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자원정보] 파키스탄 자원분야 외국기업 진출 현황
  • 투자진출
  • 파키스탄
  • 카라치무역관 이성녕
  • 2008-08-26
  • 출처 : KOTRA

파키스탄 자원분야 외국기업 진출 현황

- 높은 국가위험도로 외국기업 투자 미미, 중국기업들이 선도적으로 진출 -

- Thar 지역 석탄 및 아라비안 해 유전 매장량 풍부, 우리기업의 관심확대 필요 -

 

보고일자 : 2008.8.26.

이성녕 카라치무역관

kaiser2000@kotra.or.kr

 

 

□ 파키스탄 자원분야에 대한 외국인 투자 동향

 

 ○ 파키스탄 자원개발에 대한 외국인 투자는 열악한 인프라와 정정불안에 따른 높은 국가위험도 등의 요인으로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있음.

 

  특히 철, 동, 아연 등의 매장지역이 발로치스탄, 북서변경주 등 치안이 극도로 불안한 지역에 집중돼 있어 내·외국기업의 개발 프로젝트 참여가 상당부분 지연되고 있는 실정임.

 

  그러나 아라비안해 유전, 가스전 개발, 신드주 Thar 지역 석탄 개발은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돼 외국기업의 관심이 높은 상태이며 특히 석유·가스탐사 분야에 대한 투자는 지난 2년간 크게 증가했음.

 

파키스탄 자원분야에 대한 내·외국기업 투자 동향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2004/05

2005/06

2006/07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Mining & Quarrying

0.49

-55.05

7.15

1,359.18

23.70

231.47

Oil & Gas Explorations

193.81

-4.24

312.69

61.34

545.11

74.33

자료원 : State Bank of Pakistan

주 : 파키스탄의 회계년도는 7월~이듬해 6월까지임.

 

□ 주요 외국기업 자원개발 프로젝트 현황

 

  파키스탄의 자원개발에 가장 많이 진출해 있는 국가는 중국으로 MCC Resources Development사는 총 1억 달러를 투자, 발로치스탄 주 Saindak 지역의 금·동 광산개발, Duddar 지역의 아연·납 광산개발 프로젝트를 추진 중임.

 

  또한 Shenhwa Group이 Thar 사막 석탄 광산 및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 타당성 조사를 완료하였으나 전기요율 문제로 중단된 상태임.

  - ‘Thar’ 지역은 카라치에서 북동쪽으로 380㎞ 떨어진 신드주 내륙에 위치하고 있으며, 석탄매장량은 1750억 톤으로 추정

  - 파키스탄과 중국 정부는 이 지역에 대한 공동 석탄 광구개발 및 생산된 석탄을 이용한 화력발전소 건설에 합의했고, 지난 2002년 4월에 Riaz Hussain Khokhar 당시 주 중국 파키스탄 대사와 Ye Qing Shenhua Group’ 회장 간에 양해각서를 체결

  - 이후 심층 타당성 조사 등을 거쳐 2005년 1월에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됐으며, 사업이 중단된 2007년 1월까지 이 중국기업은 약 2500만 달러를 투자

  - 그러나 양측은 발전소에 대한 용수공급 책임소재 문제로 한 차례 갈등을 겪은 데 이어, 파키스탄 측이 이 발전소로부터 구입할 전기 요율 문제가 심화되며 사업이 전면 중단된 상태

  - 파키스탄의 최대전력 회사인 WAPDA는 ㎾당 5.7센트의 구매요율을 제시한 반면, 중국기업 측은 13센트 수준을 요구하고 있음.

 

  이 밖에 호주기업인 Teyhyn Copper Company는 발로치스탄 주 Reko Dik 지역의 금·동 광산개발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진행 중으로, 투자 예정규모는 1억3000만 달러임.

 

파키스탄 진출 자원개발 외국기업 현황

             (단위 : 백만 달러)

국가

기업명

지역

광종

진행단계

투자규모

중국

MCC Resources Development

Saindak

동/금

생산

30

Duddar

납/아연

생산

72

Shenhua Group

Thar

석탄

타당성 검토후 중단

400

호주

Tethyan Copper Company

Reko Dik

동/금

생산

300

Lake Resources

Chagai

-

3개의 탐사권 확보

180

영국

Paige Limited

Chagai

-

계획

120

 Nativus Resource Limited

Chagai Lasbella

-

계획

150

미국

Benway Corporation

Chagai

-

계획

100

UAE

 Gulf Mineral Limited

Chagai

-

계획

100

자료원 : Ministry of Petroleum and Natural Resources, Balochistan Government

 

□ 우리나라 참여현황 및 전망

 

  우리나라 기업의 대 파키스탄 자원개발 분야에 대한 진출은 파키스탄 시장에 대한 인지도 부족과 열악한 인프라, 불안정한 정치 환경 등의 요인으로 현재까지 전무한 상태임.

 

  그러나 파키스탄은 한반도의 3.6배 규모의 영토에 천연가스, 석탄, 철, 동, 아연, 보석류 등 다양한 광물을 보유하고 있고, 특히 아라비안해 유전, 가스전 개발과 신드주 Thar 지역 석탄 개발 등은 매장량이 풍부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돼 이 분야에 대한 우리기업의 관심 확대가 요구됨.

 

 

자료원 : Ministry of Petroleum and Natural Resources, Balochistan Government, State Bank of Pakistan, 무역관 자체조사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자원정보] 파키스탄 자원분야 외국기업 진출 현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