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글로벌 공장의 "익스텐션 암(Extension Arm)"으로 도약하는 베트남 북부지방
  • 트렌드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이언정
  • 2022-12-13
  • 출처 : KOTRA

2022년 베트남 북부 공급망 기지 동향

교통 인프라 바탕으로 첨단기술 및 고부가가치 산업 투자자들의 목적지로 발돋움

2022년 베트남 북부 공급망 기지 동향

 

베트남 북부지역이 첨단기술 및 고부가가치 산업 투자자들의 목적지로 발돋움하고 있다.

 

베트남은 크게 북부, 중부 및 남부 세 지방으로 구분된다. 이 중 베트남 북부는 서북부, 동북부 및 홍강 삼각주 등 세 지역으로 나뉘며 특히 홍강 삼각주 지역에는 수도 하노이, 공업 및 항구도시 하이퐁 등 2개 중앙직할시가 포함돼 있다. , 경제계획에 따라 북부 해안지방과 북부 산간지방 및 중북부 지방으로 구분되는 때도 있다.

 

<베트남 북부 지방 세부 구분>

서북부

동북부

홍 강 삼각주

라오까이(Lao Cai)

옌바이(Yen Bai)

디엔 비엔(Dien Bien)

호아빈(Hoa Binh)

라이 쩌우(Lai Chau)

썬라(Son La)

하장(Ha Giang)

까오방(Cao Bang)

박칸(Bac Kan)

랑썬(Lang Son)

뚜옌꽝(Tuyen Quang)

타이 응우옌(Thai Nguyen)

푸토(Phu Tho)

박장(Bac Giang)

꽝닌(Quang Ninh)

박닌(Bac Ninh)

하남(Ha Nam)

하노이(Ha Noi)

하이 즈엉(Hai Duong)

하이퐁(Hai Phong)

흥옌(Hung Yen)

남딩(Nam Dinh)

닌빈(Ninh Binh)

타이빈(Thai Binh)

빈푹(Binh Phuc)

주: 라오까이 및 옌바이는 동북부로 구분되기도 함.

[자료: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베트남 기획투자부(MPI)에 따르면 20229월까지 외국인직접투자(FDI)는 총등록자본 188억 달러에 육박했으며 홍강 삼각주 지역 박닌이 총등록자본 178000만 달러로 전체 자본의 9.5%를 차지하며 3위에 올랐다. 타이 응우옌, 하이퐁, 하노이, 박장 등은 최근 몇 년간 외국인 직접투자 유입이 가장 많은 지역이다.

 

<2022년 9월 FDI 상위 10개 지역>

주: 참고: 북부 지방 내 성/시는 주황색으로 표시

[자료: 베트남 기획투자부(MPI),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베트남 북부지방은 경제 발전 잠재력이 큰 지역으로, 수많은 국제 제조업 '거인'들이 이용하는 공급망의 한 축을 구성한다. 베트남 현지 부동산 컨설팅 전문기업 Cushman and Wakefield Vietnam은 베트남 북부 공급망 관련 행사를 개최하고 베트남 북부지방이 글로벌 공장의 "확장 팔"로 기능할 수 있는 주요 요인들을 설명했다.

 

1. 인프라적 이점

 

1) 고속도로

 

현재 베트남의 수도 하노이와 베트남 북부를 연결하는 고속도로는 총 13개로, 총길이 895.8km에 이른다. 베트남 북부지방 내 고속도로 13개는 다음과 같다.

 

<베트남 북부지방 하노이 연결 고속도로 목록>

1) 노이바이(Noi Bai) - 라오까이 고속도로 (264km)

2) 하노이 - 박장 고속도로 (45.8km)

3) 박장 - 랑썬 고속도로 (64km)

4) 노이바이 - 박닌 고속도로 (31km)

5) 하노이 - 타이응우옌 고속도로 (63km)

6) 팝반(Phap Van) - 꺼우제(Cau Gie) 고속도로 (30km)

7) 꺼우제 - 닌빈 고속도로 (50km)

8) 까오보 마이손(Mai Son) 고속도로 (15km)

9) 마이손 - 45번 국도 (45km)

10) 하노이 - 하이퐁 고속도로 (105km)

11) 하이퐁 - 하롱 고속도로 (25km)

12) 하롱 반돈(Van Don) 고속도로 (60km)

13) 반돈 몽까이(Mong Cai) 고속도로 (80km): 3개 국경 관문 연결 및 지역 내 주요 3개 국제공항까지의 노선 연결

[자료: Cushman and Wakefield Vietnam,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베트남 북부지방 고속도로망 약도>

[자료: 베트남 교통부(MT)]

 

2) 철도

 

베트남 북부지방 내 주요 철도 6개는 다음과 같다. 그중 전체 국토를 연결하는 철도망은 산업 단지, 공항, 해안, 국경지대 및 주요 교통 허브를 연결하는 관문 역할을 한다.

 

<베트남 북부지방 철도 목록>

1) 하노이 하이퐁(102km)

2) 하노이 라오까이(296km)

3) 하노이 동당(Dong Dang) (162km)

4) (Kep) - 르우싸(Luu Xa) (57km)

5) 우옹비(Uong Bi) - 하롱 (106km)

6) 남북선 (1,726km)

[자료: Cushman and Wakefield Vietnam,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베트남 북부지방 철도망 약도>

[자료: 베트남 교통부]

 

3) 항만

 

베트남 북부지방은 2017~2021년 타 지역 대비 수출 운송 증가율이 154%, 베트남 국내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베트남항만협회(Vietnam Seaport Association)에 따르면 꽝닌, 딩부(Dinh Vu), 하이퐁 등 주요 3개 항만 포함 북부지방 전체에서 총 200TEU 이상의 컨테이너가 통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202211 하이퐁항은 최대 14만 5000DWT에 달하는 선박을 최초로 입항시키는 데에 성공했다. 해당 선박은 총길이 335m, 51m, 선적 용량 13,458TEU, 베트남 및 미국 서부 해안 사이를 운항하는 완하이라인(Wanhai Lines)의 탐사선이다.

 

<하이퐁 출항 선박 경로 비교>

구분

항만명

급행 소요시간

직항 운항 빈도

(단위: /매주)

운항 해운회사

(단위: )

홍콩

홍콩

14시간

2~4

4

대만

가오슝

212시간

2~4

3

중국

상하이

47시간

2~4

4

대한민국

인천

518시간

유동적

(1~2주마다 1)

1

일본

도쿄

66시간

1~2

2

[자료: Cushman and Wakefield Vietnam,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4) 내륙 수로

 

도로, 철도, 항만 이외에도 베트남 북부지방에는 내륙 수로 운송망이 존재한다. 내륙 수로 운송망은 남북고속도로 및 남북선 운송량 과부하 방지를 위해 일반 소비재 대량 운송에 활용되며 비교적 저렴한 운송 비용이 강점이다. 주요 내륙 수로망에는 다음과 같은 4개 주요 수로가 포함된다.

 

<베트남 북부지방 내륙 수로 목록>

1) 두옹(Duong) 강 내륙 수로: 꽝닌-하이퐁-비엣찌(Viet Tri) (205.6km)

2) 루옥(Luoc) 강 내륙 수로: 하이퐁-닌빈 (264km)

3) 하노이-락장(Lach Giang) 내륙 수로 (194km)

4) 끄아 다이(Cua Day) -닌빈 내륙 수로 (72km)

[자료: Cushman and Wakefield Vietnam,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5) 항공 운송

 

북부지방은 또한 노이바이, 번돈(Van Don), 깟비(Cat Bi), 토 쑤언(Tho Xuan), (Vinh), 디엔비엔(Dien Bien) 공항 등 튼튼한 항공 운송 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중 노이바이 국제공항에는 베트남 연간 선적 용량이 403000톤인 화물 전문 터미널이 있다. 나머지 공항들은 여객 수송량 증가 및 직항 노선 운항을 통해 베트남으로 오는 여행객 및 투자자 증가 여건을 조성할 수 있도록 투자하고 있다.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은 국내 전체 항공 화물 수송량 중 절반 가까이를 담당하고 있으며, 이는 호찌민 떤썬녓(Tan Son Nhat) 국제공항을 통해 수송되는 물량보다 3배 가까이 많은 수치이다. 항공 화물은 주로 전자, 반도체 산업 및 첨단기술 제품이 엄격한 운송 요건을 충족해야 할 때 많이 이용된다.

 

노이바이 국제공항은 3개 화물 창고 및 66개 화물 항공사 취항을 특장점으로 하는 공항이다. 특히 66개 화물 항공사 취항은 세계 최대 공항 중 하나로서 화물 항공사 99개가 취항 중인 싱가포르 창이(Changi) 국제공항에 비교되는 놀라운 숫자이다.

 

<노이바이 공항 화물 터미널 서비스>

위치

1) 하노이 속선(Soc Son)현 푸끄엉(Phu Cuong)

2) 하노이 도심지로부터 35km

수송 용량

3개 화물 터미널로 구성(연간 총 65만 톤)

 

1) 노이바이 화물(Noi Bai Cargo, NTCS): 연간 203000

2) ALS: 연간 25만 톤

3) ACVS: 연간 20만 톤

확장 계획

2050년까지 여객 수송 100만 명, 화물 운송 600만 톤 목표

[자료: ACVS]

 

<노이바이 국제공항 취항 노선>

구분

공항명

급행 소요시간

직항 운항 빈도

운항 화물회사

(단위: )

홍콩

홍콩

1시간 42

매일 수 회 

5

대만

타오위안

2시간 36

매일 2~4

5

중국

푸둥

2시간 50

매주 2~4

1

대한민국

인천

3시간 51

 매일 수 회

6

일본

나리타

4시간 55

매일 2~4

5

[자료: Cushman and Wakefield Vietnam,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2. 글로벌 전자업체들의 초기 투자

 

파나소닉(1971), LG디스플레이(1995), 캐논(2001), 폭스콘(2007), 삼성(2008), 후지제록스(2013) 등 세계적인 전자제품 업체들이 일찌감치 베트남 북부 산업단지에 투자했으며, 최근에는 페가트론(Pegatron), 고어텍(Goerteck), 진코 솔라(Jinko Solar) 등이 투자하고 있다.

 

전자제품 제조업체들이 동시다발적으로 이 지역에 상륙했다는 사실은 이들 '대기업'을 위한 부자재 및 부품 생산 기업들을 유인하는 흐름으로 이어졌다. 2022년까지 베트남 국내 협력 업체 수는 삼성의 12차 협력 업체를 포함하여 총 250개사이며, 이 중 1차 협력업체는 52개사다. 이는 20144개사에 불과했던 것에 비교하면 큰 폭으로 증가한 수치이다.

 

주요 투자 프로젝트

 

1) 삼성

[자료: 홈페이지] 


삼성 스마트폰의 약 60%는 베트남에서 생산된다. 20226월까지 삼성은 기존에 계획한 투자 금액의 28배인 200억 달러 이상을 베트남에 투자했다.

 

2) 인텔

[자료: 홈페이지] 


인텔은 한층 더 복합적인 기술 수준 달성을 위해 베트남 내 투자 규모를 확대했다. 20211, 인텔은 5G 제품 및 10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 제조를 위해 47500만 달러를 투자했다.

 

3) FPT


[자료: 홈페이지] 


FPT 반도체는 글로벌 반도체 산업 진출을 위해 의료기기에 사용되는 반도체 생산 라인을 최초 가동하여, 2023년까지 전 세계 2500만 개 공급을 목표로 일본, 중국, 미국 등 주요 시장에 주목하고 있다.

 

4) 빈패스트 및 인피니온


[자료: 홈페이지] 


베트남 최초 글로벌 스마트 전기차 제조업체 빈패스트 및 글로벌 자동차 반도체 솔루션 시장 선도 기업 인피니온 테크놀로지 AG2023년 전기자동차에 초점을 맞춘 공동역량센터 건설을 위한 파트너십 확대를 발표했다.

 

3. 중국을 잇는 경제회랑(Economic corridor)

 

베트남 북부를 통해 이어지는 곳은 상하이, 홍콩, 선전, 푸젠, 광둥 등 주요 지역을 포함하는 중국 중남반도 경제회랑이다. 경제회랑은 중국 정부가 일대일로(一帶一路) 연선국가들과 중국을 철도, 도로, 송유관 등으로 연결하겠다는 구상을 말한다. 그중 중국 중남반도 경제회랑은 제조업, 바이오케미컬, 상거래, 전자제품 산업 관련 대기업 본사가 다수 위치한 지역이다.

 

Cushman and Wakefield에 따르면 이 지역은 2021년 중국 전체 GDP30%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추정되며, 투자자본 유치 및 경제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 북부지방은 중국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선전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육로, 해상 운송 루트, 철도 등을 보유하고 있어 지역 생산 확대를 희망하는 기업들에 유리한 여건을 조성하고 있다. 또한 일찍이 베트남 북부 산업 용지 부동산 시장도 함께 형성되어 공장 확장을 희망하는 중국 및 대만 기업 대상으로 다양한 부동산 유형이 제공되고 있다.

 

<베트남 북부지방 지리적 이점 전략 분석>

[자료: Cushman and Wakefield]

 

4. 산업 용지 부동산 공급 동향

 

FDI 유입 및 성숙한 인프라를 기반으로, 베트남 북부 지방은 산업 투자 중심지가 되었다. 전체 시장에서 산업 용지 총 누계 공급량은 푹 디엔 산업단지 172헥타르 신규 확장으로 약 1만 3600헥타르라는 수치를 기록했다. 20223분기 토지 임대료는 직전분기 대비 2% 상승한 1제곱미터당 111달러를 기록했으며 입주율은 80%를 넘어섰다. Cushman and Wakefield에 따르면 향후 하이즈엉, 흥옌, 박장 및 박닌 등에 신흥 제조업 중심지를 위한 산업 용지 1만 7000헥타르가 추가 공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즉시 가동가능한 공장(Ready-Built Factory, RBF) 흡수율(Absorption rate)은 전년동기 대비 6% 감소한 86%를 기록하며 신규 공급 면적 253.4헥타르로 큰 변화가 없었다. 반면, 즉시 이용 가능 창고(Ready-Built Warehouse) 직전 분기 대비 공급은 181.8헥타르로 9.3% 증가했으며, 흡수율은 직전 분기 대비 2% 증가 및 전년 동기 대비 15% 감소한 78%를 기록했다. 공장 및 창고 평균 임대료는 각각 제곱미터당 월 4.6달러, 4.5달러를 기록했다.

 

<베트남 북부 산업 용지 부동산 시장 현황>

[자료: Cushman and Wakefield Vietnam]

 

<베트남 북부 산업 용지 부동산 시장 전망>

[자료: Cushman and Wakefield Vietnam]

 

5. 시사점

 

전 세계 제조업 시장에서 공급망 재편 시도가 이루어짐에 따라 베트남 북부지역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기존에는 저렴한 인건비 등을 내세워 생산 공장 역할에 그쳤다면 포스트 코로나, 탈중국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기존 공급망 교란으로 인한 공급망 재편 시도 속 공급망 중심지로서 떠오르고 있다는 분석이다.

 

베트남 북부지역 역시 발 빠르게 유리한 공급 및 생산 조건과 매력적인 투자정책을 제시하며, 전자제품 생산 중심지는 물론 글로벌 공장의 '확장 팔(Extension arm)'로 발돋움하고 있다. 다만, 이에 따라 정부 및 지자체 차원에서 진출 기업에 대한 각종 세제 혜택 등을 제공하고 있으나 수요 증가에 따른 생산 비용 증가 추이 역시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베트남 내 생산 공장 건설 및 임대를 통해 진출하려는 한국 기업들은 부지 임대, 생산, 운동 등 단기 비용과 장기 투자가치를 면밀히 분석한 후 진출하는 것이 권장된다.

 

Cushman and Wakefield 베트남 법인 짱 부이(Trang Bui) 파트장은 KOTRA 하노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베트남 북부 지방 진출을 희망하는 한국 기업들에 다음과 같은 조언을 제시했다.


<Cushman and Wakefield 베트남 법인 짱 부이(Trang Bui) 파트장 인터뷰>

Q. 향후 베트남 북부지방의 투자 가치에 대한 전망 부탁드립니다.

A. 베트남 북부는 삼성, LG디스플레이, 현대 등 이미 많은 한국 기업들의 제조공장이 진출해있습니다. 또한 각 지방 성(province)은 투자 관련 공장 임대 및 인허가 관련 혜택을 다수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런 측면에서 섬유 및 소비재 산업이 강세인 남부와 달리, 북부는 전자제품 생산 중심지 및 글로벌 제조업 기지로서의 성장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특히 코로나 시기 중국의 봉쇄정책 이후, 많은 기업이 베트남으로의 진출을 희망한다는 점에서 장기적 투자가치 및 진출 여력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공동작성: Truong Thi My Duyen

자료: Cushman and Wakefield Vietnam, 베트남 교통부(MT), Tech Wire Asia, 베트남 통계총국, ACVS, 베트남 기획투자부(MPI), KOTRA 하노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글로벌 공장의 "익스텐션 암(Extension Arm)"으로 도약하는 베트남 북부지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