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폴란드] 2008년 하반기 수출시장 진단
  • 경제·무역
  • 폴란드
  • 바르샤바무역관 유재욱
  • 2008-08-27
  • 출처 : KOTRA

[폴란드] 2008년 하반기 수출시장 진단

- 지속적 경제성장을 통한 수출시장 활성화, 인플레이션 압력이 위험 요소 -

 

보고일자 : 2008.8.27.

유재욱 바르샤바무역관

jw_yoo@kotra.or.kr

 

 

□ 2008년 폴란드 수출입 동향

 

 ○ 폴란드는 2004년 5월 EU 가입 후 연평균 6%대의 경제성장과 함께 수출, 수입 시장이 지속 확대되고 있으며, EU 가입 이전에 비해 수출, 수입 모두 두 자리 수의 증가세를 나타내고 금액 기준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음.

 

 ○ 2008년 들어 유가 상승, 지속적인 현지화 강세 등에 힘입어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34.6% 증가한 844억 달러를 기록했고, 수출 역시 외부의 악조건 속에서도 전년동기대비 33.5% 성장한 718억 달러를 기록

  - 2008년에도 급격한 환율변동 지속, 주요 통화별 수출입 현황은 아래 표 참조

 

 ○ 수입의 경우, 현지화 강세 및 내수경기 활성화로 인해 지속적인 성장 예상. 그러나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로 내수시장 성장에 대한 위험이 높아지고 있음.

 

 ○ 현지화 강세에도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음. 이는 폴란드 총 수출의 60%를 차지하는 외국인 투자기업의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

  - 폴란드 내 외국인 투자 기업들은 달러약세로 인한 원부자재 수입비용 절감을 바탕으로 비용상승 및 환율 변동(현지화 강세)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를 상쇄시키고 있으며, 탄탄한 공급선 구축을 통해 수출물량 지속적으로 확대 중

 

EU 가입 전후 폴란드 수출입 현황

               (단위 : 억 달러)

구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1~5월)

수출

536

738

894

1,091

1,388

718

수입

680

882

1,015

1,246

1,642

844

수지

-144

-144

-121

-155

-186

-126

자료원 : 폴란드 통계청(GUS)

 

2008년 1~5월 폴란드 수출입 현황

                       (단위 : 억)

구분

PLN

USD

EUR

2007년 동기대비 증감률

PLN

USD

EUR

수출

1,689

718

475

8.0%

33.5%

17.1%

수입

1,985

844

558

8.9%

34.6%

18.1%

수지

-296

-126

-83

-

-

-

자료원 : 폴란드 통계청(GUS)

 

□ 국별 대 폴란드 수출입 동향

 

 ○ EU회원국과의 교역이 전체 교역의 수출, 수입 각각 70, 85%를 차지

  - EU중에서도 폴란드의 인접국인 독일과의 교역이 압도적으로 많음(수출 23%, 수입 25%).

 

 ○ 특히 동부유럽 및 러시아와의 교역이 수출은 47.7%, 수입은 55.1% 증가하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임, 이를 통해 폴란드가 EU 시장과 동부유럽 및 러시아와의 가교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2008년 1~5월 폴란드 수출현황

                   (단위 : 백만)

구분

PLN

USD

EUR

2007년 동기대비 증감률

PLN

USD

EUR

수출

168 901,0

71 802,7

47 508,0

8%

33.5%

17.1%

EU 회원국

132 083,6

56 034,9

37 140,2

5.6%

30.3%

14.5%

동부유럽*

16 809,5

7 199,6

4 734,0

18.5%

47.7%

28.7%

동유럽*: 알바니아, 벨로루시,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몰도바, 러시아,루 마니아, 우크라이나

자료원 : 폴란드 통계청

 

2008년 1~5월 폴란드 수입현황

                   (단위 : 백만)

구분

PLN

USD

EUR

2007년 동기대비 증감율

PLN

USD

EUR

수입

198 547,9

84 367,9

55 837,7

8.9%

34.6%

18.1%

EU 회원국

124 735,7

52 992,6

35 089,1

4.6%

29.2%

13.5%

동부유럽

23 617,4

10 026,6

6 635,5

25.9%

55.1%

36.2%

자료원 : 폴란드 통계청

 

 ○ 수출은 대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수입의 경우 우리나라·러시아·중국으로부터 수입이 크게 증가했음.

 

폴란드 수출 동향(상위 10개국)

        (단위 :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I-V

증감률

-

총 합계

89,378.0

109,107.7

138,785.0

71,802.7

33.5

1

독일

25,224.7

29,583.4

35,901.2

17,845.6

26.5

2

이탈리아

5,482.8

6,964.7

9,151.6

4,616.1

25.7

3

프랑스

5,558.5

6,831.2

8,443.1

4,583.4

37.3

4

영국

4,995.6

6,236.6

8,238.0

4,116.4

30.0

5

체코

4,076.9

6,039.2

7,683.8

3,936.8

29.5

6

러시아

3,960.5

4,701.6

6,432.3

3,599.4

54.9

7

우크라이나

2,588.2

3,962.1

5,511.3

2,680.3

40.8

8

네덜란드

3,721.4

4,169.4

5,302.1

2,827.6

33.3

9

스웨덴

2,749.8

3,497.8

4,464.6

2,333.6

32.0

10

헝가리

2,538.2

3,319.9

4,033.8

2,081.2

33.7

자료원 : 폴란드 통계청

주 : * 증감률은 전년동기/달러환산기준 대비(이하 수입통계 동일)

 

폴란드 수입 동향(상위 10개국)

        (단위 :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I-V

증감률

-

총 합계

101,538.8

124,647.1

164,172.5

84,367.9

34.6

1

독일

25,053.5

29,707.1

39,434.6

19,898.4

30.3

2

러시아

8,985.5

12,135.1

14,352.8

8,335.5

59.1

3

중국

5,496.6

7,647.2

11,753.4

6,216.9

49.8

4

이탈리아

7,181.1

8,370.8

11,235.9

5,574.3

27.5

5

프랑스

6,094.7

6,799.4

8,380.5

4,205.6

26.1

6

체코

3,633.3

4,330.3

5,673.8

3,067.4

36.6

7

네덜란드

3,474.0

3,955.1

5,602.4

2,791.5

28.8

8

영국

3,143.4

3,544.8

5,107.0

2,332.5

24.7

9

한국

1,583.0

2,894.6

3,856.1

2,052.2

52.3

10

벨기에

2,670.4

3,139.2

4,152.6

1,980.1

19.6

자료원 : 폴란드 통계청

 

□ 우리나라의 대폴란드 수출 동향

 

 ○ 우리나라의 대폴란드 수출은 2006년부터 10대 수입국으로의 위치를 확고히 하고 있으며, 2008년에도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

 

 ○ 2008년 상반기 대 폴란드 수출액은 20억70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35.4% 성장했음. 이는 폴란드 내수시장 확대 및 현지화 강세에 따른 우리기업의 소비재 공산품 수출 증가와 우리기업의 현지투자 확대에 따른 원부자재 수출 증가에 기인함.

 

 ○ 2008년 하반기에도 현지화 강세로 인한 우리기업의 가격경쟁력 확보와, 우리기업의 지속적인 현지투자로 인해 증가세를 이어갈 전망

 

 ○ 수출품목별로 상위 10대 품목에는 변화가 없으나, 현지 투자진출이 많은 디스플레이 및 자동차 부품분야의 수출이 많이 증가했고, 소비재 공산품으로 무선전화기·컴퓨터모니터 등의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폴란드의 대한국 수출입 현황

           (단위 : 천 달러, %)

연도

수출

수입

수지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2004

807,233

111.2

88,789

20.7

718,445

2005

1,174,964

45.6

116,234

30.9

1,058,730

2006

2,613,334

122.4

270,874

133

2,342,460

2007

3,508,775

34.3

301,219

11.2

3,207,556

2008(1~6월)

2,076,820

35.4

162,723

14.5

1,914,096

자료원 : 한국무역통계(KOTIS)

 

폴란드의 대한국 주요 수입품목

           (단위 : 천 달러, %)

순위

품목명

2007년

2008년(1~6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1

컬러TV

726,414

-3.9

362,001

27.3

2

광학기기부품

563,539

14248.7

546,368

255.5

3

평판디스플레이

444,119

-16.9

132,331

-39.4

4

승용차

311,836

-6.8

121,116

-34.4

5

무선전화기

174,897

148.3

114,688

24.1

6

자동차부품

170,283

82.7

192,485

249.3

7

모니터

124,124

207.7

100,783

89.2

8

컴퓨터부품

99,159

-16.5

32,880

-50.7

9

무선통신기기부품

92,456

-48.2

25,198

-31

10

기타기계류

60,364

10.9

7,628

-76.4

자료원 : KOTIS

 

□ 하반기 우리나라 수출 전망 - 호조요인

 

 ○ 2008년에도 5% 이상의 GDP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내수시장 확대에 따른 수입 증가가 지속될 전망

 

 ○ 다수의 금융기관이 2012 유로컵 개최 전까지 현지화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정부 정책도 현지화 강세를 지지하고 있어, 이 강세로 인한 우리제품의 가격경쟁력 확보도 계속 유지될 전망

 

□ 하반기 우리나라 수출 전망 - 위험요인

 

 ○ 지속적인 임금상승 및 유틸리티 비용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으로 투자 및 소비심리 위축 우려

  - 2008년 6월 현재 물가상승률은 약 4.6%로, 중앙은행의 인플레이션 타깃인 2.5%을 크게 상회, 주요 경제분석기관은 2008년에 4%대의 인플레이션을 보일 것으로 전망

 

□ 2008년 하반기 우리나라 수출 유망 분야

 

 ○ 일반기계류 : 대형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 시행에 따른 설비 투자 증가, EU Fund 집행 및 EURO 2012 준비를 위해 도로·항만·경기장 건설 급증, 관련 기계류 수요 증가

 

 ○ 자동차 : 경기호황에 따른 생활수준 향상으로 신차에 대한 수요 증가, 소형차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고급차 및 Family형 차량에 대한 수요 점진적으로 증가 추세, 고유가 및 대규모 중고차 유입으로 하반기 들어 성장세 완화 우려

 

 ○ 철강제품 : 건설경기 호황 및 완성차, 자동차 부품 생산 증가로 인하여 수요 급증, EU Fund 집행 및 EURO 2012 준비를 위해 도로·항만·경기장 건설 급증, 관련 철강 수요 증가. 자동차·자동차 부품 생산 증가로 인해 관련 철강 수요 급증

 

 ○ 평판디스플레이 : LCD를 주축으로 평판디스플레이에 대한 수요 급증, 특히 LCD TV에 대한 수요 폭발적으로 증가, 연 50% 이상 성장 중

 

 ○ 무선통신기기 : 휴대폰 시장이 20% 이상 성장하는 가운데 고품질 휴대폰에 대한 수요 급증

 

 ○ 가전 : 가전시장 연 30% 이상 성장 중, 우리 제품의 품질 및 인지도가 높아 매출 급성장 중

 

 ○ 자동차부품 : 자동차 부품시장 연 20% 이상 성장 중, 완성차 제조 증가로 인한 OEM 부품수요 증가, 중고차 연간 100만 대 이상 유입에 따른 부품 수요 증가

 

 ○ 컴퓨터 :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한 개인용 컴퓨터, 특히 노트북에 대한 수요 증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폴란드] 2008년 하반기 수출시장 진단)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