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베트남, 정유공장 건설 프로젝트 활발
  • 투자진출
  • 베트남
  • 호치민무역관 김동현
  • 2008-11-21
  • 출처 : KOTRA

베트남, 정유공장 건설 프로젝트 활발

- 지속적인 에너지 수요 증가에 대비, 외자유치 적극 희망 -

 

보고일자 : 2008.11.21.

호찌민 코리아비즈니스센터

김동현 maestrong@korea.com

 

 

□ 대만 포모사 그룹, 150억 달러 규모 정유공장 건설 추진 중

 

 ○ 최근 베트남 정부는 대만 포모사 그룹의 중부 Ha Tinh성 지역에 대한 162억 달러 규모의 정유 및 발전 프로젝트를 가승인했다고 함.

 

 ○ 연간 정제능력 1500만 톤 규모의 정유공장 건설에는 150억 달러가 투입될 예정이며, 1200㎿ 규모의 발전소 건설에는 12억 달러가 투입될 예정임.

 

 ○ 또한, 정유공장은 포모사 중공업이 Vung Ang Economic Zone에 79억 달러 규모로 추진 중인 철강공장과 인접하게 될 예정임.

 

 ○ 이 승인이 이뤄질 경우, 베트남에서 4번째로 승인받은 정유공장 프로젝트가 될 전망임.

 

□ 베트남, 정유공장 건설 프로젝트 활발

 

 ○ 올 3월 베트남 석유공사(PetroVietnam)는 북부 Thanh Hoa성 Nghi Son 지역에 정유 및 석유화학 단지 개발을 위해 일본 및 쿠웨이트 기업들과 조인트벤처 설립 협정을 체결

  - 이 프로젝트는 1단계 소요재원만도 60억 달러 이상일 전망이며, 지분 구조는 베트남 석유공사 25.1%, 일본 IKC(Idemitsu Kosan Co., Ltd.) 35.1%, 쿠웨이트 석유회사(KPI) 35.1%, 일본 Mitsui Chemical 4.7%임.

 

 ○ 중부 Dung Quat 지역 정유공장에 이어 베트남 제2의 정유공장이 되는 것이며, 건설 기간은 2010년부터 5년이 걸릴 예정임.

 

 ○ 프로젝트 관계자에 따르면, Nghi Son 정유 및 석유화학 단지는 1단계로 연간 1000만 톤의 원유를 정제할 예정이며, 최종 2000만 톤을 정제하는 것을 목표로 건설될 예정이라고 함.

  - 이 정유공장에 투입될 원유는 전량 쿠웨이트 석유회사가 장기간 공급하게 돼 원유 조달 안정성 확보

 

 ○ 베트남 정부는 인프라 개발, 부지 정리, 유통권리 보장, 소비시장 확보, 조세우대정책 등을 통해 이 프로젝트를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힘.

 

□ 지속 증가하는 에너지분야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외자유치 적극 희망

 

 ○ 베트남 정부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베트남은 2010년까지 1만2000㎿의 전력을 추가 생산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연간 30억~40억 달러 규모의 외국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함.

 

 ○ 또한, 이 고위관료는 원유 및 가스 시장과 연료 유통분야도 외국기업들에 개방될 것이라고 함.

  - 그동안 베트남 정부는 외국기업들의 베트남 정유산업분야에 대한 투자를 적극적으로 희망해 왔음.

 

□ 베트남, 원유 및 천연가스 수출국이나 연료나 유화제품은 수입 중

 

 ○ 베트남은 2007년 기준 약 1572만 톤 규모의 원유 수출국이나 정유시설이 없어 연료나 유화제품을 수입해서 사용하고 있음.

  - 2007년 기준 베트남의 천연가스 생산량도 69억㎥에 달함.

  - 2007년 기준 베트남 GDP에서 원유 및 천연가스 생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10%를 상회함.

 

베트남 원유 수출 추이

 

2005

2006

2007

수출량(천 톤)

17,967

16,600

15,720

수출액(백만 달러)

7,373

8,265

8,800

자료원 : Statistical Yearbook 2007, Vietnam Economic News

 

 ○ 연료 및 유화제품 수입량은 연간 1300만 톤 규모에 달하고 있으며, 급격한 경제 성장에 따라 수입 수요가 더욱 커질 전망임.

  - 2010년에는 연료 및 유화제품 수요량이 연간 2000만 톤 규모에 달할 전망임.

 

 ○ 이러한 사실은 베트남의 에너지 안보에 중대한 위협이 되고 있으며, 베트남 정부는 수상이 직접 나서서 정유산업 개발을 추진 중인데, Dung Quat 지역이 첫 번째 정유산업 프로젝트 지역으로 선정됐었음.

 

 ○ 전문가들에 따르면, 베트남 중부 Dung Quat에 건설 중인 대규모 정유공장이 2009년부터 가동될 경우 경제 중심지인 남부 호찌민 지역까지의 운송비 부담은 커질 것이나, 기간 인프라 집적화에 따른 효율성이 이를 상쇄하고도 남을 것이라고 함.

  - Dung Quat 지역이 정유공장을 건설하기 위한 최고의 지역은 아니나, 베트남 정부가 국가 균형 발전을 위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중부지역을 우선 선정

 

 ○ 또한, Dung Quat 지역에 정유산업 단지가 완공되면 중국 남부지역이 비교적 규모가 큰 시장이 될 수 있음.

  - 중국 남부지역에 대한 원유 및 석유 공급을 위해 싱가포르와 충분히 경쟁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됨.

 

베트남의 유정 테스트 모습

 

□ 시사점

 

 ○ 베트남은 산업발전단계에서 석유화학 산업을 비롯, 도로·항만·건설 등 기간 인프라 분야에 대한 수요가 매우 큼.

 

 ○ 직접적인 투자진출 이외에도 기계설비류 등 연관 제품 수출 가능성이 매우 높음.

 

 

자료원 : 베트남 뉴스, 관세청, 코리아비즈니스센터 자체 조사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정유공장 건설 프로젝트 활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