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에너지절감기술 중점추천대상 1차목록 발표
- 경제·무역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08-07-16
- 출처 : KOTRA
-
中, 에너지절감기술 중점추천대상 1차목록 발표
- 보급률 낮고 에너지절감 잠재가능성 높은 기술 위주로 선정 -
- 9개 산업 50개 기술 선정 -
보고일자 : 2008.7.16.
김명신 베이징무역관
□ 보급률 낮고 에너지절감 잠재가능성 높은 기술 위주로 선정
○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지난 5월 29일 제36호 공고문을 통해 중국에서는 처음으로 ‘국가 에너지절감기술 중점추천대상목록’을 발표함.
- 중국 정부는 에너지절감기술 보급을 확대하고 기업에게 선진 에너지절감형 기술과 설비 사용을 유도하기 위해 이번 목록을 발표했으며 ‘목록’에 해당되는 기술은 아래의 조건을 기준으로 선정됨.
- 적용 및 응용범위가 광범위하고, 에너지절감 잠재력이 비교적 큰 기술
- 정책지원을 통해 뚜렷한 에너지절감 효과 달성이 가능한 기술
- 80% 이상 보급된 에너지 절감기술의 경우, 선정대상에서 제외
- 뚜렷한 에너지절감 효과가 있는 생산기술은 선정대상에서 제외(에너지 절감 잠재력이 있는
기술위주로 선정)○ 이번 ‘목록’은 각 산업협회, 지방 에너지절감 주관부문과 일부 전문가들이 추천한 120여 개 에너지절감형 기술 중에서 전문가들이 평가심사하고 업계의 의견수렴 내용을 참고해 최종 결정됨.
- 이번에 선정된 기술의 보급률은 대부분 30~40% 수준이고, 심지어는 1%에도 미치지 못함.
○ 2003년 하반기 이후 에너지난이 지속되면서 중국정부는 에너지절감을 위해 ‘에너지절약법’, ‘국무원이 에너지절감사업을 강화하기 위한 결정’과 ‘국무원의 에너지절감 및 방출감소 종합사업안을 위한 통지’ 등을 발표한 바 있음.
□ 9개 산업 50개 기술 선정
○ 이번에 발표된 기술목록에는 석탄, 전력, 철강, 유색금속, 석유화학, 화공, 건자재, 기계, 방직 등 9개 산업 총 50개 기술이 포함됨.
- 그 중 철강, 석유화공, 건자재 산업에 전문적으로 적용되는 기술은 각각 8개로 다른 업종에 비해 많음.
○ ‘목록’에는 철강산업관련 건조식 TRT기술과 열 저장식 연소기술 등을 비롯한 8개 기술이 포함돼 있고, 건자재산업의 경우 롤러제분기 시스템·과산연소기술·열펌프에너지 절약기술 등 8개 기술이 포함됨.
○ 석유화공산업에는 석유산업과 화공산업을 합해 총 8개 기술이 포함됨.
- 석유업종에는 유전기계용 방공 천연가스 액화기술과 분해 보일러·공기 예열 에너지 절감기술 등 2개 기술이 선정됐고, 화공업종으로는 신형 변환기 알칼리 제조기술과 암모니아 합성회로 분자 에너지 절감기술 등 6개 기술이 선정됨.
- 중국석유화학공업협회는 이들 8개 기술을 석유화학산업 중점 기술로 선정해 개발할 것이라고 밝힘.
○ 전력산업의 경우 증기터빈흐름부분 현대화개조, 증가터빈스팀폐쇄개조, 석탄연소보일러 기화미량 유점화기술, 석탄연소보일러 플라스마 석탄분말 점화기술, 기체응고기 나선유대 먼지제거장치기술 등 5개 기술이 선정됨.
○ 유색금속산업의 경우, 알루미늄 전기분해계열 전전류 기술 및 플랜트장치와 연기제련 여열회수와 여열발전기술을 포함한 5개 기술이 포함됐고, 기계산업기술로는 보일러 연도 중성화기술 등 5개 기술이 포함됨.
○ 석탄산업에는 탄광저농도 가스발전기술·석탄 선정공장 고효율성 저에너지소모 탈수설비 등 3개 기술이 선정됐고, 방직기술로는 고온고압기류 염색기술과 염색가공기업 에너지절감 집열기술 등 3개 기술이 포함됨.
○ 특히 이번 ‘목록’에는 특정산업에서만 활용가능한 기술이 아닌 여러 산업에서 통용가능한 에너지절감기술이 총 5개 포함돼 있음.
- 주파수 변환기 속도조절 에너지절감기술의 경우 전력·야금·석유·하공·석탄·제지·건자재 등 업종에서 모두 적용가능하며, 보일러 수처리 방부 및 물때 방지용 에너지절감기술은 공업·공업냉각순환 수처리 등 산업에 적용가능함.
자료원 :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中, 에너지절감기술 중점추천대상 1차목록 발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中 10대 산업진흥책(4)] - 조선업
중국 2009-02-19
-
2
[마케팅 현장르포]벨기에, 약액주입량 미세조절기 수입수요 증가세
벨기에 2010-06-19
-
3
프랑스가 경제위기에 강한 이유 12개(3)
프랑스 2009-06-26
-
4
[中 10대 산업진흥책(1)] - 자동차산업
중국 2009-01-15
-
5
美, SW시장 진출 키포인트는 시장 타깃팅과 현지화
미국 2009-11-17
-
6
브라질, 북동부 원전 상프란시스코 강 유역에 건설 유력
브라질 2010-01-19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