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스페인 바이오산업 및 연구 동향
  • 트렌드
  • 스페인
  • 마드리드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7-06-29
  • 출처 : KOTRA

스페인의 바이오산업 및 연구 동향

- 최근 4년간 4배가량 성장, 매년 2000여명의 박사학위 배출 –

- 줄기세포, 항암제, 바이오메스 등 연구개발 활발 -

 

보고일자 : 2007.6.29.

차종대 마드리드무역관

madridktc@kotra.or.kr

 

 

□ 스페인 바이오산업 동향

 

  스페인 바이오산업은 최근 4년여간 350%의 놀라운 성장을 보였으며, R &D 활동도 활발하게 이뤄졌음. 특히 바이오의학 분야는 가장 중요한 성장분야임.

 

  유럽통계청(EUROSTAT)에 따르면, 스페인의 바이오분야 R &D투자는 1998~2003년 기간에 7.6% 증가했는데 이는 유럽 전체 평균 증가율 4%를 크게 상회하는 것임.

 

  2003년 기준 R&D분야 고용인력은 15만1500명으로, 이 중 9만2500명은 연구원임. R&D 활동을 수행하는 공공연구소는 273개소로 이 중 93개는 대학임.

 

  스페인에서는 매년 2000여명이 바이오기술분야의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있음.

 

  스페인의 주요 식품, 의약, 환경분야 기업들은 중소규모의 스핀오프(SPIN-OFF, 분사)를 통해 바이오 연구에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으며, 일부 스핀오프들은 대형 복합기업들과 협력하기도 함.

 

  2000~03 기간에 스페인이 과학저널에 발표한 바이오관련 연구논문 수는 유럽내 4위를 기록했음. 이들 논문의 약 절반은 바이오 기초연구 분야이며, 나머지 절반은 인체 또는 동물용 의약품, 농업분야 등 보다 구체적인 분야임.

 

  스페인에서 가장 발전되고 장래성이 유망한 분야는 바이오의약품임. 공공자금이 투입된 연구의 약 35%가 이 분야에 집중되고 있음. 특히 열대어(Zebra Fish)를 활용한 화학의약제품 테스트연구소 설립은 스페인이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하나로 세계에서 유일한 연구소가 될 전망임.

 

  공동연구를 통한 시너지와 연구성과 제고를 위한 노력으로 공공기관, 민간기업, 그리고 과학기술단지 등이 공동으로 바이오 클러스터를 형성하려는 움직임이 여러 지역에서 나타나고 있음. 비단 기초과학뿐 아니라 바이오 분야의 의학적인 연구에 참여해 새로운 기술을 국내와 해외시장에 소개하고 있음.

 

  한 가지 예로, 나바라 대학은 향후 10년간 1억8800만 유로를 빰쁠로나에 소재한 자체 응용의학연구소(Applied Medicine Research Center)에 투자할 계획인데, 이 프로젝트에는 스페인의 금융, 건설 분야 다국적 기업들과 기업 CEO들도 개인자격으로 참여하고 있음.

 

□ 스페인의 주요 연구소 및 연구개발 동향

 

  유럽 바이오테크놀로지 정보센터와 Observatory가 바르셀로나 과학단지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럽 줄기세포 네트워크(ESCN)의 사무국이 세비야에 소재하고 있음.

 

  바르셀로나의 재생의학연구소(CMRB, Juan Carlos Izpisua 박사)는 미국 SAIL Institute와 공동으로 쥐의 심장 및 골광세포를 통해 배아줄기 세포주의 변형과정을 연구하는 공동 연구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음.

 

  현재 4개의 획기적인 줄기세포 연구프로젝트가 진행 중인데, 당뇨병 치료를 위해 인슐린을 분비하는 Pancreatic Tissue를 개발하거나 파킨슨씨병 치료 연구 등도 포함됨.

 

  Pharmamar-Zeltia에서 개발한 Yondelis는 항종양 치료제로서 바다에서 채취된 원료로 개발됐음. 이 제품은 현재 난소암 치료테스트 연구와 함께 Soft-tissue Sarcomas, 전립선 및 유방암 치료를 위한 비교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스페인의 Abengoa Bioenergy는 미국 에너지부의 지원을 받아 Novozymes, NREL 등과 함께 새로운 바이오메스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데, 이 기술은 에탄올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효소의 투입원가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기술임.

 

□ 한국과의 협력 가능성

 

  바이오 분야에서 한국의 연구성과와 기술력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향후 양국 관련기관 간 공동연구 등 협력가능성은 매우 높음. 한 가지 예로 바르셀로나의 C연구소는 미국 S연구소와 함께 한국내 바이오연구소를 공동 설립하는데 관심을 보이고 있음.

 

  또한 한국이 높은 수준의 연구인력을 보유하고 있고, 정부와 지자체를 중심으로 바이오 클러스터 형성을 위한 외국인투자에 적극 노력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정부에서 R &D분야 외국인투자에 상당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 등은 향후 스페인의 한국 진출 전망을 밝게 하는 요인들임.

 

  따라서 스페인의 발전된 바이오 연구분야에 대한 연구와 함께 첨단기술 보유기업이나 연구소 등과의 접촉을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스페인 바이오산업 및 연구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