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08년 헬싱키 부동산경기 현황 및 전망
  • 경제·무역
  • 핀란드
  • 헬싱키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8-02-08
  • 출처 : KOTRA

2008년 헬싱키 부동산 경기 현황 및 전망

- 증가하던 주택 임대료 및 부동산 가격 상승세 주춤 -

 

보고일자 : 2008.2.8.

전환길 헬싱키무역관

gil@kotra.or.kr

 

 

□ 2007년 부동산 경기 결산

 

 ○ 증가한 주택 임대료와 모기지 이자율의 상승은 2006년에 1.6%에 그쳤던 물가상승률을 2007년 2.5%까지 증가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

 

 ○ 작년 7.3%의 부동산 가격 상승률은 2006년과 비교해볼 때 다소 증가세가 꺾인 상황(2006년 10%이상의 부동산 가격 상승률)

 

 ○ 또한 작년 4분기 부동산 가격 상승률은 전 분기 대기 0.9% 상승해 주춤거리는 성장세를 나타냄.

 

□ 최근 헬싱키 부동산 경기 현황

 

 ○ 2006년 핀란드 내 자가 주택 보유 159만9000가구(59%), 임대 주택 82만2000가구(30%)

 ○ 헬싱키 동부 지역의 경우 부동산 가격 하락 추세

 ○ 구형 아파트의 경우에도 가격이 작년에 비해 감소세로 돌아섬.

 ○ 최근 이자율이 증가하고 있지만 15년 전의 핀란드 경제 침체기와 비교 시 현재 이자율은 현저하게 낮음.

 ○ 헬싱키 남쪽 부분의 부동산 시세는 헬싱키 외곽보다 3배 정도 차이가 남.

 ○ 에스뽀와 반따 부동산 가격은 헬싱키 부동산 가격에 따라 변동

 

□ 헬싱키 부동산 경기 상승세의 원인

 

 ○ EU 내 최고 수준의 GDP 상승률에 따른 영향

  - 핀란드 : 4%(2007년)

  - OECD 평균 : 2.6%(2007년)

  - EU 27개국 평균 : 2.8%(2007년)

 

 ○ 저렴한 이자율과 핀란드 경제에 대한 밝은 전망을 바탕으로 장기간의 모기지를 활용한 주택 구입 증가

 

 ○ 주택 수요공급체계 붕괴

  - 일자리와 학업을 위해 헬싱키로 모여드는 젊은 세대를 위한 개인용 주택시설 부족

  - 헬싱키 지역 내 개발 가능한 주택부지 부족사태

  - 최근 헬싱키 집중화 현상 가속화(타 유럽 대도시와 비교 시 인구 및 인구밀도 낮음.)

 

□ 향후 시장 전망

 

 ○ 향후 EIU을 비롯한 전문가는 이러한 증가 추세가 완화될 것으로 전망하며 물가상승률 역시 2008년 2.2%, 2009년 2% 대로 더 이상의 상승세는 보이지 않을 것으로 예측

 

 ○ 헬싱키 부동산 전문가 역시 헬싱키 부동산 가격 상승세가 다소 주춤할 것으로 전망(급격한 가격 상승 요인 부재 지적)

 

 ○ 에스뽀·반따 및 헬싱키 동부 지역과 헬싱키 시내 중심지와의 교통 편의성 및 시내 접근성이 증가되면(지하철 노선 확장, 개선된 교통 환경) 헬싱키 중심가의 부동산 가격 증가세 완화 혹은 하락세로 전환될 전망임.

 

 

자료원 : EIU, Helsingin Sanomat, YLE, 핀란드 주택금융 개발센터(ara), 무역관 보유자료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08년 헬싱키 부동산경기 현황 및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