폰·컴퓨터 등과 같이 멀티미디어의 기능을 결합한 기능의 보강이 필요함.
○ 판촉용 선물용품시장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품질 향상과 개인고객 맞춤화 등의 전략이 필요
○ 한국기업들의 경우 중국이나 인도 등으로부터 들어오는 저가공략을 펼치는 수입상품으로 인한 가격요소에 대한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원자재 및 생산비 등의 효율적인 조절이 필요
자료원 : Keynote, The Giftware Association, KOTRA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리노베이션이 필요한 영국 선물시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英, 바닥난방재 시장 확대
영국 2008-11-29
-
2
[금융위기] IMF, 우크라이나 구제금융 지원 결정
2008-10-28
-
3
독일, 내비게이션 시장동향
독일 2008-10-28
-
4
폴란드, 컴퓨터 판매 증가속 노트북이 전체시장 견인
폴란드 2008-09-29
-
5
[금융위기] 베네수엘라 최근 거시경제동향 및 전망
베네수엘라 2008-11-08
-
6
이탈리아 라이선싱 사업 추진 시 고려할 사항
이탈리아 2008-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