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국제유가 사상 최고치 경신 거듭, 추가 상승 전망
- 경제·무역
- 미국
- 뉴욕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8-02-29
- 출처 : KOTRA
-
美, 국제유가 사상 최고치 경신 거듭, 추가 상승 전망
- WTI 배럴당 $102.59 기록, 연일 최고치 경신 -
- 미국 경제 불황과 달러화 약세가 주 요인 -
- 추가 상승 가능성 높아 불안 가중 -
보고일자 : 2008.2.28.
최정은 뉴욕무역관
jenchoi@kotra.or.kr
○ 2월 28일 작년 4/4 분기 부진한 미 경제지표가 발표되고, 이에 미 연준이 경기 부양을 위해 추가 금리인하를 시사하자 달러화 가치가 급락하며 유가 상승으로 이어짐. 이에 원유 공급 차질과 생산량 동결 소식까지 전해져 국제유가가 사상 최고치를 거듭 경신함.
□ WTI 배럴당 $102.59 기록, 종가 기준 배럴당 100달러 시대
○ 미국 현지 28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4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 중질유(WTI)가 전일 대비 2.25달러 급등한 배럴당 102.59달러로 거래를 마쳐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
- WTI 가격은 장중 한때 배럴당 102.74 달러까지 치솟으며 거래가 시작된 1983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함.
- 올 1월 초 장중 배럴당 100 달러를 돌파했던 WTI 가격이 지난 2월 19일 100.01 달러로 거래를 마감, 종가 기준으로도 100 달러 시대를 열었음.
최근 6개월 WTI 국제유가 추이
(단위 : US$/배럴당)
자료원 : 뉴욕 타임즈
□ 국제유가 급등 요인
○ 미국의 부진한 경제지표와 달러 약세가 유가 급등으로 이어져
- 28일 발표된 작년 4/4분기 미 경제성장률 수정치가 0.6%로 당초 예상치보다 낮았고, 신규 실업수당 신청 건수는 예상보다 높은 1만9000건 증가
- 또한 최근 발표되고 있는 각종 미 경제지수가 인플레이션의 우려를 낳고 있음.
-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벤 버냉키 의장이 경기 하락을 막기 위한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을 시사, 이에 달러 가치가 떨어지며 약세화 가속
○ 달러 가치 급락세, 유로화에 대해 사흘 연속 최고치 경신
- 28일(현지) 뉴욕 외환시장에서 거래된 유로/달러 환율이 전거래일 대비 0.0103 달러 상승해 1유로 = 1.5220 달러로 사상 최고치 기록
- 달러화 가치가 유로화에 대해 사흘 연속 사상 최저를 연이어 경신, 유로/달러 환율이 1.52달러를 넘어선 것은 1999년 유로화 출범 이후 처음
- 이러한 달러 약세가 최근의 국제유가 지속 급상승에 주요 영향
○ 나이지리아 소요사태 소식 또한 공급차질 우려 낳아
- 아프리카 주요 산유국인 나이지리아에서 무장세력이 유전시설을 공격해 생산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보도
- 일일 5만~12만 배럴까지 생산 감소 가능성 전해져
- 당초, 무장 게릴라군인 ‘나이지리아 삼각주 해방운동’과의 평화 회담이 진전되지 못하면서 2008년 한해 내내 삼각주지역의 폭력사태가 늘어날 것이 예상된 바 있음.
○ OPEC 석유생산량 동결 소식 가세
-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다음달 5일 예정인 정례회의에서 미국의 원유 증산 요구에도 불구하고 생산량을 동결 또는 축소를 결정할 것으로 알려짐.
- 27일 미 에너지부 장관은 OPEC이 유가 안정을 위해 원유 증산 가능성이 있다는 예상을 언론에 밝혔으나, 베네수엘라 석유 장관은 “증산해야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고 언급, 리비아 석유공사 사장은 “OPEC의 생산량은 변동이 없을 것”이라고 전함.
- OPEC은 현재 전세계 원유의 40% 이상을 생산하고 있음.
□ 향후 전망
○ 업계 전문가들은 금리 인하와 달러 약세가 지속된다면 유가의 추가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함. 단기적으로 배럴당 120달러까지 오를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음.
- 뉴욕 소재 Citigroup Global Markets사의 에너지 담당 애널리스트는 “금리는 낮고 원유를 대체할 적합한 에너지 소스가 없어보이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원유에 몰리고 있다.”며 추가 상승 가능성 우려를 표함.
- 뉴욕 Deutsche Bank의 수석 에너지 이코노미스트는 “원유 재고량이 워낙 적기 때문에 언제든 가격 폭등 가능성이 있다”고 말함.
○ 미국은 경기 위축에 유가 폭등이 가세하면서 저성장과 고물가가 겹치는 스태그플레이션에 다가서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음. 1달밖에 남지 않은 올 1/4 분기 내 가시화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음.
○ 한국 경제는 대외 의존도가 높아 세계 경제 및 미국 경제에 큰 영향을 받고 있어 불안한 미국 경제가 미치는 파장이 클 것으로 예상.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인한 자동차‧조선 등의 산업계가 압박을 받고 있는 실정에서 수출 감소까지 더해진다면 한국 또한 저성장의 우려가 높아짐.
자료원 : 블룸버그 통신, 뉴욕 타임즈, 유라시아 그룹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美, 국제유가 사상 최고치 경신 거듭, 추가 상승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현대자동차, 2011년부터 인도에서 초저가 車 생산
인도 2008-02-01
-
2
미국 경기 둔화로 아시아 수출업체 직격타
미국 2008-02-08
-
3
日, 개발 진행되고 있는 ‘CO₂제로 기술’
일본 2008-02-29
-
4
對요르단 투자 유망 분야-제조분야
요르단 2010-08-01
-
5
도시바 HD-DVD 사업 철수
미국 2008-02-23
-
6
美 소시지산업 최근 동향 및 관심기업 사례 연구
미국 2007-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