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美, 최대 구매층인 베이비부머 마케팅 성공 VS 실패 사례
  • 경제·무역
  • 미국
  • 달라스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7-12-27
  • 출처 : KOTRA

美, 최대 구매층인 베이비부머세대 마케팅 성공 VS 실패 사례

- 베이비부머 세대, 2015년 총 구매력 26조 달러 달할 전망 -

 

보고일자 : 2007.12.26.

김경미 댈러스무역관

emily@kotradallas.com

 

 

□ 베이비부머 소비시장 개요

 

 ○ Financial Times 에 따르면, 향후 50대에 접어드는 소비자 수는 무려 2250만 명에 달함.

  - 미국 기업의 마케팅은 전통적으로 18~49세의 젊은 소비자를 타겟으로 했으나 향후 동 연령대는 1000만 명에 불과한 데 비해, 베이비부머 세대는 약 2.3 배에 달하는 2,250만 명으로 기업의 마케팅 구조가 바뀌고 있는 추세

  - 2015년에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총 구매력이 26조 달러에 이를 전망

  - 2007년 미국 애플 아이폰의 25% 이상 구매 계층도 50대 이상의 베이비부머 세대로 조사됨.

 

 ○ '젊은 노인층' 베이비부머의 소비 성향

  - 베이비붐 세대(Babyboomers)는 1946년부터 1964년 사이에 태어난 미국인을 지칭

  - 최신 디지털 제품 구매를 리딩하는 트렌드 리더 계층

  - 여행과 레저활동에 적극적이며 소비 지향적

  - 실버계층 타겟 제품은 NO!

  - 쿨한 이미지를 위해 Personal Care Products 구매에 적극적

 

□ 베이비부머 마케팅 성공 사례

 

 ○ TARGET

  - 베이비부머층을 타겟으로 공략하지 않았지만 쿨한 이미지를 내세운 유통 판매전략 성공

  - 최신 디지털 제품 및 각종 Personal Care Products 구매 유도하는 마케팅 전략이 유효

 

 ○ JET BLUE 항공사

  - 신선하고 쿨(Cool)한 기업 이미지 마케팅이 베이비부머 세대층 공략에 유효

  - 저렴하면서도 양질의 제품과 서비스를 찾는 베이비부머 세대에 맞는 마케팅 전략 펼침.

  - 항공권 상품권 판매 등 다양한 프로모션 전략 유효

 

자료원 : JETBLUE AIRWAYS 웹사이트 내 '상품권 판매' 프로모션

 

□ 베이비부머 마케팅 실패 사례

 

 ○ 의류회사 갭(GAP) ‘포스 앤 타운’

  - 40대 이상 세대 공략한 집중 타게팅 브랜드 ‘포스 앤 타운’

  - 베이비부머층은 동 매장에 출입하는 것 자체가 자신이 늙은 것을 인정하는 행위로 받아들여 전격 구매를 거부

  - 갭(GAP)은 결국 4천만 달러의 손실을 본 후 동 브랜드를 철수함.

 

□ 시사점 및 전망

 

 ○ 미국 소비시장 트렌드 변화의 주축인 베이비부머 세대 공략법은 미국 시장 진출의 초석이 됨.

 

 ○ 현재 베이비부머 세대는 컴퓨터 및 첨단 디지털 제품 이용 친숙도가 높음.

  - 온라인 데이트 사이트 및 네트워킹 커뮤니티 참여도도 높음.

  - 전자상거래 구매도도 높아 동 세대 공략 마케팅은 전체 구매 트렌드를 바꾸고 있음.

 

 ○ 미국 내 최대 구매층으로 성장한 베이비부머 세대를 공략하기 위해서는 기존 실버세대 타겟 마케팅 전략과는 차별화된 기법이 요구됨.

 

 

자료원 : FT(Financial Times), Jetblue Airways 웹사이트, 무역관 수집자료 및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美, 최대 구매층인 베이비부머 마케팅 성공 VS 실패 사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