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對中 투자 개방이 대만산업에 미치는 영향(2)
  • 경제·무역
  • 대만
  • 타이베이무역관 유기자
  • 2008-06-17
  • 출처 : KOTRA

대중 투자 개방이 대만산업에 미치는 영향(2)

 

보고일자 : 2008.6.17.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

kotra.tpe@msa.hinet.net

 

 

1. 자동차 산업에 미치는 영향

 

□ 대 중국 투자현황

 

 ○ 완성차

  - 다수의 대만 완성차 기업이 글로벌 기업의 대만 지사 형태로 운영되고 있어, 裕隆·中華·三陽 등 완성차 제조업체와 상품 기획 및 마케팅 사업 위주의 裕日·和泰 등 5개 사만 주식시장에 진입한 상태임.

  - 특히 裕隆日産의 경우, 모기업인 일본 닛산이 裕隆日産 지분으로 중국 風神에 투자하고 있어, 대 중국 투자 비중이 다른 기업에 비해 높은 편임.

  - 三陽의 경우 자동차 사업의 해외 거점으로 베트남을 선정, 대 중국 투자는 현지 오토바이 시장에 주력을 기울이고 있음.

  - 中華의 경우 중국 東南 자동차 및 福建 Daimler에 대한 투자, 和泰의 경우 기술합작사인 Toyota와 협력해 중국 시장에서 Lexus의 마케팅 및 세일즈 사업 위주로 운영하고 있음.

  - 한편, 裕隆의 경우 완성차나 자동차 부품에 대한 투자가 아닌 컴퓨터 시스템 소프트웨어 서비스업체에 대해 투자를 실행함.

 

 ○ 자동차 부품

  - 자동차 부품 기업의 경우, 최근 부상하고 있는 차량용 전자제품을 위주로 중국을 비롯한 기타 신흥국가의 완성차 공장과 소비시장을 목표로 시장개척에 매진하는 추세를 보임에 따라, 대 중국 투자 역시 빈번하게 실행되고 있는 편이며, 완성차 기업에 비해 기 투자 비율도 높은 편임.

  - 차량용 전자제품 외에도 차량용 등 및 기타 전통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東陽·士電의 경우, 일찌감치 대 중국 투자를 실행해 투자 규모는 이미 10억 대만달러를 돌파했음.

 

대만 자동차 산업의 중국 투자현황

     (단위 : 천 대만달러, %)

분류

업체명

기 중국 투자액

투자 상한금액

기 투자 비율

비고

완성차

裕隆日産

1,841,642

4,341,782

42.42

상장기업

同致

235,423

270,287

87.10

주 : 투자 비율은 투자 상한금액 중 중국 투자액이 차지하는 비중

자료원 : 대만 전자공시시스템 ; 공업기술연구원 산업경제추세연구센터 정리(2008.5.)

 

□ 대 중국 투자 확대개방이 미치는 영향

 

 ○ 단기적으로는 완성차 산업에 두드러진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

  - 현행 대 중국 투자 상한금액 대비 대만 완성차 업체의 기 투자 비율은 낮은 편이므로, 상한금액이 적용된다고 하더라도 단기적인 대중 투자는 무리없이 실행 가능할 것으로 보임.

  - 한편 현재 대 중국 투자 비율이 가장 높은 裕隆日産의 경우 대중 투자에 대한 결정권을 모기업인 일본 닛산이 좌우하고 있으므로, 裕隆日産에게 직접적인 영향력은 없을 것으로 판단

  - 또한 대 중국 투자 미실행 중인 기업 國瑞·福特六和·臺灣本田의 경우, 대만에 생산 거점을 두고 모기업의 경우 별도로 대 중국 투자를 실행하고 있으므로, 투자가 확대 개방된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투자 실행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

 

 ○ 장기적으로는 대만 자체 브랜드 완성차에 긍정적인 영향

  - 현재 裕隆을 선두주자로 대만의 완성차 제조 기술력과 중국의 저렴한 생산단가 및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궁극적으로는 세계 자동차 공급선에 가담하는 것을 목표로 매진 중에 있어, 대 중국 투자 확대개방은 향후 양안 간에 더 긴밀한 공동협력관계를 구축하는 데 일조할 것으로 예상됨.

 

 ○ 대 중국 투자 확대개방이 자동차 부품 산업에 미치는 영향

  - 단기적으로 볼 때 전통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는 이미 중국 시장에서 충분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으며, 대 중국 투자 상한금액 대비 투자 가능 한도액이 보류돼 있는 상태이므로, 단기적인 대중 투자는 충분히 실행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 한편, 장기적으로는 중국 자체 완성차 업체의 급성장에 따라 자동차 부품시장의 수요가 급증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현지 시장 및 고객의 수요를 충족시킬 만큼의 생산력을 배가하는 등, 경쟁력에서 낙오하지 않고 일정한 입지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대 중국 투자를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대 중국 투자 확대개방은 자동차 부품 산업 발전의 기반 조건이 될 것으로 보임.

 

2. IT 하드웨어 산업에 미치는 영향

 

 ○ 대만의 IT 하드웨어 산업의 생산거점은 이미 다수 중국으로 이전한 상태로, 200년도 기준 대만 IT 하드웨어 업체의 국내 생산비중은 2.5%에 불과한 반면, 중국 내 생산비중은 대만 IT 하드웨어 산업규모의 89% 비중을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극명한 격차를 보이고 있음.

 

대만 IT 하드웨어 산업의 주요 생산거점별 생산비중

                       (단위 : %)

 

중국

대만

기타

생산규모

2006년

85.6

4.0

10.4

896,5600만 달러

2007년

89.0

2.5

8.5

1054,4900만 달러

자료원 : Market Intelligence Center(MIC), 경제부 ITIS(2008.4.)

 

 ○ 또한 대만의 IT 하드웨어 제품의 세계 시장점유율은 이미 확고한 입지를 정립하고 있는 상태로, 생산제조 측면에서 볼 때 대 중국 투자 확대개방이 대만 IT 로드웨어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은 그다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

 

대만 주요 IT 하드웨어 제품의 세계 시장점유율(출하량 기준)

품목명

2006

2007(f)

2008(f)

노트북 컴퓨터

87%

92%

93.3%

데스크톱 컴퓨터

30%

31.5%

33.7%

마더보드

99%

98%

98%

서버 시스템

34.8%

34.9%

35.7%

중소형 TFT 패널

30%

36%

37%

대형 TFT 패널

48%

51%

49%

LCD 모니터

75%

77%

80%

LCD TV

20%

24%

26%

DSC

36%

41%

45%

ODD

33%

29%

29%

WLAN

87%

88%

87.5%

DSL

81%

86%

88%

VoIP

85%

85%

86%

일반/다기능 폰

13.7%

9.6%

10.7%

스마트 폰

12.6%

16.2%

15.2%

자료원 : Market Intelligence Center(MIC)

 

 ○ 한편, 생산제조 방면의 대중 투자는 충분하게 실행돼 있는 반면, 신기술 및 상품에 대한 연구개발 방면의 투자는 여타 글로벌 기업에 비해 뒤지는 편

  - 따라서 대 중국 투자 확대개방으로 대만기업의 연구개발 방면의 투자가 활발하게 진행될 경우, IT 하드웨어의 거대 소비시장으로 부상되고 있는 중국 현지시장 및 소비자의 수요 파악이 더 용이할 것이며, 시장접근력 역시 상승하게 돼 질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자료원 : 공업기술연구원 산업경제추세연구센터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對中 투자 개방이 대만산업에 미치는 영향(2))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