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루마니아] 2008년 하반기 수출시장 진단
  • 경제·무역
  • 루마니아
  • 부쿠레슈티무역관 (삭제)이은희
  • 2008-08-27
  • 출처 : KOTRA

[루마니아] 2008년 하반기 수출시장 진단

- 고품질 위주 A/S 강화 필요 -

 

보고일자 : 2008.8.27.

이은희 부쿠레슈티무역관

708092@kotra.or.kr

 

 

 루마니아 수입시장 동향

 

 ○ 루마니아의 1인당 GDP는 2003년 2640달러에서 2007년 5090유로로 증가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루마니아 통계청에 따르면, 2008년 1~5월의 수입 총액은 전년동기와 비교해 15.6% 증가한 224억 3700만 유로이며, 수출 총액은 16% 증가해 135억6400만 유로임.

 

  루마니아의 주요 수입국을 살펴보면 독일·이탈리아·헝가리 순이며, 특이사항은 카자흐스탄으로부터 석유·구리 등의 수입량이 대폭 증가해 전년대비 242.5%나 성장해 8위 수입국이 됐음.

 

루마니아 10대 수입국

          (단위 : 백만 유로, 기준 : CIF)

2007년

2008년(1~5월)

순위

국가

수출액

순위

국가

수출액

증가율(%)

1

독일

8,684

1

독일

3,726

15.6

2

이탈리아

6,460

2

이탈리아

2,706

2.6

3

헝가리

3,549

3

헝가리

1,493

9.2

4

러시아

3,229

4

러시아

1,430

17.5

5

프랑스

3,182

5

프랑스

1,356

8.5

6

터키

2,743

6

터키

1,193

5.0

7

오스트리아

2,508

7

오스트리아

1,095

17.5

8

네덜란드

1,840

8

카자흐스탄

1,030

242.5

9

폴란드

1,722

9

네덜란드

848

21.2

10

중국

1,636

10

중국

846

61.4

21

대한민국

559  

21

대한민국

192

-14.8

자료원 : KOTIS(2008.8)

 

 한·루마니아 교역 동향

 

  대루마니아의 연도별 수출 증가율을 보면, 2003~07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EU 가입 시점인 2007년부터는 우리나라 제품의 수입 증가율이 점차 떨어지고 있음.

 

  이는 EU 국가  관세장벽이 폐지됨에 따라 유럽  수입이 전보다 쉬워졌고, 우리나라의 경우 품질은 우수하나 가격 조건에서 불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한-루마니아 간 연도별 교역량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1~5

수출

171

(6.9)

254

(46.4)

387

(52.3)

609

(57.2)

855

(40.4)

359

(-1.5)

수입

65

(14.8)

146

(125.7)

87

(-40.6)

51

(-41.5)

79

(56.1)

120

(334.1)

무역수지

106

108

300

558

776

239

자료원 : KOTIS, 2008년 8월, 괄호 안은 증감률

 

  전년동기에 비해 2008년 상반기 우리나라의 수출량은 소폭 하락했음.

 

  이는 우리나라 수출에 많은 부분을 담당하던 D조선소가 EU 내 물품조달비율을 높임으로써, 선박용 엔진   부품의 교역량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분석됨.

 

2007~08 한국의 대루마니아 주요 수출 품목

(품목 : MTI 4단위, 금액 : 백만 달러)

순위

품목명

2007년

품목명

2008년(1~5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855

40.4

 

356

-2.4

1

승용차

213

26.4

자동차 부품

64

-8.4

2

자동차 부품

149

4.3

승용차

58

-46.1

3

선박용 엔진   부품

68

61.5

합성 수지

34

31.9

4

합성수지

66

191.5

무선 전화기

31

95.1

5

무선 전화기

43

3.9

철강  비합금강형강

28

663.1

6

모니터

36

3,596.9

선박용 엔진   부품

18

-29.7

7

철강  비합금강형강

22

208.6

용접기

10

1,856.7

8

열연강판

22

5.4

모니터

7

1,687.1

9

발전기

19

58.6

건설중장비

6

405.6

10

기타 기계류 부품

18

9.4

선박용 부품

5

396.7

자료원 : KOTIS(2008.8)

 

 대루마니아 수출 호·부진 요인

 

  호조요인

  - 2005년 루마니아 대통령의 공식 방문, 2006년 노무현 대통령의 루마니아 공식 방문에 이어 2008년 9월  루마니아 대통령의 재방문이 예정돼 있어 양국의 활발한 교역확대가 예상됨.

  - 이미 노무현  대통령은 IT분야와 원자력 발전소 협력에 관해 논의한  있으며, 이번 루마니아 대통령의 방한은 양국  경제 협력 논의를 위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음.

  - 루마니아의 EU가입 이후 2007~13년간  300억 유로의 EU자금이 배정돼 루마니아  인프라 건설, 기초산업시설 개발, 인력개발, 환경산업개발 등에 투입될 예정이며 특히 인프라 건설 자금 180억 유로는 각종 기반시설 프로젝트를 활성화하고 민간 부동산 붐을 주도하고 있음.

  - 루마니아 정부의 세제완화정책, 높은 인건비 상승, 신용 대출규제 완화, 고용 증가 등으로 내수시장의 호황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며 수입 수요도 아울러 안정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부진 요인

  - EU 국가 간 무관세와 물품 대금 후불제 또한 인정해주고 있어 EU국가 간 교역은 증가하고 있으며 다른 EU국가와는 납기가 빠르고 외상  신용거래도 가능한 실정

  - 그러나 한극 제품 구매시 납기가 오래 걸리고 대량 주문(최소 수량 의무)을 해야하는 등, 거래 조건이 까다로운 것이  장애 요인으로   있음.

 

 대루마니아 우리 수출확대를 위한 제언

 

  비교적 저가시장이라고   있는 루마니아에서, 한국 제품의 체감 가격은 매우 높은 편. 가격 조정을 하지 않으면 루마니아 시장  경쟁력이 뒤쳐질 것임.

 

  따라서 가격 경쟁보다는 고급 품질을 내세워 기존 유럽 제품과 차별화하고, 제품 판매  A/S를 강화하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함.

 

  IT, 보안장비 등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관련 상품 시장의 진출을 위해 우리 기업들의 시장 진출 노력이 필요함.

 

 

자료원 : KOTIS, 루마니아 통계청, 바이어 인터뷰, 무역관 자체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루마니아] 2008년 하반기 수출시장 진단)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