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금기를 준비하는 중국의 사모펀드
- 투자진출
- 중국
- 청두무역관
- 2008-02-29
- 출처 : KOTRA
-
황금기를 준비하는 중국의 사모펀드
- 향후 3~5년 사모펀드의 황금기 될 것 -
보고일 : 2008.2.29
이영준 청두무역관
□ 2007년 중국의 사모펀드 현황
○ 중국의 투자자문 전문회사인 淸科集團에 따르면 2007년 12개의 사모주식펀드가 성립돼 2006년 6개에 비해 100% 증가했으며, 전체 사모주식펀드 수량의 18.8%를 차지했음. 2007년 12개 사모펀드의 공모 금액은 37억3000만 달러로 2006년의 15억1700만 달러 대비 145.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2000년 전후의 인터넷 거품 시기부터 현재까지 중국 본토의 사모펀드는 많은 발전을 이룩했으며, 이는 △ 새로운 법규 실시, IPO 정책, 세수 우대정책, 자본시장의 활성화, 창업투자 주식 등장 △ 중국 주식시장의 빠른 성장으로 국외 자본시장 대비 중국 주식시장에서의 수익률이 높아졌으며, △ 국제 자본시장의 중국 자본시장의 낙관적 태도 △ 각국 자본시장의 투자환경 개선 및 효율 제고에 따른 것임.
○ 현재 중국에서 내자와 외자의 사모펀드(PEF ; Personal Equity Fund) 투자비율은 1:9로 위앤화 사모펀드의 성장 공간은 매우 큰 상황임. 중국 정부가 위앤화 사모펀드의 발전을 갈망하는 이유는 △ 국내 자금을 충분히 이용함으로써 외환보유고 증가에 따른 압력을 감소하고, △ 중국 국내 사정에 밝은 로컬기업이 주식펀드를 운용해 내국 기업에 투자한다면 국내 산업조정에 더 유리하며, △ 중국 내 자본시장과 재산권 시장의 발전 필요에 따른 것임.
○ 하지만 중국의 사모펀드는 아직 발전 초기단계로 산업투자펀드, 창업투자펀드, 사모증권투자펀드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현재 중국의 상업은행, 보험회사, 양로보험 등도 사모주식 펀드에 투자하는 등 빠른 발전 추세에 있음. 중국 국무원은 2006년 말 발해산업펀드 인가 이후 에너지, 하이테크 기업 투자를 위주로 하는 10개의 산업펀드를 비준하는 등 사모 펀드의 규모는 커지고 있음.
○ 사모펀드는 주로 중소기업, 민영기업의 M &A 및 확대, 기업공개 전의 Pre-IPO, 은행의 구조조정 및 상장, 국유기업의 개혁, 불량자산 처리, 부동산에 주로 투자하고 있음.
□ 중국의 사모펀드 발전 환경
○ 관련 법규 마련
- ‘회사법’, ‘증권법’, 신탁법‘, ’合伙企業法(공동출자․경영 기업법)‘ 등의 법률 기초를 갖추었으며, 신기술 창업투자펀드의 장려정책 실시, 2007년 6월 1일부터 실시된 ’공동출자 ․ 경영 기업법‘의 사모주식펀드 이중 징수세 방지, 자본시장의 주식분할 문제, 자본시장의 다원화 발전을 가속화하고 있음.
○ ‘저우추취’ 장려
- 국무원발전연구중심금융소 소장 샤삔(夏斌)은 중국 사모펀드의 ‘저우추취’를 통해 해외 자본시장을 학습하고, 국내 관련 인재 육성, 경험 축적해야 하며, 국내 시장에 외자 사모펀드 설립을 장려하고, 국내에 등록한 합자 사모펀드 기구의 중국 국내시장 위앤화 채권 발행 장려 등을 통해 사모펀드의 발전을 장려해야 한다고 역설함.
□ 향후 전망
○ 普華永道(PWC 차이나)에 따르면 중국의 사모주식펀드는 미국 및 유럽의 성숙한 M &A 시장에 비해 아직 교역액에서 매우 적지만, 중국 국내 대출기구 및 국유은행도 기업인수합병에 융자를 제공하고 있어 사모주식펀드의 발전의 동력이 되고 있음. 특히 미국의 서브프라임 사태의 영향이 2008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미국 본토 시장에서의 교역은 줄어들고, 자금과 인력이 아시아로 옮겨 올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여기에 중국 M &A시장의 교역환경이 안정되고 투자 및 퇴출 시스템이 점차 개선됨에 따라 중국 M &A시장에서 사모펀드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임.
○ 관련 해외기관의 통계에 의하면 2007년 사모펀드의 아시아 투자 규모는 440여 억 달러로 2006년 대비 67% 증가했음. 이 중 외자 사모펀드의 중국시장 규모는 2006년 50억 달러에서 2007년 28억 달러로 감소하긴 했지만 향후 대형 사모펀드의 아시아 투자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이며, 특히 중국(약 70%)과 인도 시장(약 30%)에 집중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 중국의 사모펀드는 위앤화 절상, 중국경제의 빠른 발전, 거시조절정책 등으로 빠른 발전을 지속할 것으로 보이며, 향후 3~5년 동안 중국은 사모펀드 투자의 황금기를 맞이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자료원 : ‘財經’ 잡지, 중국망, 중국증권보, 南方都市報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황금기를 준비하는 중국의 사모펀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中, 2007년 세인의 주목을 끈 5대 브랜드 이슈
중국 2008-01-17
-
2
멕시코, IT 시장 동향
멕시코 2007-08-17
-
3
美 경제회복, 더블딥 여부가 쟁점
미국 2009-08-25
-
4
독일, 휘발유의 대체연료
독일 2007-12-30
-
5
中 지준율 15%로 인상…22년 만에 최고
중국 2008-01-17
-
6
멕시코, 음료수시장 비탄산 음료로 수요 이동
멕시코 2008-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