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일본] 2008년 하반기 수출시장 진단
  • 경제·무역
  • 일본
  • 도쿄무역관 김경미
  • 2008-08-26
  • 출처 : KOTRA

[일본] 2008년 하반기 수출시장 진단

- 유가 상승으로 성장률 감소전망, 수출, 기업실적 견조해 큰 침체는 없을 듯 -

 

보고일자 : 2008.8.26.

김경미 도쿄무역관

kyungmi@kotra.or.jp

 

 

가. 일본 수입시장 동향

 

 ○ 2008년 상반기 일본 수출금액은 소폭 증가했으나, 수입액이 과거 최고치를 기록(전년동기대비 26.62% 증가)해 무역수지가 전년동기대비 42.1% 감소함.

 

 ○ 품목별로는 자동차·광물성연료·철강의 수출이 크게 증가했으나, 유가 상승으로 인해 원유의 수입액이 전년동기대비 54.0% 증가

 

 ○ 지역별로는 중국이 최고 수입상대국이며, 2007년까지 수입시장의 20% 이상을 점유했으나, 2008년 상반기에는 원유 수입가격 상승으로 중동국가의 수입점유율이 큰 폭으로 증가함. 한편, 수출부분에서도 2008년 7월 재무성 무역통계에서 일본의 대중수출이 대미수출을 처음으로 초과, 중국이 수출입 모두 최대상대국으로 부상함.

 

 ○ 한국의 일본수입시장 점유율은 4.7%에서 4.0%로 소폭 하락 추세임.

 

일본의 수입시장 현황

수입

순위

국가

수입금액(백만 달러)

% 점유율

% 증감률

2006

2007

2008.1~6

2006

2007

2008.1~6

2008/07

0

전 세계

578,783

622,072

371,756

100.0

100.0

100.00

26.62

1

중국

118,437

127,843

68,657

20.46

20.55

18.47

12.51

2

미국

68,010

70,939

39,575

11.75

11.40

10.65

13.09

3

사우디아라비아

37,184

35,399

26,279

6.43

5.69

7.07

69.33

4

아랍에미레이트

31,558

32,360

23,645

5.45

5.20

6.36

55.39

5

오스트레일리아

27,923

31,218

19,719

4.82

5.02

5.3

32

6

인도네시아

24,123

26,480

16,129

4.17

4.26

4.34

26.8

7

대한민국

27,319

27,290

14,885

4.72

4.39

4.0

12.45

8

카타르

14,791

16,966

12,031

2.56

2.73

3.24

71.25

9

말레이시아

15,472

17,397

10,940

2.67

2.80

2.94

35.06

10

대만

20,328

19,838

10,839

3.51

3.19

2.92

10.58

자료원 : World Trade Atlas

 

 ○ 최근 미국의 서브프라임론 문제, 유가 및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일본정부는 2008년 경제성장 전망치를 2%에서 1.3%(2008년 7월 현재)로 하향 조정함.

  - 원유수입가격 : 1배럴 83달러(2008년 1월)→132.9달러(2008년 7월)

  - 민간경제연구소는 2008년에도 경기확대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올 초 1.6% 실질성장을 예측, 8월에는 0.8P 하락한 0.7% 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하방 수정함.

   · 21개 주요 민간연구소 전망평균 1.6%(2008년 2월 전망)→ 0.7%(2008년 8월 전망)

 

나. 한일 수출입 현황

 

 ○ 2008년 상반기 한국의 대 일본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16.0% 증가한 173억 달러이며, 수입은 16.6% 증가한 374억 달러를 기록함. 무역적자는 201억 달러로 큰 폭으로 증가함.

 

한일 수출입현황

        (단위 : 백만 달러, %)

연도

수출

수입

무역수지

전체

대 일

비중

전체

대 일

비중

전체

대 일

2005

284,418

(12.0)

24,027

(10.7)

8.4

261,238

(16.4)

48,403

(4.9)

18.5

23,180

-24,376

2006

325,465

(14.5)

26,534

(10.4)

8.2

309,383

(18.4)

51,926

(7.3)

16.8

16,082

-25,392

2007

371,489

(14.1)

26,370

(-0.6)

7.1

356,846

(15.3)

56,250

(8.3)

15.8

14,643

-29,880

2008.1~7

255,134

(22.7)

17,291

(16.0)

6.8

263,483

(32.1)

37,427

(16.6)

14.2

-8,349

-20,136

자료원 : KOTIS

 

 ○ 주요수출품목으로는 석유제품·반도체·철강판·디스플레이 및 센서 등이 있음.

 

대 일 수출-수입 주요 품목

        (단위 : 백만 달러, %)

대 일 수출 5대 품목(2008년 1~7월)

대 일 수입 5대 품목(2008년 1~7월)

품목

금액

증가율

품목

금액

증가율

석유제품

2,563

46.0

반도체

3,705

5.9

반도체

2,317

-6.1

철강판

3,170

30.1

철강판

1,114

0.2

플라스틱제품

1,727

36.9

평판디스플레이 및 센서

726

-41.6

합금철선및고철

1,343

11.2

무선통신기기

714

29.1

반도체제조용장비

1,266

-35.4

자료원 : kotis, MTI분류 참고

 

□ 호조요인

 

 ○ 2008년 초부터 엔고로 전환해 환율효과가 나타나고 있음.

  - 엔화 결제비중이 높은 일본시장에서 수년 동안 지속된 엔저로 인해 2007년 우리의 대일수출이 감소를 보였으나 2008년 엔고가 지속되고 있어 대일수출기업의 수출의욕 증진

  - 엔/달러 환율은 3월 13일 달러당 100엔선이 무너진 후 3월 17일 일시 95엔대를 기록, 1995년 8월 이전의 수준까지 하락한 후 최근 8월 106~108엔대에서 등락

  - 100엔당 748.74원(2007년 6월 말)에서 832.14원(2007년 12월 말), 976.58원(2008년 5월)으로 1년여 만에 30.4% 평가절하

 

 ○ 일본의 신흥국에 대한 수출증가로 수입수요도 견조함.

  - 일본의 최대 수출국인 미국에 대한 비중은 점차 축소된 반면, 중국·인도·러시아 등 신흥시장에 대한 수출이 급증

  - 중동 및 EU·동아시아를 중심으로 수출호조를 보이고 있으며, 디지털가전 및 자본재․부품을 중심으로 대 아시아지역 수출이 증가, 중동 및 동유럽지역에 대한 자동차 수출도 호조세를 보임.

  - 일본기업의 수출호조에 따른 관련부품 및 소재에 대한 수입수요도 견조한 추세를 보이고 있음.

 

□ 부진요인

 

 ○ 해외경제 침체 및 자본재 설비투자의 둔화에 따는 부품소재 수입감소 우려

  - 미국경제의 불안정성이 계속돼 미국경제 감속등의 영향이 예상보다 크고, 중국경제의 높은 인플레 압력에 따른 긴축정책을 강화할 경우 일본경제의 성장률이 예상보다 낮아질 수 있음.

  - 자본재출하가 계속감소하고 있고 기업의 설비투자도 기업수의 악화우려로 부진해 자본재·부품의 수입수요 감소우려

 

 ○ 에너지 및 원재료가격의 급등이 일본경제에 부정적 영향

  - 에너지 및 원재료는 신흥국을 중심으로 수요가 확대되고 있어 고수준을 지속할 가능성이 높으며, 국제시세가 예상을 넘어서는 경우가 장기화될 경우, 각국의 인플레 압력증대가 경기하방 위험으로 작용할 가능성

 

 ○ 부품소재산업에서 큰 폭의 무역적자의 지속 및 확대

  - 부품 소재 분야의 산업 내 교역이 활발하고 첨단부품소재의 대일의존도가 높은 한일교역의 특성상, 무역수지 적자는 교역확대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

 

□ 하반기 전망

 

 ○ 일본의 개인소비 및 기업의 설비투자 저조 등으로 경제성장률이 연초 전망치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측이 되나, 해외수출이 견조한 추이를 보이고 있고 기업수익도 그다지 나쁘지 않아, 급격한 침체국면은 없을 것으로 여겨짐.

 

 ○ 우리의 대일 수출은 엔고의 영향으로 2007년의 부진을 벗고 두자릿수의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나, 대일 수입도 증가해 무역역조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다. 우리 수출확대를 위한 제언

 

 ○ 원유 및 곡물가격의 급등, 금융시장의 불안 지속, 국제적인 인플레 등이 일본 경제에 예상을 넘은 타격을 줄 경우 우리의 대 일 수출도 예상만큼 증가하지 않을 우려도 존재

 

 ○ 대 일 역조 해소를 위해 궁극적으로 부품소재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음. 한국제품은 경쟁 수입국 제품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는 이미지가 있으므로, 가격경쟁력은 물론 높은 품질을 어필하는 것이 중요함. 또한, 일본은 단기간에 성과가 나타나지 않는 특성이 있으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마케팅을 추진해나가는 것이 바람직함.

 

 

자료원 : WTA, KOTIS, 닛케이 등 신문자료, 기존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2008년 하반기 수출시장 진단)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