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심각한 취업난, 中 대학생 직업관 변화 가져와
  • 경제·무역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08-07-24
  • 출처 : KOTRA

심각한 취업난, 中 대학생 직업관 변화 가져와

- 중국기업 선호, 월급은 중요치 않아 -

 

보고일자 : 2008.7.24

권주현, 고봉숙 칭다오무역관

Happyzu1@hanmail.net

 

 

□ 심각한 취업난

 

 ○ 대학(원) 졸업생이 매년 50만 명씩 늘어나는 가운데, 취업난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음.

 

중국 전국 대학(원) 졸업생수

                   (단위 :만 명)

자료원 : 중국경제주간

 

 ○ 이러한 현상은 학생들의 구직태도에 큰 영향을 미쳐, 구직 시 반드시 좋은 월급·좋은 대우를 받을 수 있는 직업을 찾기에 앞서, ‘어떻게 직업을 찾고 어떻게 생존할 것인가’라는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태도를 갖는 경향을 보임.

 

□ 中, 대학(원)생들의 직업관 변화

 

 ○ 지난 6월, 중화잉차이왕은 ‘대학(원)생 선호기업조사’를 실시함. 18만2000명의 베이징 소재 학생들이 참여하고, 다양한 업종의 3700여 개 기업을 투표대상으로 함.

 

 ○ 중국기업에 대한 선호도 외자기업 뛰어넘어

 

2003~08년 중국 대학(원)생 선호기업 TOP 50

                       (단위 : 개)

자료원 : 중화영재망

 

  - 2003년부터 실시한 이번 조사는 올해 처음으로 중국기업에 대한 선호도가 외자기업을 뛰어넘음.

  - 이와 같은 변화는 최근 2년간 중국기업들이 구인제도·사무환경·복리대우·인재양성 등 인력자원정책 방면에서 크게 개선된 모습을 보였고, 또한 브랜드이미지 향상에도 노력을 기울였기 때문으로 평가됨.

  - 응답자 중 25%가 중국기업 중에서도 국유기업을 선호기업 제1순위로 뽑음. 이는 국유기업이 대우가 좋으며, 무엇보다 안정적이라는 특징이 학생들에게 큰 매력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됨. 반면 외자기업은 이전의 우월성을 점차 찾기 힘들어진다는 의견이 많았음.

 

 ○ 희망초봉 낮아지는 추세

 

2005~08년 중국 대학(원)생 희망초봉

                       (단위 : %)

자료원 : 中英才

 

  - 희망초봉이 월 2000위앤 이하라고 답한 학생들은 이전에 비해 늘어난 반면, 그 이상을 답한 학생들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남.

  - 명문대에 속하는 북경이공대학교의 한 학생은 희망급여 최저한도는 월1800~2000위앤이라며, 구직 시 가장 중시하는 것은 발전잠재력과 사회적응, 그리고 얼마나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가 하는 것이라고 대답함. 일과 동시에 자신을 ‘충전’하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점이라고 강조함.

 

□ IT, 금융, 자동차, 에너지 분야 인재 부족 현상 겪어

 

 ○ 졸업생들은 심각한 취업난에 시달리는 반면, IT·금융·자동차·에너지 등 일부 업종에서는 적합한 인재를 찾지 못해 구인난을 겪고 있음.

 

 ○ IT 분야

  - 최근 2년간 중국 IT와 인터넷산업, 특히 소프트웨어 아웃소싱이 급성장하고 있음. 그동안 인도가 아웃소싱이 활발했으나, 원가가 높아지면서 중국으로 옮겨오고 있는 추세임. 현재 다롄, 시안, 청두에서는 전문적인 소프트웨어단지를 설립하는 등 IT산업 발전에 주력하고 있음.

 

 ○ 금융

  - 경제의 글로벌화가 급속히 전개됨에 따라, 금융활동이 차지하는 지위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음. 특히 외자은행이 대량으로 중국에 진입한 이후, 금융업은 전문능력과 경험은 물론 외국어실력까지 갖춘 인재를 절실히 필요로 하는 실정임.

  - 하지만 졸업생들 가운데 이와 같은 인재를 찾기가 매우 어려워, 직접 인재를 양성해야만 하는 실정이라고 관련 인사들은 토로함.

  - 은행에서 가장 유망한 신직종은 재정관리사로, 현재로서는 관련 인재가 매우 부족한 실정임.

 

 ○ 자동차

  - 중국 자동차회사들은 매년 막대한 자금을 들여 외국에서 인재를 모집하고 있음. 일반적인 인력은 풍부하나, 경험이 풍부하고 시스템설계 능력이 있는 인재들은 중국인재를 매우 찾기 힘든 실정임.

 

 ○ 에너지

  - 중국은 에너지 사용량이 막대한 만큼 석유·석탄 외에 신에너지원, 즉 태양에너지·풍력에너지 등 개발에 관심이 많으며, 현재 관련인재가 부족한 상황임.

 

□ 시사점

 

  최저임금 인상과 신노동법 시행 등 기업들의 인건비 부담은 날로 늘고 있으며, 직원들의 잦은 이직도 우리 투자기업들의 큰 골치거리임. 그러나 이번 조사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 중국 대학생이 구직을 할 때 고려하는 조건이 단순 고임금보다는 발전가능성·안정성 등에 큰 비중을 두는 바, 우리 투자기업들의 노무관리에 적절히 참고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 중국경제주간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심각한 취업난, 中 대학생 직업관 변화 가져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