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랜차이즈로 보는 태국 식음료 산업의 지금
- 트렌드
- 태국
- 방콕무역관 이태형
- 2025-10-24
- 출처 : KOTRA
-
태국 내 전체 프랜차이즈 679개 중 식품 관련 업종(음식·베이커리+음료·아이스크림 포함)이 397개(약 58.5%)를 차지하며 산업의 절반 이상을 구성
음식·베이커리 부문은 221개(32.55%)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며, 태국 프랜차이즈 시장의 핵심 분야로 자리하고 있음
'23년 이후에는 BHC, 고피자(GOPIZZA), 명륜진사갈비, 푸라닭(PURADAK) 등이 잇따라 태국 시장에 진출, 이들은 현지 파트너사와의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 또는 법인 설립을 통해 시장에 진입함
태국 프랜차이즈 산업의 절반을 차지한 식음료 분야
태국 프랜차이즈 센터 통계 자료에 따르면, 태국의 프랜차이즈 산업은 중소기업 성장과 함께 빠르게 확산하며 국내 시장의 주요 창업 모델로 자리 잡았다. 2025년 10월 기준 프랜차이즈 브랜드 수는 679개로, 2021년(494개) 대비 약 37%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음식·베이커리 부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음료·아이스크림, 교육 서비스, 일반 서비스업, 부동산 및 소매업 등이 뒤를 잇는다.
<태국 프랜차이즈 사업체 수 통계 현황(2021~2025)>
(단위: 개, %)
구분
2021
2022
2023
2024
2025.10
프랜차이즈 수
494
535
585
653
679
증감률
9
9
10
12
4
[자료: Thailand Franchise Center]
태국 프랜차이즈 시장 내 식음료 분야 현황
태국 내 전체 프랜차이즈 679개 중 식품 관련 업종(음식·베이커리+음료·아이스크림 포함)이 397개(약 58.5%)를 차지하며 산업의 절반 이상을 구성하고 있다. 먼저 음식·베이커리 부문은 221개(32.6%)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며, 태국 프랜차이즈 시장의 핵심 분야로 자리하고 있다. 레스토랑, 패스트푸드, 스트리트 푸드형 브랜드부터 카페형 베이커리까지 다양한 형태로 확산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현지 브랜드로는 MK Restaurant, Bar-B-Q Plaza, Chester’s, After You Dessert Café 등이 있다. 외식 문화가 일상화된 태국 사회에서 이 부문은 안정적인 수익 모델로 평가받고 있으며, 중소 창업자뿐 아니라 대형 프랜차이즈 기업의 참여도 활발하다.
한편, 음료·아이스크림 부문은 176개(25.9%)로 두 번째로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커피, 버블티, 주스, 아이스크림 브랜드를 중심으로 Café Amazon, Inthanin Coffee, Kamu Tea, Dairy Queen 등 대형 브랜드와 중소 로컬 브랜드가 함께 경쟁하고 있다. 최근에는 프리미엄 커피·디저트 형태와 ‘테이크어웨이(Take-away)’ 운영 방식이 성장세를 주도하고 있으며, 쇼핑몰·대학·오피스 빌딩 등 소규모 점포 중심의 입점 전략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태국 프랜차이즈 산업 내 식품 분야 현황(2025년 10월 기준)>
(단위: 개, %)
업종 구분
사업체 수
비중
주요 특징
음식·베이커리
221
32.6
태국 프랜차이즈 시장의 핵심 분야로, 외식 브랜드와 카페형 베이커리 중심
음료·아이스크림
176
25.9
커피, 버블티, 아이스크림 브랜드가 빠르게 확산
[자료: Thailand Franchise Center]
<태국 내 주요 프랜차이즈 업체 정보>
회사명
주요 브랜드
품목
매장 수
설립 연도
계약조건 등
PTT PLC
Café Amazon
카페
3,560
2002
- 가맹비: 15만 바트(약 4,600달러)
- 보증금: 10만 바트(약 3,100달러)
- 로열티비: 월 매출액의 3%
- 마케팅비: 월 매출액의 3%
- 계약기간: 6년(연장 가능)CHESTER'S FOOD COMPANY LIMITED
Chester’s
프라이드 치킨
200
1988
- 가맹비: 70만 바트(약 2만 달러)
- 초기 투자액: 600만 바트(약 18만 달러)
- 로열티: 월 매출액의 4%
- 마케팅비: 월 매출액의 3%
- 계약 기간: 10년(연장 가능)
AROI RABERD COMPANY LIMITED
LookChinGiant
어묵 튀김
2,501
2009
- 가맹비: 3,000바트(약 91달러)
- 초기 투자액: 3,000~5만 9,990바트(약 91~1830달러)
The Minor
Food Group
(MINT)
THE PIZZA COMPANY
피자
267
2001
- 초기 투자액: 1100~1200만 바트(약 33~36만 달러)
- 로열티: 월 매출액의 5%
- 마케팅비: 월 매출액의 5%CPF RESTAURANT AND FOOD CHAIN COMPANY LIMITED
FIVE STAR
프라이드 치킨
5,000
1985
- 가맹비: 6,000바트(약 183달러)
- 초기 투자액: 50만 바트(약 1만 5256달러)- 운전자금: 월 3만 바트(약 915달러)
- 마케팅비: 월 매출액의 1.5%
- 계약기간: 1년(연장 가능)Bangchak Retail Company Limited
Inthanin
카페
480
2006
- 가맹비: 20만 바트(약 6,100달러)
- 보증금: 10만 바트(약 3,100달러)
- 로얄티: 월 매출액의 6%
- 계약기간: 6년(연장 가능)
[자료: Thailand Franchise Center, Euromonitor, 사업개발국(DBD), Corpus X, 각 기업 홈페이지]
태국 내 주요 한국 프랜차이즈 진출 현황
최근 한류 확산과 함께 한국식 외식 브랜드가 태국 시장에서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본촌 치킨(Bonchon Chicken), 더 비빔밥(The Bibimbab), 구구 치킨(Gugu Chicken) 등 주요 브랜드가 방콕 중심 상권과 대형 쇼핑몰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자리 잡았다. 2023년 이후에는 BHC, 고피자(GOPIZZA), 명륜진사갈비, 푸라닭(PURADAK) 등이 잇따라 태국 시장에 진출했다. 이들은 현지 파트너사와의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 또는 법인 설립을 통해 시장에 진입했으며, 방콕 주요 상권(센트럴월드, 시암, 아이콘시암 등)에 매장을 운영 중이다. 한국 프랜차이즈는 품질관리·브랜드 이미지·프리미엄 메뉴 구성을 강점으로, 태국 외식 시장의 중상위 소비층을 중심으로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또한, 현지 기업과의 협업 및 공동 투자를 통해 태국 소비자 취향에 맞춘 메뉴 현지화와 유통망 확충을 병행하며 K-푸드 기반의 외식 산업 확산을 주도하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태국지사 식품 담당 매니저 A 씨는 KOTRA 방콕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태국 식품·외식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배달·간편식 중심의 소비 트렌드 확산이 시장을 견인하고 있다”라면서 “프리미엄화와 현지화 전략이 병행되는 시장으로, 한국 식품 기업의 성장 잠재력이 여전히 높다”라고 말했다.
<태국 진출 주요 신규 한국 프랜차이즈 업체 정보>
회사명
브랜드
품목
매장 수
진출 연도
특징
BHC CHICKEN (THAILAND) CO., LTD.
BHC
프라이드 치킨
12
2023
- 태국 현지 파트너사 Meation Group과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하고 2024년부터 본격적인 시장 진출
- 방콕 중심 상권(센트럴월드, 시암, 아이콘시암 등) 을 중심으로 직영점 운영 및 신규 매장 확대 중
- 2026년까지 전국 주요 도시에 20개 매장 확대 목표
- 한국식 프라이드치킨·양념치킨 중심 메뉴에 더해, 태국 소비자 입맛에 맞춘 치킨스킨·떡볶이·치즈볼 등 현지화 메뉴 출시
- 매장 내 식사 + 테이크아웃 + 배달(GrabFood, LINEMAN 제휴) 등 옴니채널 운영을 통해 판매 채널 다각화
- ‘K-치킨’ 트렌드와 한류 열풍을 활용해 젊은 층 중심의 프리미엄 치킨 브랜드로 포지셔닝
GOPIZZA (THAILAND) LTD.
GOPIZZA
피자
6
2023
- 태국 현지 법인을 설립하고, 2023년부터 본격적인 매장 운영 시작
- Charoen Pokphand Group(CP Group) 계열사로부터 1000만 달러 규모 투자를 유치해 태국 내 유통망 및 매장 확장 기반 확보
- 방콕 주요 상권(로터스 수쿰윗 50, 더몰 방깨, 시암 지역 등)을 중심으로 직영점 운영 및 쇼핑몰 체인 입점 확대 중
- 1인용 퍼스널 피자 콘셉트로, 고속 화덕(GOVEN)을 활용한 2분 내 조리 시스템을 강점으로 내세움
- 배달 플랫폼(GrabFood, LINEMAN 등)과 제휴해 온·오프라인 통합 판매 채널 구축
- ‘K-푸드’ 트렌드와 스마트 조리 시스템을 결합한 혁신형 외식 브랜드로, 태국 내 프리미엄 퀵서비스(QSR) 시장 공략 중
MYEONG RYUN JINSA GALBI (THAILAND) CO., LTD.
MYEONG RYUN JINSA GALBI
갈비
3
2023
- 한국 본사 직영 및 현지 파트너 협업 형태로 태국 시장에 진출, 2023년부터 방콕 지역을 중심으로 매장 운영 시작
- 방콕 Big C Extra Rama 4, The Mall Bangkapi) 등 대형 쇼핑몰 내 입점을 중심으로 운영 중
- 태국 내 약 3개 매장 운영, 향후 주요 상권 내 점진적 확장 계획
- 숯불 돼지갈비·삼겹살 무한 리필 뷔페형 모델로, 갈비·삼겹살 외에도 떡볶이·잡채·김치찌개 등 한식 사이드 메뉴 구성
- 현지 소비자 선호에 맞춰 달콤한 양념 갈비 맛, 현지 식재료 사용 등 부분 현지화 전략 적용
- 합리적인 가격대(399바트 내외)와 한국식 분위기 연출로 중산층·가족 단위 고객층을 주요 타깃으로 설정
- 매장 내 식사 중심 운영으로, 한류 콘텐츠 및 ‘K-BBQ 문화’ 확산 트렌드에 힘입어 한국식 고기 뷔페 브랜드로 자리매김 중
CHICKINS Co., Ltd
PURADAK
프라이드 치킨
4
2023
- 태국 현지 파트너사와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하고 2023년부터 본격적인 시장 진출
- 방콕 주요 상권(아속, 라차다, 에까마이 등)을 중심으로 매장 운영 중이며, 일부 매장은 쇼핑몰·오피스빌딩 내 입점 형태로 운영
- 2025년 기준 총 4개 매장 운영, 향후 방콕 외 지역으로 확장 계획 추진
- 한국식 프리미엄 프라이드치킨 브랜드로, 블랙갈릭·칠리마요·허니갈릭 등 고급 소스 중심 메뉴 구성
- 매장 내 식사+배달(GrabFood, LINEMAN) 중심으로 운영하며, 시그니처 블랙·골드 콘셉트 인테리어로 고급 이미지 구축
- ‘K-프리미엄 치킨’ 포지셔닝을 통해 경쟁 치킨 브랜드와 차별화된 디자인·브랜드 경험 중심 전략 전개 중
[자료: 사업개발국(DBD), Corpus X, 각 기업 홈페이지, KOTRA 방콕무역관 자료 종합]
시사점
태국 프랜차이즈 산업은 전체 679개 브랜드 중 식품 관련 업종이 약 58.5%를 차지하며 산업의 절반 이상을 구성하고 있다. 특히 음식·베이커리와 음료·아이스크림 부문이 중심을 이루며, 내수 소비 회복과 함께 외식·배달 중심의 시장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태국 상공회의소 대학교(UTCC)에 따르면, 2025년 9월 소비자신뢰지수(CCI)는 50.7로 8개월 만에 첫 반등세를 보였으며, 이는 아누틴 행정부의 경기부양책과 미국의 태국산 제품 관세 인하(36%→19%) 등의 정책 효과가 반영된 결과다. 소비 심리 회복은 외식업 프랜차이즈 업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나, 관광업 둔화와 민간 소비 회복 지연 등으로 인해 성장 속도는 완만할 전망이다.
한류 확산과 함께 한국 프랜차이즈의 진출도 확대되고 있으며 BHC, 고피자, 명륜진사갈비, 푸라닭 등이 현지 파트너사와 협력해 시장에 안착하고 있다. 이들은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과 메뉴 현지화 전략을 통해 프리미엄 외식 브랜드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향후 태국 외식 시장은 소비심리 회복과 한류 영향, 프리미엄 소비 트렌드가 맞물리며 점진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며, 한국 기업의 전략적 진출 기회 또한 꾸준히 확대될 전망이다.
<태국의 소비자신뢰지수(CCI) 월별 추이>
[자료: 태국 상공회의소대학교(UTCC) 경제 비즈니스예측센터(CEBF)]
자료: Thailand Franchise Center, Thailand Franchise Center, Euromonitor, 사업개발국(DBD), Corpus X, 각 기업 홈페이지, 태국 상공회의소 대학교(UTCC) 경제 비즈니스 예측센터(CEBF), KOTRA 방콕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프랜차이즈로 보는 태국 식음료 산업의 지금)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말레이시아 김치 시장 동향
말레이시아 2025-10-24
-
2
우유 없이는 못 살아! 러시아의 남다른 유제품 사랑
러시아연방 2025-10-24
-
3
말레이시아 조미김 시장 동향
말레이시아 2025-10-24
-
4
인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시장 동향
인도 2025-10-24
-
5
네덜란드 유압브레이커 시장 동향
네덜란드 2025-10-24
-
6
셀프케어에 눈 뜬 인도 남자들, 뜨거워지는 인도 남성 그루밍 시장
인도 2025-10-24
-
1
2025년 태국 데이터 센터 산업 정보
태국 2025-05-30
-
2
2025년 태국 보석산업 정보
태국 2025-03-06
-
3
2024년 태국 금융산업 정보
태국 2024-05-10
-
4
2024 태국 물류산업 정보
태국 2024-04-11
-
5
2024 태국 건설산업 정보
태국 2024-04-09
-
6
2024년 태국 관광산업 정보
태국 2024-01-24
- 이전글
-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