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8년 헬싱키 부동산경기 현황 및 전망
- 경제·무역
- 핀란드
- 헬싱키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8-02-08
- 출처 : KOTRA
-
2008년 헬싱키 부동산 경기 현황 및 전망
- 증가하던 주택 임대료 및 부동산 가격 상승세 주춤 -
보고일자 : 2008.2.8.
전환길 헬싱키무역관
□ 2007년 부동산 경기 결산
○ 증가한 주택 임대료와 모기지 이자율의 상승은 2006년에 1.6%에 그쳤던 물가상승률을 2007년 2.5%까지 증가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
○ 작년 7.3%의 부동산 가격 상승률은 2006년과 비교해볼 때 다소 증가세가 꺾인 상황(2006년 10%이상의 부동산 가격 상승률)
○ 또한 작년 4분기 부동산 가격 상승률은 전 분기 대기 0.9% 상승해 주춤거리는 성장세를 나타냄.
□ 최근 헬싱키 부동산 경기 현황
○ 2006년 핀란드 내 자가 주택 보유 159만9000가구(59%), 임대 주택 82만2000가구(30%)
○ 헬싱키 동부 지역의 경우 부동산 가격 하락 추세
○ 구형 아파트의 경우에도 가격이 작년에 비해 감소세로 돌아섬.
○ 최근 이자율이 증가하고 있지만 15년 전의 핀란드 경제 침체기와 비교 시 현재 이자율은 현저하게 낮음.
○ 헬싱키 남쪽 부분의 부동산 시세는 헬싱키 외곽보다 3배 정도 차이가 남.
○ 에스뽀와 반따 부동산 가격은 헬싱키 부동산 가격에 따라 변동
□ 헬싱키 부동산 경기 상승세의 원인
○ EU 내 최고 수준의 GDP 상승률에 따른 영향
- 핀란드 : 4%(2007년)
- OECD 평균 : 2.6%(2007년)
- EU 27개국 평균 : 2.8%(2007년)
○ 저렴한 이자율과 핀란드 경제에 대한 밝은 전망을 바탕으로 장기간의 모기지를 활용한 주택 구입 증가
○ 주택 수요공급체계 붕괴
- 일자리와 학업을 위해 헬싱키로 모여드는 젊은 세대를 위한 개인용 주택시설 부족
- 헬싱키 지역 내 개발 가능한 주택부지 부족사태
- 최근 헬싱키 집중화 현상 가속화(타 유럽 대도시와 비교 시 인구 및 인구밀도 낮음.)
□ 향후 시장 전망
○ 향후 EIU을 비롯한 전문가는 이러한 증가 추세가 완화될 것으로 전망하며 물가상승률 역시 2008년 2.2%, 2009년 2% 대로 더 이상의 상승세는 보이지 않을 것으로 예측
○ 헬싱키 부동산 전문가 역시 헬싱키 부동산 가격 상승세가 다소 주춤할 것으로 전망(급격한 가격 상승 요인 부재 지적)
○ 에스뽀·반따 및 헬싱키 동부 지역과 헬싱키 시내 중심지와의 교통 편의성 및 시내 접근성이 증가되면(지하철 노선 확장, 개선된 교통 환경) 헬싱키 중심가의 부동산 가격 증가세 완화 혹은 하락세로 전환될 전망임.
자료원 : EIU, Helsingin Sanomat, YLE, 핀란드 주택금융 개발센터(ara), 무역관 보유자료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08년 헬싱키 부동산경기 현황 및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수입규제]우크라이나, 중국산 한국 냉장고 덤핑 무혐의 판결
우크라이나 2008-02-08
-
2
[산업기술] 일본, 폐목재로 바이오에탄올 생산
일본 2009-04-26
-
3
핀란드 자동차 구입세 인하정책과 그 영향
핀란드 2007-11-20
-
4
가격불신 위기에 처한 프랑스 소비시장
프랑스 2008-01-18
-
5
러시아, 2007~08년 증시 종합과 전망
러시아연방 2008-02-04
-
6
터키내 대형 연기금 투자 기회 찾아나서
튀르키예 2009-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