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카자흐스탄 담배수입 감소 이유
  • 트렌드
  • 카자흐스탄
  • 알마티무역관 최진형
  • 2011-07-24
  • 출처 : KOTRA

 

카자흐스탄 담배수입 감소 이유

- 실질적 소비 감소보다는 재고 우려한 수입 감소 -

     

     

 

□ 카자흐스탄 담배시장 개요

     

 ○ 조사에 따르면, 카자흐스탄 담배시장 규모는 2억6000만 달러이며, 전년대비 2010년 담배 생산 산업은 2.3% 감소했다고 함. 한편 지난해 담배 판매량을 2억80억 개비로 파악됨.

     

 ○ 카자흐스탄 담배소비자 수는 420만 명 정도로 총인구의 27%가 담배 소비자인 것으로 조사됨.

  - 카자흐스탄 담배 소비자의 연간 담배 소비량은 1인당 6666개이며 하루 평균 1팩(20개비) 정도임. 그러나 2008년 이후 1인당 담배 소비량이 20개비에서 18.3개로 감소했다고 통계청은 발표했음.

     

 ○ 카자흐스탄 담배 소비 연령층은 29~59세로 남성 소비자 수가 여성보다 약 3배이며 학생 소비도 큰 것으로 조사됨.

  - 전체 소비 중 남성 소비자는 45%를 차지하며 여성소비자는 15%, 학생 소비자는 12.7%로 나타남.

     

 ○ 조사에 따르면, 최근 카자흐스탄에서 선호하는 담배는 슬림 또는 슈퍼 슬림 형태로 통상 여성 담배로 알려진 슬림형 담배가 남성들 사이에도 선호되는 것으로 파악됨.

     

 ○ 카자흐스탄 담배 시장의 95% 이상이 다국적 브랜드 담배가 점유하며 약 5%만 중국이나 러시아에서 밀수입되는 것으로 조사됨.

  - 카자흐스탄 담배 시장을 차지하는 주요 기업은 Phillip Morris와 JTI(Japan Tobacco International), British American Tobacco로 이 회사들은 현지 생산 및 수입을 병행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2001~2010년간의 JTI 정부 세금 지급 금액이 4억5000만 달러로 기업 시장 점유 규모를 추측해 볼 만함.

 

카자흐스탄 담배시장의 주요 기업 시장점유율

자료원: www.zakon.kz.

 

□ 카자흐스탄 담배생산 및 가격 동향

 

 ○ 카자흐스탄의 대표적인 담배 생산기업은 Phillip Morris와 JTI-Gallaher International이며, 전체 담배시장의 9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 1990년까지 카자흐스탄은 순수 현지 담배 생산이 소규모로 이뤄지나 1993년 미국계인 Phillip Morris가 현지 생산공장(지분 97%)을 인수하면서 카자흐스탄의 제1순위 생산 기업이 된 것임.

  - 한편, JTI는 카자흐스탄 제2순위 담배 제조사인 Gallarher 사와 2003년에 제휴하면서 전체 담배시장의 37%를 점유함.

     

 ○ Phillip Morris와 JTI-Gallaher사와 같은 다국적 담배 기업 활동으로 카자흐스탄은 연간 300억 개비의 담배를 생산하는데 이 다국적 담배 기업 투자 이전의 카자흐스탄 연간 담배 생산은 90억 개비에 불과했음.

  - Phillip Morris 공장 지분 참여 이후, 카자흐스탄 담배 소비는 투자전보다 3배가량 증가했던 것으로 나타나며 JTI-Gallaher 파트너십 이후로는 연간 생산량이 300억 개비를 넘어선 것으로 파악됨.

  - 한편, 글로벌 경제위기 영향에 따른 카자흐스탄 경기 위축은 담배 생산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는데 2009년부터 현재까지 연간 생산량은 300억 개비에서 250억 개비로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음.

 

자료원: 알마티 KBC 조사

 

 ○ 카자흐스탄 수입 담배의 가격은 관세, 관세 수수료, 운송비, 소비세, 부가세가 포함된 것임.

  - 담배 소비세는 필터 담배인 경우 1000개당 1000텡게이며 필터 없는 담배는 1000개당 600텡게로 조사됨. 한편, 2012년부터는 1000개당 1960텡게 및 1200텡게로 오를 것으로 발표됐음.

 

 ○ 카자흐스탄 담배 가격은 한국보다 2배 이상 낮으며 한국산 담배는 현지 생산 담배 대비 30% 이상 높음.

  - 카자흐스탄은 담배 가격 하한선을 지정해두고 있는데 2010년 기준해 하한선 가격은 60텡게임.

 

카자흐스탄 생산 및 수입 담배 가격 동향

회사명

브랜드명

가격(달러)

생산자

Phillip Morris

Appolo Soyuz

0.5

카자흐스탄

     

Astra(without filter)

0.3

카자흐스탄

     

Bond Street

0.4

카자흐스탄

     

Chesterfield

0.7

     

     

Kazakhstan

0.2

카자흐스탄

     

L&M

0.5

카자흐스탄

     

Marlboro

6.6

카자흐스탄

     

Marlboro Medium

2

카자흐스탄

     

Marlboro Menthol

1.3

카자흐스탄

     

Medeu

0.3

스위스

     

Muratti

0.9

러시아

     

Muratti

2.7

카자흐스탄

     

Muratti

2.7

카자흐스탄

     

Next

0.3

스위스

     

Parliament,

Parliament Reserve

1.4

러시아

     

Parliament

1.4

N/A

     

Parliament

2.9

카자흐스탄

     

Parliament Super Slims

1.4

러시아

     

Polet

0.2

스위스

     

Polet  (without filter)

0.2

카자흐스탄

     

Prima

0.3

카자흐스탄

     

Prima  (without filter)

0.2

카자흐스탄

     

Virginia   Slims

0.9

카자흐스탄

Japan Tobacco

International

Central (JTI) Gallaher

International

Glamour

0.9

카자흐스탄

     

LD

0.3

카자흐스탄

     

Level

0.7

카자흐스탄

     

Senator

1.2

카자흐스탄

     

Sobranie Classic,

Classic Light

0.8

카자흐스탄

     

Sobranie cocktail

2.4

카자흐스탄

     

Sovereign

0.5

카자흐스탄

     

State Line

0.4

카자흐스탄

     

Memphis

0.3

N/A

     

Camel

0.6

N/A

     

Magna, Magna Classic

0.3

카자흐스탄

     

Monte Carlo

0.3

카자흐스탄

     

More

0.3

 N/A

     

Russian Style

0.9

러시아

     

Winston

0.5

러시아

British-American

Tobacco

Captain Black

2.4

미국

     

Voque

1

러시아

     

Kent Convertibles

1.2

러시아

     

Kent HD

0.8

러시아

     

Pall Mall

1

러시아

     

Viceroy

0.4

러시아

     

R1

0.7

독일

     

R1

1.4

러시아

     

West

0.4

독일

Korean Tobacco

&Ginseng

Corporation(KT&G)

Esse

0.9

한국

     

Pine

0.9

한국

자료원: 알마티 KBC 조사

     

□ 카자흐스탄 담배수입 현황

     

 ○ 카자흐스탄 담배 수입의 연간 규모는 4000만~9000만 달러로 2010년은 전년대비 60%가량 감소했음.

  - 알마티 KBC의 유통사 인터뷰에 의하면, 2010년의 급격한 담배 수입 감소 원인은 2009년 경제 위축에도 담배 수입의 최고점을 기록했는데, 이에 따른 재고처리 문제 때문이며 담배수입 유통이 국가별(러시아)로 편중돼 있고 유통사 또한 한정돼 있어 수입량이 변화가 급격히 이뤄질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임.

     

 ○ 대카자흐스탄 한국 담배 수입은 2008년부터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전체 수입의 12%에 불구하고 2010년에는 전년대비 50% 이상 감소했음.

  - 대카자흐스탄 수출 한국 담배는 한국담배인삼공사(KT&G)의 ESSE와 Pine뿐임.

     

카자흐스탄 담배 수입현황 (HS code-240220)

                                                                         (단위: 백만 달러, 톤)

     

2008

2009

2010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총계

78.41

4,520,433

95.952

5,356,687

41.77

2,679,208

러시아    

66.92

3,689,833

84.142

4,514,904

33.36

2,139,910

한국

9.04

695,130

10.482

805,110

5.34

406,810

스위스    

1.16

50,850

0.622

21,005

1.34

46,870

독일      

0.75

41,560

0.412

5,384

1.29

79,519

영국

0

0

0.05

580

0.17

2,197

미국

0.08

969

0.06

860

0.12

2,120

벨기에

0

0

0.03

390

0.052

710

루마니아

0.03

320

0.02

200

0.032

400

폴란드

0.06

661

0.03

360

0.022

395

프랑스   

0.02

300

0.01

214

0.012

275

일본    

0.02

260

0.00

40

0.002

2

홍콩

0

0

0.02

1940

0

0

                  자료원: WTA

     

□ 결어

     

 ○ 카자흐스탄 담배 수입은 당분가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데 원인은 아래와 같음.

  - 첫째로, 2009년 수입량의 최고점 갱신 이후 2010년 담배 수입상들은 재고를 우려해 수입을 크게 자제했음. 시장 재고를 우려한 일시적인 감소였기 때문에 2011년부터는 수입이 다시 증가할 것이라는 게 관련사들의 의견임.

  - 두 번째로는, 담배는 기호식품임에도 불구하고 가격 대비 소비감소가 매우 비탄력적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임. 사실상 카자흐스탄 담배 가격 하한선이 오름에 따라 소비가 다소 감소했던 것으로 조사되나 하한선 상승률 대비 담배 소비 감소율은 높은 편이 아니었으며 오히려 외국계 중상위 담배 소비가 점차 증가 추세임.

 

 

자료원: 통계사이트(www.stat.kz), 법률사이트(www.zakon.kz), 기타 사이트(www.kuriv.kz, www.keden.kz), WTA, KOTRA 알마티 KBC 기업인터뷰 및 시장자료분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카자흐스탄 담배수입 감소 이유)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