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中, 2007년 세인의 주목을 끈 5대 브랜드 이슈
  • 경제·무역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08-01-17
  • 출처 : KOTRA

中, 2007년 세인의 주목을 끈 5대 브랜드 이슈

 

보고일자 : 2008.1.16.

김윤희 상하이 무역관

alea@kotra.or.kr

 

 

1. 월마트에 “No"라고 말한 량샤그룹(浪莎集團), 저가품 탈피…중고급·기능성제품에 주력

 

자료원 : http://www.ccsm.com.cn,http://www.langshaunderwear.com

 

  저조한 이윤으로 월마트와 계약 일시 중지

 

 ○ 중국 최대 양말 제조업체 량샤그룹은 매년 500 만 달러 상당의 자사 제품을 월마트에 납품하고 있었으나 지난해 7월 마지막 납품을 끝으로, 월마트의 주문을 더 이상 받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함.

 

 ○ 최근 급등하고 있는 물가로 인해 상품원가 역시 상승하고 있는 추세로 EU 국가들은 제품가격 인상을 통해 대부분 유통업체와 제조업체가 원가상승에 대해 공동 부담을 하고 있음. 이에 반해, 월마트는 이윤 극대화 추구를 위해 원가상승 부담을 고스란히 제조상인 랑사에게 안기고, 여전히 싼 가격에 구입하려고 함. 이러한 갈등으로 양사간의 협력이 중단된 상황임.

 

  - 지난해 1월부터 랑사가 월마트로부터 받은 오더량은 200만 달러로, 이 오더는 7월 마지막 납품으로 모두 끝나게 됨.

 

□ 저가품보다는 고가품 개발로 브랜드 이미지 창출에 주력

 

 ○ 최근 관련 보도에 의하면, 현재 양측은 협력을 다시 시작한 것으로 나타남. 협력방식은 예전의 저가품 납품에서 신규 개발한 중·고급품 위주로 변화됨.

 

  - 예전에 월마트에 납품한 것이 대부분 저가품이었던데 반해, 현재 납품 제품 대부분은 량샤가 자체 연구 개발 디자인한 중고급 상품임.

 

  - 랑샤는 저가제품은 여전히 납품하지 않고 있으며, 비교적 높은 가격의 중고제품 납품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지난해 이래로,중국 방직업의 수출량은 10.2% 늘었으며, 평균 단가는 14% 올랐으며, 수출 단가의 증가폭이 증치세 환급률 취소와 위앤화 절상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이는 량사와 같은 많은 중국 방직품 의류 수출기업은 단순히 수출 제품의 양을 늘리기보다는 제품의 품질과 부가가치를 향상 등 수출방향을 바꿈. 향후, 저가시장의 확보, 중고급 시장으로의 확대는 향후 중국 방직품 의류 수출의 한 방향에 될 것으로 보여짐.

 

2. 전통을 타파하고 ‘블루오션’을 발견한 PPG그룹... 차별화된 판매방식 구사
 

자료원 : http://www.ppg.cn

 

□ 무점포 운영으로 기존 매장, 재고 비용을 광고비용, 제품개발에 투자

 

 ○ 남성의류 판매회사인 PPG는 일반 판매 매장이 아닌, 인터넷 혹은 전화를 통한 구매를 유도하는 판매 형식을 취하여 기존 의류업계 마케팅 방식에 큰 변화를 불러일으킴.

 

  - 일반 판매 매장이 없는 대신 매월 일 천 만 위앤 상당의 금액을 광고에 투자해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에서 인터넷 판매로 성공한 컴퓨터 회사 DELL의 판매방식과 같음.

 

  - PPG 수석 마케터는 PPG는 패션업계의 DELL과 같다며, 평면광고가 바로 우리의 매장이라고 밝힌 바 있음.

 

 ○ 또한 PPG는 마케팅 데이터와 소비자의 구매성향을 분석해 질 높은 재료, 세련된 디자인의 제품을 더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방식으로, 판매량은 점점 증가하고 있음.

 

  - 불과 2년 만에 판매 규모는 50배가 넘고 1일 평균 판매량은 일만 여개로 중국내 셔츠 판매량의 2위를 차지하며 인기몰이를 하고 있음.

 

  - 연 판매액은 10억~15억 위앤으로 예상되며, 패션분야의 블랙호스로 떠오르고 있음.

 

 ○ PPG의 차별화된 판매 방식에 따른 성공은 중국 의류업계 판매 방식에 새로운 유행을 낳고 있음.

 

3. ‘전략적 제휴,합병‘으로 세계로 질주하는 공상은행

 

 

□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탠다드은행 지분 인수

 

 ○ 10월 25일 중국 공상은행은 공상은행이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탠다드 은행(Standard Bank)의 20% 지분 인수안이 양 은행 이사회의 승인을 얻었다고 발표함.

 

  - 이번 인수의 거래액은 약 55억 달러에 달하며 이로서 공상은행이 스탠다드 은행의 최대 주주가 됨. 동시에 공상은행은 17명의 이사회에 2명의 비집행이사를 선임, 그 중 한명은 부이사장 직책을 맡게됨.

 

  - 이로서 공상은행은 10%의 주식은 신주 발행을 통해서 구매하고 10%의 지분은 기존 주식에 나머지 10%는 기존 주식에 30%의 프리미엄을 더해 구매하게 됨.

 

 ○ 스탠다드 은행은 아프리카에서 자산 규모가 가장 큰 은행으로 남아프리카에 713개의 지점을 두고 있으며 또한 우수한 업무 네트워크를 구비하고 있으며 다각화된 사업 구조와 양호한 회사 지배 구조를 가지고 있음.

 

  - 공상은행은 이와 같은 스탠다드 은행의 이점이 향후 공상 은행의 아프리카 진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

 

 ○ 두 은행은 인수합병으로 네트워크, 고객 등의 공유, 국제 결산, 자금 교역, 투자조합 등 각 방면으로 전략적 협력 관계를 이어 나갈 것이라고 함.

 

 - 그 외, 업무협력 위원회를 조직해 공상은행 측은 은행장 양카이셩(楊凱生), 스텐다드 은행 측은 CEO 잭 마리(Jacko H. Maree)가 위원장이 위원장을 역임함.

 

4. ‘뇌물수수’로 얼룩진 까르푸 : 브랜드에 악영향

 

자료원 : www.biaozhi.net

 

□ 까르푸 뚫기 위해 납풍상들의 뇌물수수...다국적기업의 윤리문제 불거져

 

 ○ 베이징 까르푸 7개 점포의 육류과장을 비롯, CUU(도시 구매 중심) 생선 구매 담당자가 납품상으로부터 뇌물수뢰 혐의로 호출받음.

 

 - 이에 회사 관리 기구의 결점으로 까르푸는 다국적 기업으로서 브랜드 이미지에 큰 타격을 받음.

 

 ○ 납품상들이 까르프에 자사 상품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까르푸의 과장급 직원과 뇌물수뢰 사실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남.

 

  - 상품의 진열, 상품 부족 시 빠른 제공, 가격 등은 매장 내 판매과정에서 납품상이 가장 중요시하는 요소들로 대부분이 직원들의 주관적 선택에 의해 결정됨.

 

  - 또한 까르푸에 상품을 납품하기 위해선 상품의 브랜드, 품질, 포장 이외에 최종 계약체결에 과장, 차장들의 결정이 중요한 작용을 하기 때문에 뇌물을 받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제공상들은 밝힘.

 

  - 그 밖에, 창고 경비원, 진열 담당 직원, 검사 직원 등에게 각각 소액의 뇌물을 바쳐야 하는 등 까르푸 곳곳에서 행해지는 뇌물로 납품상들이 큰 불만을 토로함.

 

5. GEELY (吉利汽車) ... 이미지 변신 위한 ‘신 로고’ 사용

 

                           구 로고                                                             신 로고

자료원 : http://www.hlw35.com/shouye/qiye-logo.html

             http://www.chinaredant.com/html/2007-11/2007117809341.htm

 

□ 신로고 발표

 

 ○ 지리 그룹은 베이징 지리대학에서 11월6일 온라인 공개 투표와 66명의 전문가 심사원들에 의해 결정된 신 로고를 공개함.

 

 - 새 로고는 300일 이상 계속된 디자인 공모를 통해 만들어졌으며 주최측 데이터에 따르면 8월 7일 마감 날까지 응모작이 세계 100여개 국가에서 2만7336점의 응모작품이 접수되는 등 큰 인기를 모음.

 

 ○ 최종 채택된 로고는 안휘 대학(安徽大學)의 학생의 작품으로 주작(朱雀:중국 설화에 등장하는 수호신)의 당당한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알파벳 G와 숫자 6, 한자 길(吉)자와 비슷한 모양을 띠고 있음.

 

 ○ 지리그룹은 기존 차량에는 새로운 로고를 사용하지 않고, 올해 새로 출시될 차량에 붙여 기존 로고와 신 로고를 병용할 것이라고 함.

 

□ 로고 변경, 저가 브랜드 이미지 극복에 일조할 듯

 

 ○ 지리그룹은 2006년 이래, 빠른 속도로 세계 시장으로 진출하고 있으나 저가 자동차라는 이미지라는 큰 한계에 부딪힘. 이에 지리는 브랜드의 이미지의 난관을 극복하기 위해 로고 변경하기로 결정함.

 

 ○ 지리는 2010년 내 100만 대 생산 판매, 중국 내 시장점유율 8% 목표를 잡고 있으며, 신 로고는 브랜드 이미지 향상으로 향후 지리의 글로벌화 속도를 가속화할 것으로 보임.

 

 

자료원 : 中國工業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中, 2007년 세인의 주목을 끈 5대 브랜드 이슈)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