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레이시아 김치 시장 동향
- 상품DB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최혜민
- 2025-10-24
- 출처 : KOTRA
-
한국산과 현지 브랜드가 공존하는 경쟁구도, 중량·가격 전략 다변화
할랄 인증 확보가 브랜드 신뢰도 및 유통채널 확대의 핵심
상품명 및 HS코드
<상품명 및 HS Code>
HS CODE
상품명
2005.99
김치
[자료: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종합]
김치는 HS코드 2005.99에 해당한다. 이는 식초나 아세트산에 의한 조제 또는 보존 식품이 아닌 기타 채소류 가공품을 포괄하는 코드로, 말레이시아에서 김치를 수입하거나 유통할 때 기준이 되는 코드다. 통관 시에는 진공 포장 여부에 따라 HS 2005.99.10(진공 처리한 것) 또는 HS 2005.99.90(그 밖의 것)으로 세분화돼 관세율 적용, 통계 집계, 인증 요건이 달라질 수 있다.
시장동향
시장조사기관 Euromonitor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의 절임·조제·냉동 채소류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MYR 34억6230만(USD 8억543만)으로 추산되며, 2030년까지 MYR 56억6930만(USD 13억1822만)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이는 연평균 성장률 7%를 웃도는 수준으로,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식단 내 발효식품 수요 확대, 식사 준비 간소화 트렌드, 수입 가공식품에 대한 접근성 향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치는 이러한 흐름과 맞물려 대표적인 건강 발효식품으로 인식되며 주목받고 있다. 특히, K-드라마, K-pop 등 한류 콘텐츠를 통해 한국 식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도 김치 수요 확산의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주재국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말레이시아의 김치 수입은 2022년에 USD 2000만으로 정점을 기록한 이후, 2023년에는 USD 1660만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2024년에는 USD 1950만으로 반등하면서 수입 회복세를 보였다. 팬데믹 이후 위축됐던 외식 및 유통업 활동이 회복되고, K-콘텐츠 확산을 통한 한식 수요가 다시 증가하면서 김치 수입 역시 반등한 것으로 해석된다. 같은 기간 김치 수출도 증가세를 보였으며, 2023년 USD 690만에서 2024년에는 USD 790만으로 상승했다. 이는 현지 생산 기반 확대와 함께 김치류 제품 수출 품목의 다변화가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말레이시아 HS 2005.99 수출입 동향>
(단위: US$ 천)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수출
5,600
5,400
6,800
6,900
7,900
수입
14,200
16,000
20,000
16,600
19,500
[자료: Global Trade Atlas, 조회일 2025.10.07.]
2024년 기준 수입 상위국 중 중국은 약 USD 1525만으로 전체 수입의 77.9%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1위를 유지하고 있다. 태국은 USD 151만을 수출하며 7.8%의 점유율을 기록했고, 전년 대비 37.3% 증가했다. 한국은 128만 달러로 6.6%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3위를 유지했으며, 2023년 대비 1.7%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특히 한국은 2022년 USD 222만 수출에서 2023년 USD 126만으로 크게 감소한 이후 2024년 소폭 회복세를 보여, 점유율 유지를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말레이시아 HS 2005.99 수입 상위 10개국(2022~2024)>
(단위: US$ 천, %)순위
국가
2022
2023
2024
2024 비중
증감률
('24/'23)
1
중국
15,060
12,830
15,250
77.9
18.9
2
태국
1,060
1,110
1,510
7.8
37.3
3
한국
2,220
1,260
1,280
6.6
1.7
4
인도네시아
300
360
280
1.4
-21.5
5
호주
60
160
180
0.9
13.8
6
베트남
70
60
150
0.8
151.3
7
대만
350
210
150
0.8
-28.2
8
미얀마
20
20
140
0.7
564.8
9
싱가포르
240
140
120
0.6
-15.4
10
이탈리아
90
60
90
0.5
62.6
[자료: Global Trade Atlas, 조회일 2025.10.07.]
위 표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김치 수입 시장은 여전히 중국에 집중돼 있으나, 태국과 한국이 일정 수준의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태국산 제품은 최근 들어 가격경쟁력과 현지 유통 적합성을 바탕으로 점유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산 김치는 프리미엄 이미지와 한식 인지도에 기반한 틈새시장 공략이 가능하다. 반면 가격 대비 성분 및 인증 신뢰도가 부족한 일부 신흥 수입국은 점유율이 제한적이거나 감소세를 보인다. 한국 기업 입장에서는 점유율 반등을 위해 할랄 인증 확보, 중량·가격 다변화, 로컬 유통 채널 밀착 전략 등이 필요하다.
경쟁 동향
말레이시아 김치 시장은 한국산 수입 브랜드와 현지 제조 브랜드가 혼재하는 구조를 보인다. 한국 브랜드로는 종가집, 비비고, Iikim이 주요 유통채널을 통해 판매되고 있으며, 말레이시아에서 생산되는 Han Sung, Ommason, Hyo Kimchi 등 현지 브랜드도 슈퍼마켓과 온라인몰에서 함께 경쟁 중이다. 제품 용량은 200g 소포장부터 1.3kg 대용량까지 다양하게 구성돼 있으며, 판매 가격은 USD 2.70 (MYR 11.50)에서 USD 7.70 (MYR 32.80) 수준으로 형성돼 있다. 특히 종가집은 200g 슬라이스 형태로 USD 2.80 (MYR 11.90)에 판매되며, 비비고는 500g 기준 USD 6.10 (MYR 25.90)으로 포장 단위에 따른 가격 차별화 전략을 취하고 있다. 현지 브랜드 중 Han Sung은 1.3kg 대용량 제품을 USD 7.70 (MYR 32.80)에 판매하며 가정용 및 외식업소용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대부분의 제품은 할랄 인증을 취득해 라벨에 할랄 로고를 표시하고 있으며, 한국 브랜드의 경우 JAKIM 또는 인정기관 인증을 통해 현지 유통 신뢰도를 확보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유통 주요 김치 제품>
브랜드명
국가명
대표 제품
가격
종가집
한국
Jongga Sliced Cabbage Kimchi 200g
MYR 11.90
(USD 2.80)
비비고
한국
CJ Sliced (Mat) Kimchi 500g
MYR 25.90
(USD 6.10)
Ommason
말레이시아
Ommason Kimchi 350g
MYR 21.00
(USD 4.94)
Hyo Kimchi
말레이시아
Korean Red Kimchi 300g
MYR 17.00
(USD 4.00)
Penguin Taste
말레이시아
Penguin Taste Kimchi 300g
MYR 16.90
(USD 3.95)
명가
한국
Myungga Premium Kimchi 400g
MYR 16.90
(USD 3.95)
[자료: Jaya Grocer, AEON, Shopee, MyAEON2go, 각 사 공식몰]
유통 구조
가공 채소류의 유통은 전체의 96.4%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뤄지고 있으며, 이 중 소형 식료품점이 31.8%, 대형마트 29.7%, 슈퍼마켓이 24.1%를 차지한다. 온라인 채널은 아직 3.6% 수준으로 낮지만, GrabMart, Shopee, Foodpanda 등 전자상거래 및 즉시 배달 플랫폼을 통한 주문 증가가 관찰되고 있다. 김치는 냉장 유통이 필요한 품목 특성상 오프라인 채널의 비중이 크며, 매장 내 고정 매대 또는 한국식품 코너에서 취급되는 경우가 많다.
관세율
HS 2005.99.10의 기본관세율은 8%이나, 한-아세안 FTA(AKFTA)와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적용 시 0% 특혜세율이 적용된다.
반면, HS 2005.99.90은 기본관세 자체가 0%로 설정돼 있으며, 두 코드 모두 SST(판매 및 서비스세) 5%가 부과된다.
<HS 2005.99 말레이시아 세율>
(단위: %)코드
기본관세
AKFTA
RCEP
SST
2005.99.10
8
0
0
5
2005.99.90
0
0
0
5
[자료: JKDM, AKFTA 및 RCEP 협정문]
인증 및 수입 절차
김치는 말레이시아에서 강제 할랄 인증 대상 품목은 아니지만, 유통 및 소비 실태를 고려하면 실질적으로 할랄 인증이 필수에 가깝다. 특히 대형마트 입점이나 무슬림 소비자 대상 마케팅을 진행할 때, 할랄 인증 유무가 제품 신뢰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실제로 종가집, 비비고 등 한국 주요 김치 브랜드는 말레이시아 시장에 진출할 때 JAKIM(Department of Islamic Development Malaysia, 말레이시아 이슬람 개발부) 또는 동등 인정 기관의 할랄 인증을 확보한 상태로 수출·판매되고 있다. 할랄 인증은 의무 사항이 아니지만, 무슬림 다수 사회에서 할랄 마크 부착 여부는 소비자의 구매 결정을 실질적으로 좌우하는 요인이다. 따라서 김치에 육류 성분이 포함되지 않더라도 할랄 인증을 획득해 라벨에 부착하는 것이 시장 확장에 유리하다.
수입을 위해서는 말레이시아 보건부(Ministry of Health, MOH)의 식품안전정보시스템(Food Safety Information System of Malaysia, FoSIM)에 제품을 사전 등록해야 한다. FoSIM 등록은 말레이시아 내 식품 유통을 위한 전자 등록 시스템으로, 제품 성분표, 원산지, 제조사 정보, 유통기한, 라벨 이미지 등을 포함한 전자 문서를 업로드해야 한다. 수입업체가 이 등록을 대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사전 등록이 누락될 경우 세관 통관 단계에서 제품 반출이 보류될 수 있다.
FoSIM 등록 이후에는 말레이시아 농식품검역청(Malaysia Quarantine and Inspection Services, MAQIS)으로부터 전자 수입허가(e-Permit)를 받아야 한다. MAQIS는 식품류 수입 시 농산물 검역과 식품 안전성을 검토하는 기관으로, 수입 김치의 경우 라벨 및 원재료가 식품안전기준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MAQIS e-Permit 신청은 수입업자가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진행하며, 보통 3~5영업일 이내에 승인 여부가 통보된다. 필요시 물리적 검역이 추가로 시행될 수도 있다.
김치 수입과 관련된 주요 라벨링 요건으로는 제품명, 성분표, 원산지, 제조 일자 및 유통기한, 제조사 정보, 수입자 정보 등을 영어 또는 말레이어로 명시해야 하며, 할랄 인증을 취득한 경우 해당 로고는 JAKIM 또는 공인 외국 기관 발급 건에 한해 표기 가능하다. 불법 인증 마크 사용 시에는 세관 단계에서 반입 불허 또는 과징금 부과가 가능하다.
시사점
김치는 한류 콘텐츠 확산, 건강식품 수요 확대, 유통채널 다변화 등 시장 환경 변화에 힘입어 말레이시아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품목이다. 한국산 김치는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발효식품으로서의 기능성과 프리미엄 이미지, 한식에 대한 선호로 인해 틈새시장을 공략할 수 있다.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해 AKFTA 및 RCEP 등 관세 특혜 활용이 필요하며, 다양한 용량 구색과 번들 할인, 이커머스 맞춤형 판촉도 병행돼야 한다. 무엇보다 할랄 인증과 현지 유통 규정 준수는 수출 지속성을 위한 필수 요건으로 간주된다. 중장기적으로는 말레이계 소비자층까지 확장 가능한 제품 개발과 라벨링·성분 관리 체계 고도화가 병행돼야 할 것이다.
자료: Global Trade Atlas, AKFTA, JAKIM, JKDM, Shopee, Jaya Grocer, 유로모니터 등, KOTRA 쿠알라룸푸르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말레이시아 김치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말레이시아 조미김 시장 동향
말레이시아 2025-10-24
-
2
프랜차이즈로 보는 태국 식음료 산업의 지금
태국 2025-10-24
-
3
우유 없이는 못 살아! 러시아의 남다른 유제품 사랑
러시아연방 2025-10-24
-
4
인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시장 동향
인도 2025-10-24
-
5
태국 채식 축제, 신앙을 넘어 비건 소비시장으로 - K-푸드의 새로운 기회
태국 2025-10-23
-
6
셀프케어에 눈 뜬 인도 남자들, 뜨거워지는 인도 남성 그루밍 시장
인도 2025-10-24
-
1
2025년 말레이시아 반도체산업 정보
말레이시아 2025-06-10
-
2
말레이시아 전기차 산업 현황과 향후 전망
말레이시아 2024-08-13
-
3
2024년 말레이시아 스마트 농업 산업 정보
말레이시아 2024-04-09
-
4
2021년 말레이시아 ICT산업
말레이시아 2022-01-14
-
5
2021년 말레이시아 자동차 산업 정보
말레이시아 2022-01-13
-
6
2021년 말레이시아 신재생에너지 산업
말레이시아 2022-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