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광저우 보세물류원구, 국가검수 통과
- 투자진출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08-11-27
- 출처 : KOTRA
-
보고일자 : 2008.11.27.
광저우 코리아비즈니스센터
○ 광저우 보세물류원구가 현재 해관총서,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등 총 8개 국무원 각 부와 각 위원회에서 정식으로 검수를 받아 통과했음. 이는 광저우 최초 보세물류원구이며, 상하이·칭다오·닝보·다롄·쟝쟈강·샤먼·선전과 톈진 다음으로 중국에서 비준받아 설립된 9번째 보세물류원구임.
○ 2002년 광저우시는 4개국가급 원구와 합병을 진행해 광저우 개발구, 광저우 고신구, 광저우수출가공구역과 광저우 보세구를 통합해 개발 건설함. 2004년 광동성 정부는 광저우 보세물류원구의 신청에 대해 2007년 12월 3일 비준함으로써 광저우 보세물류원구는 정식으로 설립됨. 원구는 광저우보세구 내에 위치하며, 폐쇄형태로 관리돼 황푸 신항구 등 부두와 연동해 운영됨.
○ 중국 광동성은 전 세계 외상투자 가공제조업이 가장 밀집돼 있는 지역 중 하나이며, 올해 1/4분기까지 광동성의 외상투자기업은 총 6만7857개사에 달했고, 세계 500강 기업 중 103개사가 광저우 경제기술 개발구에 위치하고 있음. 개발구에 입주한 대형 다국적 기업은 대부분 국제 수준의 현대 물류 종합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고 있음.
○ 중국 물류학회가 최근 제2회 전국 물류원구(기지) 조사 보고서에서 밝힌 내용에 따르면, 중국 물류원구는 총 475개이고, 그 중 이미 운영 중인 물류원구는 122개로 25.7%를 차지함 ; 건설 중인 물류원구는 219개로 46.1%이며, 기획 중인 물류원구는 134개로 28.2%로 나타남.
○ 단순물류구역과는 다르게, 광저우보세물류원구는 새로운 형태의 국가급 경제기능 구역일 뿐 아니라 독립적인 기획과 정책·운영을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중국의 대외개방도가 가장 높은 경제구역 중 하나임.
□ 광저우보세물류원구의 주요 우수기능은 다음과 같음.
○ 우대정책
- 국가규정에 근거해, 보세물류원구는 보세구 관련 정책 이외에도 수출입 세수방면에 수출가공구역의 상관 정책을 따라 국내화물의 원구 내 진입을 수출로 보고, 통관수속 처리 시 세급 환급제도 실행
- 원구의 화물 내수판매는 화물수입의 통관수속 유관규정에 따르고, 실제 상태에 따라 세금을 징수함.
- 또한 원구 내 화물은 자유롭게 유통하며, 증치세와 소비세를 부가하지 않음.
○ 다양한 우수기능
- 전통적 보세저장과 보세물류 기능 외에 보세물류원구는 국제 중계, 국제 배송, 국제 구매, 중계무역 등 4개 항목의 기능을 추가
○ 화물의 진입과 출입의 용이
- 보세물류원구의 구역화 감독, 네트워크화 관리, 전자화 통관, 과학화 검사 통제, 화물의 신청·검사·통과·통관의 모든 수속을 원스톱 검사관리
○ 광저우 보세물류원구의 건립으로 물류원가 감소, 수출기업의 경쟁력 제고, 산업구조의 고도화 및 주삼각경제구역의 경쟁력 제고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전망됨.
자료원 : 中國經濟新聞, 廣州日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中 광저우 보세물류원구, 국가검수 통과)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말레이시아, 건설시장 동향
말레이시아 2008-11-14
-
2
2021년 이스라엘 의약산업 정보
이스라엘 2021-11-19
-
3
대만, 지역별 경쟁력 비교
대만 2008-10-22
-
4
[건설플랜트] 콜롬비아 인프라 부문, 대대적인 해외투자 움직임
2008-09-29
-
5
2023년 이스라엘 방위산업 정보
이스라엘 2023-07-06
-
6
파라과이 프랜차이즈 산업 정보
파라과이 2020-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