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카자흐스탄 진출기업 경영활동 조망
  • 경제·무역
  • 알마티무역관 최진형
  • 2008-05-08
  • 출처 : KOTRA

카자흐스탄 진출기업 경영활동 조망

- 원화약세가 주는 한국 진출기업들의 경영활동 영향 -

-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한국 진출기업 투자환경 변화 -

 

보고일자 : 2008.3.19.

최진형 알마티무역관

choijh@kotra.or.kr

 

 

□ 카자흐스탄 환율 동향

 

 ㅇ 2007년 글로벌 금융경색으로 카자흐스탄 현지화인 텡게가 일시적인 평가절하 현상이 나타났으나 NBK(카자흐스탄 중앙은행)의 인위적 통제로 1달러당 120텡게선을 유지하고 있음.

  - GI(글로벌인사이트)에 의하면 2008년 카자흐스탄 환율 실거래가는 119.5텡게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ㅇ 글로벌 금융경색으로 인한 텡게 평가절하의 압력이 카자흐스탄 내 아직 상존하고 있으나, 텡게 평가절하는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게 대부분의 전문가들 의견임. 그 근거는 아래와 같이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음.

  - 세계적인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카자흐스탄 원유 관련 원자재 단가 또한 상승할 것이며, 이로 인해 상용화인 텡게 가치는 절상되거나 현상 유지할 것이라는 것이 첫 번째 근거임.

  - 두 번째 근거로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카자흐스탄 정부의 텡게 강세유지 정책 방향임. 카자흐스탄에 대한 FDI 규모는 중앙아시아 5개국 FDI 총액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1991년 독립 이후 2007년까지 유입된 FDI 규모는 무려 600억 달러를 넘어섰음. 이로 인해 카자흐스탄 자금시장 내 유동자금이 급격히 풀리면서 매년 심각한 인플레이션 문제를 안고 있는 상황임. 2007년 인플레이션 상승률은 10.8%로 식료품 가격 상승률만 해도 26.8%를 기록했음.

 

카자흐스탄 환율변동 추이/인플레이션 현황 및 예상

              (단위 : 텡게, %)

연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연평균환율(상승률)

136.0

132.8

126.0

122.5

120.2

119.1

118.4

인플레이션 상승률

6.9

7.6

8.6

10.8

13.3

6.3

6.2

자료원 : Global Insight

 

□ 카자흐스탄 진출 한국기업 활동 동향 및 분석

 

 ㅇ 카자흐스탄 교민규모는 약 3000명이며, 기업 수로는 약 40개사 이상으로 추정하고 있고, 현지진출 외 투자거래 또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ㅇ 대 카자흐스탄 한국기업투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2006년 투자액은 전년대비 875%나 증가함. 이는 2005년부터 추진 중인 카자흐스탄 주택건설 프로그램의 기조로 건설 관련 한국기업들이 2006년 대거 진출·투자했기 때문임.

  - 허나 2007년 글로벌 신용경색(미국 서브프라임)의 영향으로 카자흐스탄 전체 주택경기 붐이 다소 주춤해지면서 한국기업 투자 또한 그 영향을 벗어나지 못했음.

 

 ㅇ 한편, 카자흐스탄 건설시장의 부진은 한국기업 진출형태를 다변화시켰다고 분석됨. 2006년 건설 부문 투자의 편중현상이 부동산과 임대업·사업서비스·도매 및 소매 부문 투자로 다양화됐음.

 

 ㅇ 2008년도 대 카자흐스탄 한국기업투자 환경으로는, 카자흐스탄 전력산업 프로그램 활성화로 발전소 및 SOC 기반산업 관련 건설투자와 에너지개발사업 투자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2008년 2월 한국 대통령 취임식에 참여한 U. Shukeev 카자흐스탄 부총리가 한국 건설 및 에너지 관련 대표회사들과의 면담이라는 특별일정을 가졌으며, 최근 대우 인터내셔널·현대 엔지니어링 주최 남부 카자흐스탄 지역 전력발전소 건설협력 MOU가 체결됐다고 언론 보도됨.

  - 대표적인 한-카자흐스탄 에너지 자원 협력사업으로 한국석유공사를 비롯한 7개사 원유 개발 한국 컨소시엄은 2007년 잠빌 광구 탐사계약을 타결했으며, 2008년 초 카자흐스탄 국영기업 KMG(Kazmunaigas)와 본 계약협정을 타결할 것으로 확신하고 있는 중임.

 

대 카자흐스탄 한국기업 투자현황

           (단위 : 천 달러, %)

분류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기업형태별

법인

22,527

25,560

249,293

290,885

가정용전자제품

53,126(102.9%)

68,444(29.3%)

석유화학제품

37,837(28.6%)

55,444(46.5%)

산업기계

20,794(-73.7%)

40,002(25.2%)

산업용전자제품

17,745(74.1%)

39,180(88.4%)

기초산업기계

27,832(74.1%)

30,585(9.9%)

철강제품

15,116(47%)

28,011(5.1%)

농산물

11,339(57.9%)

15,132(33.5%)

가구

398(57.9%)

15,042(678.4%)

기타

49,401

59,791

자료원 : 한국관세청

 

 ㅇ 세계적인 원자재 가격상승은 한국 진출 기업활동에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향후 카자흐스탄 진출 한국기업들의 대응방안이 필요한 상황임.

  - 원자재 가격상승으로 인한 한국 진출 기업활동에 긍정적 영향으로는 카자흐스탄 에너지·전력 관련 한국기업 투자진출 활동이 이미 활발히 이뤄지고 있어 카자흐스탄의 원자재(지하자원)를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것과 에너지 확보를 위한 한국 기업의 대 카자흐스탄 투자진출이 급증할 것이라는 점임. 현재 진행 중인 한국석유공사·한국에너지기업 컨소시엄 에너지 협력사업이 예정대로 2008년 초에 본 계약이 타결되면, 10억 배럴 매장량으로 추정되는 잠빌 광구의 원유를 지분(27%)만큼 확보하게 되는 것임.

  - 부정적 영향으로는 대 카자흐스탄 한국 교역환경이 악화될 것이라는 예상임. 대 카자흐스탄 한국  주요 수출품 중의 하나인 석유화학제품은 전체 수출의 12.5%이며, 전체 수출품목 중 3번째로 규모가 큼. 또한 대 카자흐스탄 수입품목은 철강·금속광물·비철금속제품이 98%를 차지하고 있어 광물자원 원가 상승은 카자흐스탄 교역 한국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임.

  - 카자흐스탄 진출 한국기업과 잠재적 한국 투자기업들에 대안으로는 ① 국가적 차원으로 원자재 안정적 확보를 위한 한국기업진출 지원, ② 대 카자흐스탄 수출품목의 다양화 제고, ③ 교역보다는 전력산업개발사업, SOC 기반산업시설 개보수사업, 에너지자원개발사업, 농업·농자재 개발 및 조달사업 등과 같은 직접투자 전환 등으로 판단됨.

 

 

자료원 : Global Insight, 한국 수출입은행, Kazakhstan Today(신문사이트), 현지 진출 한국기업 인터뷰를 통한 무역관 종합분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카자흐스탄 진출기업 경영활동 조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