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쿠웨이트, 한국기업들과 에너지자원 협력 확대
  • 경제·무역
  • 쿠웨이트
  • 쿠웨이트무역관 김익환
  • 2008-07-06
  • 출처 : KOTRA

쿠웨이트, 한국기업들과 에너지자원 협력 확대

- 오일머니 유치를 위한 투자유치설명회 등 적극적 투자유치 활동 바람직 -

 

보고일자 : 2008.7.6.

김익환 쿠웨이트무역관

kimih@kotra.or.kr

 

 

□ 에너지정책 현황

 

 ○ 쿠웨이트는 석유를 국부의 원천으로 인식하고, 헌법에 따라 외국기업의 주재국 내 에너지 자원개발 참여를 원칙적으로 배제

  - 1972년 쿠웨이트 국회는 석유산업 국유화를 결정하고, 1975년까지 쿠웨이트 원유회사(KOC) 주식 전량 매입

 

 ○ 외국기업의 석유자원 소유는 금지되며, 기술제공·건설·관리 등의 서비스 지원만을 허용

  - 쿠웨이트 석유공사(KPC : Kuwait Petroleum Corporation) 및 자회사만이 독점으로 석유생산과 판매를 하고 있음.

  - 쿠웨이트는 석유광구 분양을 하지 않고 있으며, 다만 메이저 석유회사(Exxon Mobil·BP·Chevron·Total·Shell)로부터 기술지원을 제공받고 있음.

 

 ○ 원유생산능력 확대를 위해 노력 중이며, 원유의 단순수출보다는 부가가치가 높은 정유·석유화학제품의 수출확대 노력

  - 원유생산 능력을 260만 배럴/일에서 2010년까지 300만 배럴, 2020년 400만 배럴/일로 확대하기 위한 ‘2020 Strategy’ 추진

  - 정유생산능력도 90만 배럴/일에서 2012년 150만 배럴/일 증대 계획

 

 ○ 고유가를 바탕으로 걸프지역 중심국가 건설 추진 중

  - 최근 고유가로 막대한 재정흑자(350억 달러)를 시현하고 있으며, 걸프지역 내 무역 및 물류중심지로 성장하기 위한 산업다변화 추진 중

  - 부비얀섬 개발 계획, 공항확장 등 추진 전망

 

 ○ 쿠웨이트는 해외 유전 개발에 참여해 소규모 유전도 확보하고 있음.

  - 호주, 인도네시아, 튀니지의 소규모 유전 또는 자본투자를 통해 3만5000배럴의 석유생산

  - 2010년까지 10만 배럴까지 투자 확대 추진

  - China National Offshore Oil Corp(CNOOC)와 남중국해 하이난섬의 해외유전개발에 참여

 

□ 가스분야도 개발 확대

 

 ○ 쿠웨이트 Sabrya 및 Umm Niqa 지역 등 북부지역에 원유생산과 연계되지 않은 38조ft³ 상당의 천연가스가 매장돼 있음(쿠웨이트 소비량 기준 40년 사용 가능).

 - 쿠웨이트는 12억ft³/일의 천연가스를 소비하고 있으며, 향후 20억ft³/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쿠웨이트는 현재 카타르 등으로부터 천연가스를 수입하고 있으며, 이란·이라크 등으로부터 천연가스 수입 고려 중

  - 그러나 이란·이라크로부터의 수입이 정치적 요인으로 제약되고 있어, 국내 천연가스 개발을 적극 추진

 

 ○ 쿠웨이트 국영원유공사(KOC)는 북부 가스 생산지대에서 2008년 2월부터 약 2억ft³/일의 천연가스 생산을 개시하고, 2011년부터는 6억ft³/일, 2011년에는 약 10억ft³/일을 생산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할 계획

  - 이 가스생산은 국내소비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으며, 기존 발전소와 수비야 지역에 설립 중인 1500㎿ 발전소 및 PIC의 Olefin III 석유화학공장등에 가스를 공급할 전망

  - 2006년에 원유생산 시 수반되는 가스를 12억ft³/일 생산

  - 2008년 6월부터 원유생산과 연계되지 않는 천연가스를 5000만ft³/일 생산하고, 곧 1억7500만ft³/일 최초 생산예정

 

 ○ 한편 쿠웨이트·사우디·이란 사이에 위치한 Dorra 해저 천연가스전 개발과 관련해 3국간 개발권 분쟁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란은 자국소유를 주장하고 독자개발 추진

 

□ 우리의 대 쿠웨이트 원유 수입현황

 

 ○ 우리나라는 2007년 28만9000배럴/일의 원유를 쿠웨이트로부터 수입(원유 수입의 10.5%)

  - 쿠웨이트는 우리나라의 제3위 원유수입국(사우디·UAE)이며, 우리는 쿠웨이트의 제2위 원유수출국

 

우리의 쿠웨이트 원유 수입현황

연도별

2004

2005

2006

2007

석유수입량(만 배럴)

6,465

7,968

9,260

10,562

석유수입금액(억 달러)

20.9

37.9

54.5

70.8

자료원 : 한국석유공사

 

□ 한-쿠 에너지 협력 확대 방안 TIP

 

 ○ 쿠웨이트 오일달러의 국내 투자유치 추진

  - 주재국 내 풍부한 오일달러를 국내 프로젝트에 유치 추진을 위한 ‘투자유치설명회’ 등 개최 추진

  - 쿠웨이트는 약 2640억 달러의 투자자금 보유 중이며, 미국 등의 우량자산에 투자 중

  - 한국·일본·중국 등 아시아 시장을 석유수출시장 및 오일달러 투자대상지역으로 중시해, 정치·경제적 협력을 강화(특히 석유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중국, 베트남, 인도, 인니 등 정유공장 등에 대한 투자사업 추진)

 

 ○ 에너지관련 플랜트, 인프라 수주 확대

  - 쿠웨이트는 향후 5년간 에너지 분야에서 약 550억 달러 공사가 발주 예상되며, 20년간 약 2500억 달러의 건설공사 발주 전망

  - 2008년 말 입찰 예정인 Clean Fuel Project(190억 달러 상당)에 한국기업 6개사 참가 예상

 

 ○ 원유수송선박 입찰 발주 한국기업 참가

  - 원유등의 안정적 수출 공급을 위해 29척의 석유운송 선박을 보유 중이며, 선박 현대화 계획에 따라 노후 선박을 교체작업 중

  - New Building Project II에 따라 대형유조선 4척(30만 톤급, 척당 1억3000만 달러)과 Afrmax 2척(10만 톤급, 척당 약 1억 달러)을 발주 중

  - 한국기업(3개사) 및 일본기업(Kawasaki조선)가 PQ를 통과했으며, 2008 suss 중 건조업체가 선정될 전망(New Building Project III—Panamax Vessel 7만 톤급 4척—는 2009년 말경 입찰절차 시작 전망)

 

 

자료원 : MEED지, 쿠웨이트 석유부 발간 간행물, 쿠웨이트 석유공사 아시아지역 담당자 및 진출 한국기업 인터뷰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쿠웨이트, 한국기업들과 에너지자원 협력 확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