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네덜란드 유압브레이커 시장 동향
  • 상품DB
  • 네덜란드
  • 암스테르담무역관 한문갑
  • 2025-10-24
  • 출처 : KOTRA

침체기를 벗어나 성장하는 2025년 네덜란드 건설 시장

인프라 부문 투자에 따라 유압브레이커 시장도 성장 중

상품명 및 HS Code


건설기계 부품인 유압브레이커(Hydraulic breaker), 크러셔·쇄석기(Crusher) HS Code 843149. 유압브레이커(Hydraulic breaker)는 단단한 지반, 암석, 콘크리트 등을 파쇄하기 위해 굴착기 끝에 부착하는 장비로, 도로공사, 토목공사, 철거공사, 광산 등 각종 공사에 이용된다. 크러셔(Crusher)는 구조물을 더 작게 부수는 작업에 사용되는 부착장비다

 

시장 동향


네덜란드 유압브레이커 시장은 민간 주택과 상업용 건물 건설, 그리고 인프라 부문의 성장에 힘입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네덜란드 ING은행의 2025년 건설 산업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네덜란드 건설 산업은 2023~2024년의 침체기를 벗어나 2025년과 2026년에 각각 1.5%, 2.0%의 소폭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부적으로, ‘주택 및 상업용 건물’ 건설 부문은 2025년과 2026년 모두 1.0% 성장할 것으로 보이며, ‘인프라’ 부문은 2025년과 2026년에 각각 3.0%, 2.0%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3~2026년 건설 부문별 성장률>

(단위: %, )


2023

2024

2025

2026

총 건설 부문

0.0

-2.9

1.5

2.0

주택 및 상업용 건물

-4.9

-2.7

1.0

1.0

신규 주택()

73,638

69,129

70,000

70,000

인프라 부문

5.7

-0.4

3.0

2.0

설치, 마감 & 철거

3.1

-3.9

1.0

0.5

건설 자재

-12.0

-1.6

1.0%

0.5

* 주: 2025년과 2026년은 예상치

[자료: ING 은행]

 

Statista에 따르면 네덜란드에서는 2023년 토목공사 중 도로 및 고속도로 건설 부문이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했으며, 총매출은 약 846700만 유로에 달했다. 그 뒤를 이어 전기 및 통신용 유틸리티 건설이 약 574800만 유로, 수자원 사업이 약 311500만 유로의 매출을 올렸다.


네덜란드의 도로 인프라 예산은 최근 몇 년간 큰 변동 없이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고속도로 총연장 또한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지 않았다. 향후 몇 년간 도로 인프라 투자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여전히 매년 수십억 유로 규모의 예산이 꾸준히 투입될 전망이다.


한편, 네덜란드의 철도 인프라는 유럽 내에서도 매우 높은 품질로 평가받고 있다. 2023년 한 해 동안 철도 수송량은 총 192억 승객-킬로미터(Passenger-kilometers)에 달했다. 이는 철도 이용자들이 이동한 총거리를 의미한다. 특히 2018년과 2019년에는 이보다 더 높은 수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러한 수치는 국토 면적과 인구가 비교적 작은 네덜란드가 효율적이고 고도화된 철도 인프라를 구축·운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요약하면, 네덜란드는 도로와 철도 인프라에 꾸준히 상당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으며, 고속도로를 비롯해 광범위한 도로망의 유지·관리를 위해 매년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 철도 운송 또한 국민의 일상생활과 국가 경제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2023년 네덜란드 토목 분야별 매출액>

(단위: € 백만)

[자료: Statista]


2023년 네덜란드에서 판매된 건설 장비는 총 1만3524대이며, 연평균 성장률 5.5%를 기록해 2029년에는 1만8664대가 판매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흐름에 힘입어 네덜란드 유압브레이커 시장 역시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2023년 대비 2029년 네덜란드 건설 장비 시장 성장 예상치>

(단위: )

[자료: Research and Markets]


주재국 수출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네덜란드 유압브레이커 시장의 수입 동향을 보면, 2024년 수입액은 전년 대비 20.9% 감소한 682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 수입국 중 독일이 14100만 달러를 공급하며, 20.7%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중국과 벨기에에서 각각 12000만 달러, 6000만 달러를 수입해 점유율은 각각 17.5% 8.9%를 나타냈다. 한국은 2900만 달러를 수입하며, 4.3%의 점유율로 7위를 기록했다.

 

<2022~2024년 네덜란드의 HS Code 843149 수입 추이>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지역

수입액

점유율

('24 기준)

증감률
('24/'23)

2022

2023

2024

 

전 세계

815

862

682

100.0

-20.9

1

독일

144

192

141

20.7

-26.5

2

중국

100

124

120

17.5

-3.5

3

벨기에

100

113

60

8.9

-46.5

4

이탈리아

45

46

51

7.4

9.8

5

일본

67

64

47

6.9

-27.2

6

스웨덴

43

45

33

4.9

-25.4

7

한국

54

39

29

4.3

-24.3

8

폴란드

44

38

26

3.8

-32.0

9

프랑스

20

23

20

2.9

-14.4

10

영국

24

22

19

2.7

-16.8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10.8.)]

네덜란드 유압브레이커 시장의 수출 동향을 보면, 2024년 수출액은 전년 대비 7.8% 감소한 6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 수출국 중 독일이 14600만 달러로, 22.1%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다. 그다음으로 벨기에와 미국이 각각 8200만 달러(12.4%), 3600만 달러(5.5%)를 기록했다. 한국으로의 수출은 100만 달러로, 점유율 0.2%에 해당하며 51위를 차지했다.


<2022~2024년 네덜란드의 HS Code 843149 수출 추이>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지역

수입액

점유율

('24 기준)

증감률
('24/'23)

2022

2023

2024

 

전 세계

670

716

660

100.0

-7.8

1

독일

125

127

146

22.1

14.4

2

벨기에

85

82

82

12.4

-0.3

3

미국

29

40

36

5.5

-9.6

4

프랑스

61

41

36

5.4

-13.2

5

영국

26

34

29

4.3

-15.4

6

이탈리아

20

17

22

3.3

27.2

7

싱가포르

21

24

20

3.0

-19.1

8

덴마크

24

23

18

2.7

-21.4

9

폴란드

13

16

17

2.6

5.7

10

아랍에미리트

6

8

16

2.4

108.4

51

한국

1

14

1

0.2

-89.6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10.8.)]
 

경쟁 동향


<주요 경쟁 기업>

기업명

내용

Sandvic

- 'Rammer'라는 브랜드로 초소형 0.6톤급부터 대형 100톤급 굴삭기에 장착할 수 있는 약 20종의 다양한 유압브레이커를 보유

- 특히 20톤급 모델이 매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소형 모델 수요가 점차 증가 중

Epiroc

Krupp 브랜드로 유압브레이커를 발명한 회사로, 1963년에 최초로 유압 굴삭기에 부착되는 유압식 공구에 대한 특허 보유

현재 소형에서 중대형에 이르는 다양한 유압브레이커 제품군을 보유

Hydraram

- 1993년 설립돼 해체재활용토목공사 및 임업 분야에 사용되는 유압브레이커를 생산

1톤에서 300톤까지 다양한 운반 장비에 장착 가능한 라인업 보유

수산세보틱스

- 네덜란드에 1999년 지사를 설립해 다양한 유압 브레이커 판매 중

[자료: KOTRA 암스테르담무역관 정리]

 

유통 구조 

 

네덜란드 내 유압브레이커 유통 구조는 3가지로 크게 나뉜다. Sandvic과 Epiroc과 같은 글로벌 기업은 네덜란드 내 법인을 세워 직접 진출하거나, 현지 기업과 파트너십을 통해 판매와 사후관리를 진행한다. 네덜란드 중견기업들은 OEM 제조업체를 통해 제조한 제품을 네덜란드 토목, 건축업체에 공급한다. 한편, 소형 수입업체는 여러 브랜드를 수입해 유통하고 있다.

 

관세율 


HS Code 843149의 수입 관세율은 0%.

 

인증


유압브레이커를 유럽에 수출할 때는 CE 인증이 필수다유압브레이커는 건설기계 또는 산업용 기계에 해당하며, EU 내에서 유통할 경우 기계 지침(Directive 2006/42/EC), 전자기 적합성(EMC) 지침저전압 지침(2006/95/EC) 등 관련 EU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CE 마크를 획득해야 한다.


시사점


네덜란드 유압브레이커 시장은 민간 건설 시장 성장과 네덜란드 정부의 인프라 프로젝트 확대와 함께 2024년의 침체기를 벗어나 성장 중이다. 이처럼 성장하는 시장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특히 경쟁력 있는 우수한 제품의 공급과 더불어 제품의 유지보수와 관리가 중요하므로, 현지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우리 기업들은 이에 대한 면밀한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료: NOS, ING Bank, Research and Markets, Statista, Global Trade Atlas, NLTimes, KOTRA 암스테르담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네덜란드 유압브레이커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