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美, 정부 기관들 구매 확대 예상
  • 경제·무역
  • 미국
  • 디트로이트무역관 김호준
  • 2008-06-26
  • 출처 : KOTRA

 

美, 정부기관들 구매 확대 예상

- 교육기관의 구매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할 전망 -

- 소프트웨어, 기술 서비스, IT 하드웨어, 통신, 비즈니스 서비스 등 전 분야 증가 예상 -

 

보고일자 : 2008.6.25.

박미진 디트로이트무역관

Detroit@kotradtt.org

 

 

□ 정부 기관들 구매 확대 예상

 

 ○ 미국 경기 침체가 이어지고 경제 전망이 엇갈리고 있으나, 정부 기관들의 구매는 지속 확대될 것으로 조사됨.

  - 시장 조사 전문 기관인 Onvia에 따르면, 정부와 교육 기관 구매 담당자 14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3%가 2008년에 예산 집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고, 37%는 2007년도 수준으로 예산을 집행할 것이고, 20%는 2008년의 예산 집행을 줄일 예정인 것으로 응답

  - 시 정부는 재산세 감소와 소비위축으로 예산 감축이 불가피하지만. 교육관련 조달 시장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

  - 각 기관들은 공동 구매, 전자조달 등 다양한 조달 기법을 이용해 비용절감을 위해 노력

 

 ○ 교육관련 구매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할 전망

  - 설문에 응답한 교육 관련 구매 담당자 중 58%가 2008년 구매가 증가할 것이라고 답했으며, 시 정부 구매 담당자 중 30%가 구매 증가를 예상. 반면, 18%의 교육 관련 구매 담당자는 구매 감소를, 26%의 시 정부 담당자는 구매 예산 집행 감소를 예상

 

 ○ 지역별로는 South Central 지역이 2007년보다 구매를 늘리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이(56%) 나왔으며, New England가 26%만이 구매를 확대하겠다고 응답해, 가장 낮은 것으로 밝혀짐. 그러나 미국 전체로 볼 때, 2007년 수준을 유지 혹은 2007년 수준보다 확대하겠다는 응답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됨.

 

 ○ 사회 인프라 부문 구매 증가

  -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건설 경기가 하락하고 있지만, 41%가 인프라 관련 지출을 확대, 39%가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응답해 정부 주도의 인프라 시장(건축·엔지니어링 서비스, 건설 서비스, 빌딩 서플라이·운영·관리 등)은 2008년에 성장이 예상되고 있음.

  - 77%의 기관이 건축과 엔지니어링 서비스 분야의 구매가 증가할 것으로 응답, 78%가 건설과 건축자재 분야 구매가 전년과 동일하거나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83%는 인프라 운용과 관리 분야의 지출이 증가·현 수준 유지할 것으로 전망

 

 ○ 소프트웨어, 기술 서비스, IT Hardware, 통신 등을 포함한 정보산업 관련 분야에 대한 지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

  - 83%가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분야 지출을 확대할 예정이며, 82%의 기관이 하드웨어 구매 확대를, 마찬가지로 82%의 기관이 통신 관련 구매를 확대·현상 유지할 것으로 응답

  - 교육분야 구매 담당자 중 60%가 2008년에 소프트웨어와 IT분야 관리 구매를 확대할 것으로, 시 정부 구매 담당자 중 31%가 증가를, 47%가 현수준 유지를 예상

  - 지역적으로는 Mid-Atlantic 지역의 구매 담당자들 중 53%가 지출 증가를 예상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

 

 ○ 금융·경영 컨설팅 및 사무집기를 포함하는 비즈니스 서비스 분야도 다양한 각도에서 구매증가 예상

  - 교육과 특수 분야에서 85%의 기관이 비즈니스 서비스 분야의 지출증가를 예상했고, 주 정부 기관의 73%가 지출증가를 예상

  - 지역적으로 볼 때, South Cetral지역이 비즈니스 서비스 분야 지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는 구매 담당자가 가장 많았음.

  - 전체적으로 경영 컨설팅 분야중 전략수립·친환경 정첵에 관한 분야의 지출이 강세를 보이고, 석유·화학·에너지와 같은 기간 산업 분야도 강세를 보일 전망

 

□ 미국 정부의 조달 경향

 

 ○ 중앙 조달 부서의 조직적인 공동구매와 전자조달를 통한 구매 활성화

  - 전자 시스템을 이용한 입찰

  - 중소규모의 건설 사업의 온라인 입찰 및 서비스 확대

  - 11%의 주정부 및 지방 정부가 역경매를 통한 구매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전자조달을 통한 거래가 기존 조달 방식보다 비용의 60%를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

  - 전자조달은 2008년까지 약 30%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주정부와 지방 정부의 사이의 협력구매가 49%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시사점

 

 ○ 미국의 연방 정부 조달 시장은 2006년에 약 4000억 달러에 이르는 방대한 규모의 시장이나, 사실상 미국산 구매를 우선적으로 할 수 있게 해, 외국 기업에는 불리하도록 만들어진 관련법(Buy American Act)으로 인해 미국 조달 시장의 장벽을 뚫기는 어려움이 많이 있음.

  - 연방 조달 데이터 시스템(FPDS)통계에 의하면, 2005년에 정부 조달에 참여한 외국기업이 6%에 불과

  - WTO 정부 조달 협정에 의해, 현재 미국 37개 주에서는 외국 기업도 입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음.

 

 ○ 한미 FTA 협정이 발효되면 우리 기업들의 미국 정부 조달 시장 참여 가능성이 확대될 전망

  - 미국 정부와 직접 거래하기에는 여러 가지 제약이 많은 한국기업은, 이미 미국 조달 시장에 계약된 미국 기업과 파트너십 구축 등을 형성해 계약을 체결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으로 모색할 만함.

 

 

자료원 : Onvia 2008, 연방 조달 데이터 시스템(www.fpds.gov), 무역관 자체 보유자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美, 정부 기관들 구매 확대 예상)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