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英, 비만퇴치 이제 뜨는 산업으로
  • 경제·무역
  • 영국
  • 런던무역관 이종환
  • 2008-07-31
  • 출처 : KOTRA

英, 비만퇴치 이제 뜨는 산업으로

- 주요 핵심산업으로 부상 -

 

보고일자 : 2008.7.30.

이종환 런던무역관

leeyard@kotra.or.kr

 

 

□ WHO, 비만퇴치를 위해 2012년에는 2조 달러 추산

 

 ○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세계에는 홀쭉이보다 과체중으로 고생하는 사람이 많아져 비만퇴치에 1조4000억 달러 규모의 산업이 됐으며, 2012년에는 2조 달러에 이럴 것으로 추산하고 있음. 비만인구도 2008년에는 18억7000만 명에서 2020년에는 30억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함.

 

 ○ 의약회사들은 급증하고 있는 위절제수술 환자들을 위해 새로운 다이어트 처방과 약품을 내놓고 있음. 체중을 줄이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출시한 음식 중심의 다이어트 식품시장은 2012년까지 연간 9% 이상 증가할 것으로 스위스 크레디트는 보고 있음.

 

 ○ 이머징 경제 영향으로 부유층이 늘어나고 있는데, 이와 동시에 비만 인구도 급증하고 있음. 중국의 경우 인스턴트 식품 구입이 늘어나면서 지금부터 2015년까지 비만인구가 347% 이상 증가가 예상됨.

 

 ○ 비만은 수명을 단축시키고 당뇨병이나 심장병 질환을 유발시킴. 미국에서만 비만치료로 연간 1170억 달러를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음.

 

□ 비만퇴치약품 개발에 발 빠른 의약회사들

 

 ○ 허리살이 늘어나면서 건강식품 시장도 급성장하고 있음. 2006년에 가장 잘 팔린 5대 건강식품은 yoghurt-based drinks, fresh soup, fresh herbs and spices, fresh fish, seafood 등으로 이들 제품별로 각각 10~20%까지 판매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음. 이들 제외한 식품은 0.6%의 성장으로 저조했음.

 

 ○ 비만퇴치 약품만을 취급하는 약품회사들은 정부가 비만인구 문제를 다룸에 따라 반사이익을 보게 됨. 지난해 여름, 미국에서는 GlaxoSmithKline사가 Roche의 처방약인 Xenical을 출시했는데, 시약과정에 이 약을 복용한 사람들는 다이어트만 하는 사람보다 체중이 50%까지 줄었다고 보고함.

 

 ○ 캘리포니아에 소재한 Orexigen사는 안티 비반약품인 Excalia를 개발하고 있는데, 이 약품은 뇌에 몸의 신진대사를 빨리 하도록 유도하며 현재 테스트 중임.

 

 ○ 전문가들은 비만퇴치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수술이라고 믿고 있음. 환자들은 약품을 통해서 체중의 5~10%가량 줄일 수 있지만, 수술을 통해서는 50~90%가량 줄일 수 있다고 보고 있음.

 

 ○ ‘Allegran’이라고 불리는 Gastric band의 판매는 현재 2억2000만 달러에서 2012년에는 8억5000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아울러 피트니스 관련 용품은 늘어나는 허리둘레만큼이나 빠르게 판매가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음.

 

□ 시사점

 

 ○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비만인구로 영국은 국가재정을 지출해서라고 비만퇴출을 하겠다고 공언하고 있는데, 예산지출에 대한 타당성 논쟁이 영국의회에서 치열하게 이뤄지고 있음.

 

 ○ 비만이 영국 등 서구인들의 식생활과 관련돼 있다고 보고 있으나, 비만퇴치에 대한 묘책은 아직까지 나오지 않고 있음. 비만에 대한 관심 증가로 건강식품업계 및 의약업계는 비만퇴치 특효 제품을 개발하는 데 열을 올리고 있으며, 시장규모는 경제규모가 커질수록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비만퇴치시장이 미래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음.

 

 

자료원 : The Times, Times Online,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英, 비만퇴치 이제 뜨는 산업으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