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걸프국가, 공사비 상승 등으로 프로젝트 중단사례 속출
  • 경제·무역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권용석
  • 2008-09-20
  • 출처 : KOTRA

걸프국가, 공사비 상승 등으로 프로젝트 중단사례 속출

- 중단 또는 취소된 프로젝트만 150개 넘어, 금액으로 484억 달러 규모 -

- 미국발 금융위기와 겹쳐 민자프로젝트 지연 불가피 -

 

보고일자 : 2008.9.20.

권용석 리야드무역관

kotrariy@kotra.org.sa

 

 

□ 걸프지역 프로젝트, 중단 또는 취소건수 150개 넘어

 

 ○ 걸프지역 국가의 대부분이 공사비 상승 등으로 프로젝트 진행 중단 또는 취소사례가 속출하고 있음.

  - 484억 달러 규모의 150개 이상 프로젝트가 중단 또는 취소

  - 국가별로는 UAE가 88개, 사우디아라비아 54개, 쿠웨이트 15개 프로젝트가 중단 또는 취소

 

GCC 프로젝트 중단(취소) 비율

국별

UAE

사우디

카타르

쿠웨이트

오만

바레인

프로젝트 중단(취소)비율(%)

25

22

14

14

13

12

자료원 : Proleads

 

□ 공사비 상승이 주원인

 

 ○ 프로젝트 중단의 가장 큰 이유는 최근연도 GCC의 급격한 물가상승과 프로젝트 급증에 따른 인력 및 기자재 공급부족으로 인한 공사비 상승 때문임

  - GCC의 물가는 2006년 4.7%, 2007년 6.6%로 매년 급증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물가상승에 따른 건설인건비 급상승·고물가로 인한 외국인 근로자의 귀국사례 급증

   - 물가상승은 카타르, UAE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음.

 

GCC 국가의 연도별 소비자물가 상승률 및 전망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전망)

사우디아라비아

0.6

0.4

0.6

2.3

4.1

6.2

UAE

3.2

5.0

6.2

9.3

11.0

9.0

카타르

2.3

6.8

8.8

1.8

13.8

12.0

쿠웨이트

1.0

1.3

4.1

3.1

5.0

6.5

오만

0.2

0.7

1.9

3.2

5.5

6.0

바레인

1.7

2.3

2.6

2.2

3.4

3.3

GCC 평균

1.3

2.0

3.0

4.7

6.6

7.3

자료원 : IMF

 

  - 풍부한 오일머니 유입과 투자활성화로 프로젝트의 동시다발적 발주가 급격히 증대

   · 2008년 6월 기준 걸프지역 진행 또는 발표된 프로젝트 규모는 1조9355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37.2%가 증가

  - 프로젝트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기자재 품귀현상이 발생,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철강재(철근, 고철) 및 시멘트 수출중단 조치(2008.6)

 

GCC 국별 프로젝트 규모 변화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2007.6

2008.6

증가율(%)

사우디아라비아

341,636

472,859

38.4

UAE

606,127

876,309

44.6

카타르

136,797

194,464

42.2

쿠웨이트

245,965

262,801

6.8

오만

46,686

92,114

97.3

바레인

33,815

36,927

9.2

GCC 평균

1,411,026

1,935,474

37.2

자료원 : MEED

 

 ○ 기타 설계승인 실패, 개발업자와 계약자 간 대금지급 및 딜리버리 분쟁 발생, 잦은 설계변경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

 

□ 최근의 미국발 금융위기, 민자프로젝트 진행 차질 불가피

 

 ○ 프로젝트 비용증가, 금융위기에 따른 민자프로젝트 진행 차질발생

  - 걸프지역의 수처리 및 전력프로젝트(IWPP, IPP), 인프라건설, 신도시 개발 등은 대부분 민자(BOT, BOO 등)방식으로 추진

  - 공사비 상승에 따른 프로젝트 비용증가와 함께 최근 리먼브러더스 파산보호 신청, 메릴린치 매각으로 촉발된 금융대란의 영향으로 민자프로젝트 개발업자의 금융조달여건 악화

  - 국제금융시장 경색에 따라, 민자프로젝트 개발업자의 공사비 재원조달에 차질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돼, 민자프로젝트의 지연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

 

□ 시사점 및 전망

 

 ○ 고유가로 인한 풍부한 오일머니가 GCC국가에 유입되면서 물가상승과 함께 프로젝트가 크게 확대되면서, 곳곳에서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어 GCC 지역프로젝트 진출에 신중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

  - 특히, 공사비 상승에 따라 프로젝트 관리가 한층 더 중요한 요인으로 부상

  - 발주처와 계약자 간 공사비 물가인상분 보전에 따른 분쟁이 지속될 전망으로, 프로젝트 진출 시 철저한 분석을 통한 사업관리가 요망됨.

 

 ○ 미국발 금융위기는 프로젝트 개발업자, 발주처, 계약자 모두에게 상당한 시련을 가져다줄 것으로 전망

  - 최근년도의 고유가에 편승한 걸프지역 국가의 경쟁적인 프로젝트 추진의욕과 맞물려 프로젝트가 크게 확대됐으나, 물가상승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많은 프로젝트가 중단 또는 연기되고 있는 실정

  - 이와 같은 추세는 미국발 신용경색과 함께 민자프로젝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함.

 

 ○ 한국기업 간 경쟁구도 조정 필요

  - 최근 사우디의 석유화학 플랜트·민자수전력 프로젝트 등 한국기업이 경쟁력을 확보한 부문에서 신규 EPC업체들이 수주경쟁에 참여하면서, 한국기업 간 수주경쟁이 치열해지고 수주금액이 하락해 채산성이 악화될 조짐

  - 따라서, 현지 진출 한국기업 간 자율적인 조정노력을 통해 과당경쟁을 탈피해, 정상적인 금액으로 수주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시급한 실정

 

참고1 : 사우디아라비아 취소된 프로젝트 현황

프로젝트명

분야

규모

(백만 달러)

착수시기

완료시기

발주처

Najran Power Plant Extension

전력

100

2008 Q3

2010 Q2

SEC(Saudi Electricity Co.)

Jubail Petrochemicals Complex (Phase III) - Mixed Gas Cracker

석유화학

1,500

2008 Q3

2012 Q1

Saudi International Petrochemical Co. (Sipchem)

Al Morjan Hospital

건설

120

2009 Q2

2010 Q3

Al Morjan Company

Jeddah International Business Centre (JIBC)

건설

-

 

 

Tamlik

자료원 : MEED Projects

 

참고2 : 사우디아라비아 중단된 프로젝트 현황

프로젝트명

분야

규모

(백만 달러)

착수시기

완료시기

발주처

Jubail Benzene Recovery Unit

석유화학

-

 

 

Gulf Farabi Petrochemicals

Cement Plant

공업

-

 

 

Al-Bayan Cement

Al-Rajhi Headquarters

건설

200

2009 Q1

2011Q2

Al-Rajhi Bank

Jubail Refining & Integrated Petrochemical Complex

석유화학

6,000

2010 Q4

2013 Q4

Arabian Industrial Development Co.(Nama)

Jeddah Nitco Headquarters

건설

-

 

 

Nitco

Ministry Of Finance - Riyadh Headquarters

건설

-

 

 

KSA - Ministry of Finance

Andalusia Mixed-Use Development

건설

-

 

 

Kinan International Real Estate Development Co., United Properties Co.(UPC)

Styrene Plant III

석유화학

400

2008 Q4

2011 Q4

Saudi Petrochemical Company (Sadaf)

Jeddah Riviera Centre

건설

-

 

 

Segmat

Jeddah Mall

건설

-

 

 

Benaa al-Kawaed

Dammam Mall

건설

-

 

 

Benaa al-Kawaed

Riyadh Benaa City

건설

-

 

 

Benaa al-Kawaed

Al Abrar Mixed Use Tower

건설

-

 

 

Dar Al Arkan Real Estate Development Co.

Jubail Methanol Plant II

석유화학

-

 

 

International Methanol Company (IMC)

Tasnee - Jubail Methanol Plant

석유화학

-

 

 

National Petrochemical Industrialisation Company (NPIC), Celanese

Petrochemicals Complex

석유화학

4,000

2010 Q3

2012 Q4

E A Juffali & Brothers

Dammam 7 - Jubail Butanol Plant

석유화학

200

2008 Q4

2011 Q4

Dammam 7

Jeddah Business Village

건설

400

2009 Q1

2011 Q1

Saudi Real Estate Development Company (Sredco)

Dammam Central Mall

건설

-

 

 

Kinan Int'ㅣReal Estate Development Co., United Properties Company (UPC)

LAB / n-Paraffin Plant

석유화학

-

 

 

Saudi Indo Petrochemical Co.(SIPCO)

Jubail PDH/Polyethylene/Acrylonitrile Complex

석유화학

-

 

 

INEOS Enterprises, Delta International

Jubail Ethane/Propane Cracker

석유화학

-

 

 

INEOS Enterprises, Delta International

Jeddah PP3 Expansion (Phase II)

전력

-

 

 

SEC (Saudi Electricity Co.)

Jubail Petrochemicals Complex

석유화학

-

 

 

Private Developer : MIDROC, House of Invention, Sara Development Co. (KSA)

Tasnee - Jubail VAM Plant

석유화학

-

 

 

National Petrochemical Industrialisation Company (NPIC), Celanese

Sadaf - Cogeneration Plant II

전력

-

 

 

Jubail Energy Company (JEC)

Tasnee - Jubail Acetic Acid Plant

석유화학

-

 

 

National Petrochemical Industrialisation Company (NPIC), Celanese

Jubail Carbon Black Plant

공업

-

 

 

Saudi Carbon Company

Khafji Electro-Chemicals Plant

석유화학

-

 

 

Kuwait Finance House (KFH)

Khafji Power & Desalination Plant

전력

-

 

 

Kuwait Finance House (KFH)

Jubail Cracker Unit I Debottlenecking

석유화학

-

 

 

Arabian Petrochemical Company (Petrokemya)

자료원 : MEED Projects

 

 

자료원 : zawya.com, MEED & MEED Projects, 무역관 자료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걸프국가, 공사비 상승 등으로 프로젝트 중단사례 속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