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카자흐스탄, 담배시장동향
  • 경제·무역
  • 러시아연방
  • 알마티무역관 최진형
  • 2008-06-08
  • 출처 : KOTRA

카자흐스탄, 담배 시장동향

 

보고일자 : 2008.6.7.

최진형 알마티무역관

choijh@kotra.or.kr

 

 

□ 카자흐스탄 담배시장 개요

 

 ○ 카자흐스탄의 성인 흡연율은 64%로, CIS 역내 국가들 중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다음으로 흡연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5월 31일은 세계 금연의 날로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 암연맹(UICC)는 담배제품 광고·판촉 및 후원을 포괄적으로 금지하는 캠페인을 벌였으나, 카자흐스탄은 이러한 글로벌 추세와 무관하게 성인 흡연율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파악됨.

 

카자흐스탄 유형별 흡연율

소비자 유형

흡연율

29~59세

남성

40.8%

Slim Agenda

덴마크

110

Altadis Group

Gauloises

프랑스

320

자료원 : KOTRA 알마티 무역관 시장조사

 

 ○ 카자흐스탄 담배 수입현황을 보면, 고급 담배와 저가 담배의 양분화가 매우 뚜렷한 편임. 저가 담배의 주 수입국은 러시아와 중국으로 카자흐스탄 담배 시장점유율의 10% 안팎이며, 고급 담배 주 수입국은 스위스임.

  - 한편, 최근 담배 완제품 수입보다는 CIS 역내 국가들로부터의 담배 원부자재 수입이 급증하고 있어, 담배시장의 수요를 국내생산이 대체 충족하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음.

 

 카자흐스탄에 진출해 있는 한국산 담배는 Esse와 PINE라는 브랜드 제품으로 110~120텡게(약 945~1050원)에 판매되고 있으며, 카자흐스탄 담배 시장점유율은 1%에 미치지 못해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산 담배 시장점유율(약 40% 이상)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대 카자흐스탄 주요 국가별 담배 수입현황(HS Code 24)

               (단위 : 천 달러)

국가별

2005

2006

2007

러시아

12,205

19,933

46,552

미국

13,147

12,128

12,297

한국

4,516

6,730

5,045

프랑스

1,286

1,739

2,272

중국

280

673

1,551

우크라이나

125

3

1,262

폴란드

4,395

1,658

887

독일

281

408

648

스위스

6,635

140

30

기타

34,910

42,685

57,436

 

77,780

86,097

127,980

자료원 : WTA

 

□ 시사점

 

 ○ 카자흐스탄 담배 가격은 최근 거의 변동이 없는 것으로 이번 조사에 나타났으며, 이는 카자흐스탄 담배 소비자 또한 담배를 생필품이 아닌 기호식품으로 인식하고 있어, 비탄력적인 소비경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임.

  - 카자흐스탄 국민 1인당 소득이 2007년 기준 약 6800달러로, 한국의 약 1/3의 수준임을 고려해 보면, 카자흐스탄 담배 시중가가 국민 개인소득 대비 크게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음. 그러나 2008년 상반기 생필품비 상승률이 약 26%임을 감안하면, 담배가격 상승률은 매우 저조한 편임.

 

 ○ 2008년 상반기 인플레이션의 주 원인은 식료품가격 상승으로 파악되고 있는 현재 상황으로 담배가격 또한 크게 상승될 거라는 심리적 작용이 보이기는 하나, 기호식품 가격 비탄력성을 고려해 보면 담배 수입동향은 그리 밝지 않다고 분석됨. 특히 카자흐스탄 담배 소비는 브랜드 인지도에 따라 크게 좌우되고 있고, 국내 생산 및 CIS 역내 수입이 증가하고 있어, 시장 신규진출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한국산 담배 진출은 이웃 국가인 우즈베키스탄에서 크게 성공한 사례로 들 수 있으나, 카자흐스탄 담배시장은 이미 세계 주요 담배 회사들이 현지 생산 중이며, 시장점유입지가 다소 확고한 편이어서 신규 브랜드 진출이 가격경쟁력을 갖추지 않으면 입지형성이 매우 어렵다고 분석됨.

 

 ○ 현재까지 카자흐스탄 흡연율은 매우 높은 편이어서, 극적인 수요증가는 없더라도 당분간 소비규모는 유지될 것으로 전망됨.

  - 이번 조사에 따른 특이점은 Slim형 담배가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는 도시 신흥계층이 두터워짐에 따라 담배소비 또한 트렌드를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음. 이와 같이 대 카자흐스탄 담배시장 진출은 소비층의 맛과 디자인 선호도 등의 세부적인 파악이 선행돼야 한다고 판단됨.

 

 

자료원 : 카자흐스탄 통계청, WTA, 무역관 보유 자료 분석 및 시장조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카자흐스탄, 담배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