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기] 中, 고향으로 돌아가는 농민공과 창업 붐
- 경제·무역
- 중국
- 청두무역관
- 2008-11-06
- 출처 : KOTRA
-
- 금융위기로 귀향 농민공 빠르게 증가 -
- 귀향 농민공 창업으로 농촌 경제발전과 농촌 개혁 이끌어 -
보고일자 : 2008.11.6.
청두 코리아비즈니스센터
□ 금융위기와 갈 길 잃은 농민공
○ 중국의 경제 발전을 이끈 건설 노동자, 생산근로자로 ‘민꿍챠오(도시로 직장을 찾아 떠나는 농민공 물결)’를 이끌었던 중국의 농민공(2007년 기준 약 2억2600만 명, 이 중 다른 지역(省) 파견 농민공은 1억2600만 명)은 동부지역의 경영환경 변화와 금융위기로 갈 길을 잃고 있음.
○ 귀향 농민공 증가
- 최근 불어닥친 세계 금융위기의 한파와 최근 몇 년 지속된 동부지역의 자원부족현상, 토지 원가 부담, 임금상승 및 위앤화 절상 등으로 인한 수출업체 도산과 생산중단 사태, 임금 체불, 감원 등으로 직장을 잃는 농민공이 늘어나고 있음. 이들 농민공은 직장을 새로 구하거나 상대적으로 금융위기의 영향을 덜 받고 있는 고향으로 돌아가 일자리를 찾고 있음.
직장 찾아 떠나는 농민공
□ 판샹챠오(고향으로 돌아가는 물결)와 창업 붐
○ 판샹챠오와 창업의 원인
- 농민공이 고향으로 돌아가 창업을 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 연해지역 산업(특히, 노동집약형산업)의 중서부지역으로 이전 지속 △ 20, 30대에 고향을 떠난 1세대 농민공의 낙향해 살고자 하는 전통적인 사고 관념이 농후 △ 고향의 각종 자원현황, 인맥관계, 투자환경, 시장정보 등에 비교적 익숙해 창업에 대한 위험 감소 △ 15~20년간 축적된 자본, 습득한 다양한 기술 및 관리경험에서 나오는 자신감 △ 도농 이원화에 따른 농민공의 도시 안착(호적, 자녀교육, 사회보험 문제 등)이 어렵다는 점 등임.
○ 농민공 귀향 창업의 주요 특징
- 2007년 중국 국무원이 전국 100개 현의 ‘농민공 회향 창업’ 관련 조사에 따르면, 외부파견 농민공의 약 23%가 귀향했으며, 귀향 인원 중 약 16%가 창업을 한 것으로 나타남. 농민공 귀향 창업의 주요 특징은 △ 1세대 농민공 위주 △ 비농업 분야(2차산업 및 3차 산업) 창업 집중 △ 개체호나 사영기업 위주로 소규모 창업 위주 △ 집에서 가장 가까운 소도시에서 창업 및 거주 등으로 나타남.
거위 양식으로 연간 매출 3000만 위앤을 올리는 안후이성의 귀향 농민공 떵리추이
○ 농민공 창업, 전국 향진기업의 1/5 차지
- 조사에 따르면, 현재까지 전국 2억 명이 넘는 농민공 중 약 500만 명의 농민공이 고향으로 돌아가 현대 농업·공상기업 등을 설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국 향진기업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음. 향진기업에 종사하는 전체 농민공은 약 1억5000만 명임.
- 2007년 농민 및 귀향 농민공이 창업한 향진기업은 약 85만 개로, 이 중 65만 개는 개체공상호(개인사업자)로 약 110만 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한 것으로 알려짐.
□ 주요 농민공 노무 파견지역의 현황
○ 쓰촨성
- 쓰촨성은 중국 최대의 외부지역 노무 파견성으로, 2007년까지 파견한 농민공은 2002만 명임. 이 중 다른 성으로의 파견은 1109만 명으로, 노무수입은 1077억 위앤에 달함.
- 2008년 5월 12일 발생한 원촨대지진으로 기 파견된 농민공 중 약 60만 명이 지진으로 고향의 가족을 찾기 위해 귀향했으며, 이들 중 대다수는 지진 재건 및 현지 취업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청두시의 인재시장 관리자에 따르면, 금융위기 이후 농민공 구직자의 비율이 전년동기대비 30% 이상 증가했다고 밝힘.
- 청두시 신뚜구 롱챠오진에는 약 40여 개의 아동복 업체가 밀집돼 있으며, 이곳 업체의 대표는 대부분 광둥성 지역에서 고향으로 돌아와 창업한 농민공들임. 이들 기업들의 연간 매출액은 5억 위앤 이상으로, 현지의 노동력 5000여 명에게 새로운 취업기회를 제공한 것으로 나타남.
○ 허난성
- 중국 최대 인구를 자랑하는 허난성(약 9700만 명)은 2007년 기준 약 1974만 명의 농민공을 파견했으며, 2008년에는 21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 허난성은 농민공 귀향 창업을 위해 2008년 2월 ‘농민공 귀향 창업 업무 성실 수행에 관한 통지’를 통해 농민공의 귀향 창업을 적극 지원하는 ‘鳳還巢(농민공의 귀향)’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있음.
○ 안후이성
- 안후성의 외부 노무파견 농민공은 약 1000만 명으로, 이 중 고향으로 돌아와 창업을 한 농민공은 약 70만 명이며 전체 농민공의 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 안후이성 우웨이현의 외부지역 노무파견 농민공은 1990년대 초부터 대략 40만 명에 이르며, 이 중 약 1만 명이 고향으로 돌아와 창업을 한 것으로 나타남. 이들 농민공은 연해 지역에서 배운 기술, 자금 관리, 축적된 자금을 가지고 고향으로 돌아와 독자 및 합자, 지분참여방식 등으로 방직의류, 의약화공, 전선케이블 등 약 1200여 개의 기업을 설립했음. 이들이 내는 연간 세금은 3억8000만 위앤으로 우웨이현 재정 수입의 67%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후난성
- 후난성은 2007년 기준 약 1097만 명에 달하는 농민공이 있으며, 노무 수입은 864억3600만 위앤에 달함. 이는 후난성 전체 GDP의 9.5%에 달하는 수치임. 주로 장강삼각주, 주강 삼각주 지역에 파견된 농민공은 도산기업의 증가로 귀향 농민공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임.
○ 충칭직할시
- 충칭직할시는 농민인구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농촌 유휴 노동력 또한 매우 풍부한 지역으로, 농민공은 700만 명에 달함. 충칭시는 이들 농민공의 귀향 창업을 위한 소액담보대출 및 창업스킬, 기업 관리, 인재자원 관리, 인터넷 응용기술 등의 농민공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음.
- 2008년 10월 28일 충칭시 정부는 ‘농민공 낙향 창업 지도 및 장려에 관한 의견’을 통해 농민공 창업을 위한 ‘農民工返鄕創業園區’를 건립해, 투자 규모에 따라 무상 및 저가 토지 분양 및 각종 창업 설립 비용을 보조하는 등의 지원 정책을 실시한다고 발표함.
○ 꾸이저우성
- 꾸이저우성 인력자원개발촉진회의 통계에 따르면, 2007년 말 기준 꾸이저우성의 농민공은 약 603만 명으로 노무 수입은 500억 위앤에 달하고 있으며, 이 중 약 2.1%에 해당하는 13만 명이 귀향해 창업을 한 것으로 나타남.
- 쭌이시의 노동사회보장국에 따르면, 2008년 6월 말 기준 귀향 창업 농민공은 3587명으로 656개 업체가 1만5000여 명의 일자리를 창출했으며, 2007년 납세액은 2481만 위앤에 달함.
□ 농민공 창업과 농촌 개혁 그리고 문제점
○ 농촌의 공업화와 도시화 수준 제고, 농촌 노동력 흡수
- 농민공의 고향에서의 창업 열풍은 신사고·신기술·신 관리이념 등을 고향으로 가지고 와 현지의 사상 관념 및 생활방식 등에도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농촌의 공업화 및 도시화 수준을 제고함으로써 현지 경제 발전을 촉진하고 농촌의 문화 수준을 제고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
- 이는 중국 정부가 정책의 중점으로 실시하고 있는 농촌 개혁 및 신농촌 건설에도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음. 농민공이 창업하는 기업은 대부분이 노동집약형 산업으로 대량의 노동력이 필요하고, 진입 문턱이 낮아 비교적 기술 수준이 낮은 유휴 농촌 노동력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
- 이처럼 농민공 외부 파견은 과거 ‘輸出一人, 致富一家(한 명의 외부 파견이 한 일가를 부유하게 만든다)’에서 농민공 귀향 창업으로 ‘創業一戶, 帶動一方(창업 업체 하나가 한 지역을 부유하게 만든다)’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지역 경제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음.
○ 농민공 창업 시의 문제점 및 정책 지원
- 농민공이 귀향해 창업하는 기업은 대부분 노동집약형 산업으로, 규모가 작고 노동 강도가 강하고 기술함량이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창업을 위한 법적 지원 정책 부족·농촌 정부의 서비스 의식 부족·융자난·인재난·토지부족 등의 문제를 겪고 있음.
- 이러한 문제점 개선과 농민공의 성공적 창업과 발전을 위해서는 농촌토지정책 완화, 농민공 창업자를 위한 기업소득세 혜택 등의 세수정책, 대출난 해결을 위한 금융정책, 농민창업 지원 위한 재정정책, 창업 지원 플랫폼, 인재 배양시설 확충 등의 지원 등이 필요한 것으로 관계자들은 보고 있음.
□ 시사점
○ 1990년대부터 최근까지 중국 경제 발전의 주요 노동력이었던 농민공은 최근 몇 년 동부지역의 투자 경영환경의 변화에 따라 고향으로 돌아가는 '판샹챠오' 현상이 일기 시작했으며, 금융위기로 위한 세계 경기침체와 기업들의 잇달은 도산과 감원으로 더 많은 농민공이 고향으로 돌아가고 있음. 이들 농민공은 고향에서 가까운 도시에서 새로운 일자리를 찾거나 도시 노동자로써 배운 기술 및 관리 경험, 축적된 자금을 바탕으로 창업을 하는 등 이제는 농촌 개혁 및 농촌 경제 발전의 중요한 한 축이 되고 있음.
○ 중국 정부 역시 지난 10월 열린 17기 3중전회에서 농촌개혁 촉진을 결정하고 농촌개혁 발전과 관련된 각종 정책을 지속적으로 내놓고 있고, 농민공의 창업 지원대책 등을 마련하는 등 분주한 발걸음을 내딛고 있음.
○ 농촌의 경제 발전 및 농민의 수입 증가 등으로 농촌 소비의 증가가 이뤄질 것이어서, 우리기업들은 농촌 소비패턴의 변화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
자료원 : 경제참고보, 신화망, 중국망, 사천신문망, 인민일보, 매일경제신문 등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금융위기] 中, 고향으로 돌아가는 농민공과 창업 붐)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금융위기] 美 금리 인하, 해법인가?(인터뷰)
미국 2008-10-09
-
2
[금융위기] 美, 얼어붙은 IPO…주춤하는 M&A
미국 2008-10-14
-
3
World Trade Atlas 통계로 본 미얀마 수입시장
미얀마 2008-12-02
-
4
[금융위기] 亞 최대 '홍콩전자박람회' 참가기업의 수출동향
홍콩 2008-10-19
-
5
中 광저우 보세물류원구, 국가검수 통과
중국 2008-11-27
-
6
컬러 콘택트렌즈 일본 수출시 주의사항
일본 2008-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