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플로리다주 자동차 등 배기가스 엄격히 규제
- 트렌드
- 마이애미무역관 고광욱
- 2007-07-14
- 출처 : KOTRA
-
- 공해 줄이고 환경보호 통해 기후변화 최소화 -
보고일자 : 2007.7.14.
고광욱 마이애미무역관
kkw0609@kotra.or.kr
□ 2009년형 모델 승용차 및 트럭부터 배기가스 기준치 엄격 규제
○ 미 플로리다주지사 Crist의 강력한 환경보호 의지에 힘입어 플로리다주는 앞으로 자동차, 전력회사 및 디젤엔진 등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기준치를 엄격히 규제키로 함.
○ 7월 12~13일 양일간 마이애미에서 개최된 기후변화 정상회담에서 플로리다주는 현재 미국내에서 가장 엄격한 자동차 배기가스 기준치를 적용하고 있는 캘리포니아주 법안을 채택키로 결정하고 미 동남부에서는 처음으로 이산화탄소를 줄여나갈수 있도록 주법을 개정키로 함. 현재 미국내에서 캘리포니아 기준치를 적용하고 있는 주는 뉴욕, 뉴저지, 펜실바니아 등 22개주로 나타남.
○ 이에 따라 자동차 메이커들은 2009년도 승용차 및 트럭 모델부터는 현재 기준보다 25% 이산화탄소를 줄여야 플로리다주내에서 판매가 가능하고 SUV의 경우 18% 줄여야 판매가 가능함.
○ 한편 독일, 영국대표 등이 참가한 이번 기후변화 정상회담에서는 향후 지구 온난화에 대한 우려와 대비책 등이 논의됐으며 무엇보다도 차세대를 위한 환경보호를 강조함.
○ 한편 플로리다 주정부는 앞으로 주정부 보유 모든 차량을 에탄올이나 바이오디젤 사용이 가능한 차량으로 교체해 연료효율성을 극대화시켜 나갈 예정임.
□ 궁극적으로는 환경보호를 통해 기후변화를 최소화
○ 플로리다주는 최근 이산화탄소 연간 배출량이 미국내에서 두 번째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주정부 차원에서 공기,물 땅에대한 보호의지를 강력히 천명하게 되고 2025년도까지 대기중 이산화탄소 양을 1990년도 수준으로 낮추고 인구수가 현재의 2배 가까이 늘어나는 2050년까지는 90년도의 80% 수준으로 개선한다는 목표를 밝히고 있음.
○ 이에 따라 전력회사들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17년까지 2000년도 수준으로, 2025년까지는 1990년도 수준으로, 2050년까지는 90년도의 80% 수준으로 개선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됐음.
○ 이에 더해 주정부는 전력회사들의 총 전력생산량의 20%를 재생가능한 에너지,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해 생산토록 의무화하고 있음. 플로리다 최대 전력회사인 Florida Power & Light 사장 Armando Olivera에 의하면, 이 회사는 현재 미국내 최대 태양열 및 풍력이용 전력 생산회사로서 주정부의 에너지 생산정책에 적극적인 참여를 약속하고 있음.
○ 실제로 플로리다 주정부의 환경보호에 대한 강력한 의지는 2007년 6월 화력발전소 신규건설애 대한 요청을 불허한 바 있으며 대신 햇빛이 좋은 플로리다주의 장점을 살려 태양열 발전소 건설을 유도하고 있음.
○ 신규 빌딩 건설시에도 에너지 절약형 기준치를 상향조정하여 인허가를 내주고 있으며 호텔에서 열리는 각종 미팅이나 회의도 미 연방 환경보호국에서 발급하는 " Green Lodging"을 소유하고 있는 호텔로 한정하는등 환경보호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이고 있음.
○ 결국 공해를 줄이고 환경을 보호해 기후변화를 최소화해 더 좋은 환경을 차세대에게 넘겨주자는 목표임.
자료원 : Miami Herald, 무역관 자체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美, 플로리다주 자동차 등 배기가스 엄격히 규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최근 美 공작기계 시장동향 및 하반기 전망
2007-07-14
-
2
캘리포니아의 이런 투자자를 주목하라(CalPERS 편)
미국 2007-07-14
-
3
'동펑르노-한국 자동차부품 교류회' 현장에 가다
중국 2015-10-07
-
4
아시아 최대 중고기계 전시회 'UMEX 2015' 참관기
인도 2015-10-07
-
5
[정책] 러시아, 자동차배기가스 규제표준 도입 현황
러시아연방 2009-11-13
-
6
美 2015년 청정발전계획(Clean Power Plan) 발표
미국 2015-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