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말레이시아 조미김 시장 동향
  • 상품DB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최혜민
  • 2025-10-24
  • 출처 : KOTRA

저염·저칼로리 간식 트렌드에 김 조미제품 수요 상승

한류·프리미엄 이미지 앞세운 한국산 점유율 6.1% 기록

말레이시아에서 김 조미 제품(Seasoned Laver)은 건강 간식 트렌드, 한류 식품 수요 확대, 환경·윤리 소비 인식 확산 등 복합적인 소비 변화에 힘입어 주목받는 수출 유망 품목으로 부상하고 있다. 현지 소비자들은 기존의 고염분·고지방 스낵류에서 탈피해 저염·저칼로리 간식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으며, 이에 따라 김을 기반으로 한 가볍고 건강한 스낵류가 틈새시장 이상의 성장을 보인다. 한국산 제품은 CJ, 만전, Mr. Kim 등 브랜드를 중심으로 할랄 인증, 프리미엄 포장, 대형마트·온라인 유통망을 바탕으로 점진적으로 존재감을 확대하고 있다. 전체 간식 시장에서 김의 점유율은 아직 미미하지만, 타 국가 브랜드에 비해 한류를 기반으로 한 브랜딩 우위가 뚜렷하다는 점에서 전략적 진출 여지가 크다.

 

상품명 및 HS코드


<상품명 및 HS Code>

HS CODE

상품명

2008.99

김 조미 제품

[자료: KOTRA 쿠알라룸푸르무역관 종합]


김 조미 제품은 말레이시아 세관 기준 HS코드 2008.99에 해당한다. 해당 코드는 기타 조제 또는 보존 식품을 포함하는 범주로, 김 제품은 세부 품목으로 2008.99.1000부터 2008.99.9000까지 세분화돼 통관된다.

 

시장동향

 

말레이시아에서는 전통적으로 감자칩, 크래커, 튀김류 등 고염분 기반의 스낵류 소비가 높았으나, 2020년대 중반 이후 건강 의식 확산과 함께 저염·구운·비건 스낵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비만율과 만성질환 증가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커지면서, 소비자들은 간식 섭취 시 열량과 나트륨 함량, 성분의 원재료 정보를 적극적으로 확인하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에서 김 조미 제품은 낮은 칼로리, 얇고 바삭한 식감, 식이섬유 함유 등 건강 지향 속성을 바탕으로 감자칩 대체재로 각광받고 있다. 실제로 CJ, Mr. Kim, 만전 등 한국 브랜드는 "건강 스낵(Healthy snack)", "할랄 인증(Halal certified)", "구운 김(Roasted seaweed)" 등 키워드를 중심으로 포지셔닝하고 있으며, 유통 채널에서도 프리미엄 간식 섹션에 진열돼 고급화 전략을 취하고 있다. 한편, 2022년 이후 서구 브랜드 불매운동 영향으로 현지 간식 시장 내 태국, 한국,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 브랜드의 비중이 증가한 것도 시장 확대에 긍정적인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주재국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말레이시아의 김 조미 제품 수입은 최근 5년간 전반적인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2020년 USD 3770만이었던 수입 규모는 2024년 USD 6860만으로 약 81.9% 증가했으며, 2022년과 2023년 일시적 조정을 제외하면 지속적인 성장 흐름이 유지되고 있다. 2025년 상반기 수입액은 USD 2220만으로, 연환산 기준으로는 USD 4400만 수준으로 예상되며 전년 대비 소폭 둔화된 흐름을 보인다. 반면, 수출은 2023년 상대적으로 정체된 모습을 보였으나, 2024년에 반등해 USD 730만을 기록했다.

 

<말레이시아 HS 2008.99 수출입 동향>
(단위: US$ 백만)

구분

2022

2023

2024

수출

4.3

4.1

7.3

수입

57.4

53.0

68.6

[자료: Global Trade Atlas, 조회일 2025.10.07.]


수입국별 구성에서 중국은 2024년 기준 USD 3180만으로 전체의 46.4%를 차지하며 시장의 절반 가까이 점유하고 있다. 태국은 USD 1980만으로 28.8%를 기록했으며, 두 국가가 전체 시장의 7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구조이다. 


<말레이시아 HS 2008.99 수입 상위 10개국(2024~2025 상반기)>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

수입액

시장점유율

수입액 증감률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2023/2024

1

중국

25.4

23.8

31.8

44.2

44.8

46.4

34.0

2

태국

16.3

16.1

19.8

28.3

30.4

28.8

22.80

3

미국

4.6

1.9

3.4

8.0

3.6

4.9

75.7

4

한국

3.2

2.6

3.3

5.7

5.0

4.8

24.7

5

베트남

1.0

1.5

2.5

1.7

2.9

3.6

62.6

6

싱가포르

1.1

1.6

2.1

1.9

3.1

3.0

29.4

7

대만

1.2

1.3

1.2

2.0

2.5

1.7

-11.1

8

필리핀

0.9

0.6

0.9

1.6

1.1

1.2

52.0

9

인도네시아

1.1

0.8

0.7

1.8

1.5

1.0

-4.8

[자료: Global Trade Atlas, 조회일 2025.10.23.]

 

한국의 말레이시아 수출은 최근 5년간 증감을 반복하는 변동성을 보였으나, 전체적으로는 상승 추세에 있다. 한국은 2024년 기준 USD 330만(4.8%) 규모를 기록했으며, 2025년 상반기에는 USD 140만(6.1%)으로 점유율이 증가했다. 동기간 한국산 제품의 수입 증가율은 5.75%로, 주요국 중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인다. 연간 환산 기준으로는 USD 280만 수준으로 2023년 대비 소폭 감소가 예상되지만, 점유율 자체는 6.1%로 상승하고 있어 브랜드 인지도, 유통 다변화, 할랄 인증 보유 확대 등의 요인이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HS Code 2008.99 대한 수입 동향 >

(단위 : US$ 백만, %)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상반기

수입액

1.8

2.8

3.2

2.6

3.3

1.4

증감률

82.5

54.1

15.9

-18.8

24.7

5.8

[자료: Global Trade Atlas, 조회일 2025.10.07.]

 

경쟁 동향

 

말레이시아 조미김 시장에서 가장 강력한 입지를 가진 브랜드는 태국의 Tao Kae Noi로, 2025년 기준 전체 스낵 시장에서 1.8%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 대표 제품은 Hot and Spicy Crispy Seaweed(32.5g, USD 1.58 / MYR 6.80)이며, 슈퍼마켓과 편의점, 전자상거래에서 폭넓게 유통되고 있다. 한국산 브랜드는 비비고(CJ), Mr. Kim, 만전식품 등이 있으며, 12팩 포장 단위 또는 슬림형 9팩 세트 등 다양한 구성을 바탕으로 프리미엄 이미지와 K-푸드 마케팅을 결합해 진출 중이다. 비비고 12x4g 제품은 USD 5.77 (MYR 24.80), Mr. Kim 12x4g는 USD 5.42 (MYR 23.30), 만전 치즈 맛 9x4.5g은 USD 5.33 (MYR 22.90)으로 가격대가 유사하며, 대부분 할랄 인증을 보유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유통 중 주요 김 조미 제품 브랜드 및 가격>

브랜드

국가

제품

Tao Kae Noi

태국

Hot and Spicy Crispy Seaweed Snack

(32.5g)

external_image

USD 1.57

(MYR 6.80)

Kabuki

태국

Grilled Seaweed Roll Paprika

(12 x 3g)

external_image

USD 2.51

(MYR 10.90)

Tong Garden

싱가포르

 

NOI Grilled Seaweed Cuttlefish

(27g)

external_image

USD 1.80

(MYR 7.80)

CJ

한국

Bibigo Seasoned Seaweed

(12 x 4g)

 

external_image

USD 5.71

( MYR 24.80)


Mr. Kim

한국

Halal Seasoned Seaweed

(12 x 4g)

external_image

USD 5.37

(MYR 23.30)

만전

한국

Laverland Crunch

Crisp Seaweed Snack (Cheese)

(9 x 4.5g)

external_image

USD 5.28

(MYR 22.90)


광천김

한국

Crispy Seaweed Original

(9 x 5g)

external_image

USD 4.59

(MYR 19.90)


Nico Nico

일본

Nico Aju Gin Seasoned Seaweed

(6 x 7g)

external_image

USD 1.68

(MYR 7.30)


Daiko

일본

Light Salt Tempura Seaweed Snacks

(300g)

external_image

USD 2.74

(MYR 11.90)

Fairy Yummy

중국

Seaweed Snack with Sesame

(35g)

external_image

USD 1.65

(MYR 7.15)

[자료: Jaya Grocer, AEON, Shopee, Village Grocer, 각 회사 홈페이지 등]

 

유통 구조

 

말레이시아의 김 제품은 여전히 오프라인 유통 비중이 크며, 소형 식료품점이 전체 오프라인 시장의 68%를 점유한다. 하이퍼마켓과 슈퍼마켓은 대용량 제품, 프로모션 번들, 신제품 체험 공간으로 활용되며, 편의점(7-Eleven, FamilyMart, 99 SpeedMart)에서는 이동 중 소비를 겨냥한 소포장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최근에는 고정가 체인점인 Eco Shop 등 ‘달러 스토어’형 유통망이 확산하면서 저가형 제품 판매 채널도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은 Shopee, Lazada, TikTok Shop 중심으로 번들 할인, 타임세일, 인플루언서 리뷰 마케팅을 통해 점진적으로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관세율


<말레이시아 조미김 관세율>

HS code

수입 관세(%)

판매 및 서비스세

(SST)

관세령 2022

AKFTA

2008.99.1000

2008.99.2000

2008.99.3000

2008.99.4000

2008.99.9000

0

0

5

[자료: 관세령 2022, ASEAN-Korea FTA (AKFTA)]

 

HS코드 2008.99에 해당하는 김 제품은 말레이시아 일반 수입세(PDK) 및 한-아세안 FTA(AKFTA) 모두에서 관세가 면제된다. 다만, 판매 및 서비스세(SST) 5%가 부과되며, 이는 제품 가격에 직접 반영될 수 있다. 품목 세부 코드인 2008.99.1000~9000 모두 동일하게 0% 관세율과 5% SST가 적용된다.

 

인증 및 수입 절차

 

말레이시아로 수입되는 모든 식품은 보건부 산하 식품안전정보시스템(Food Safety Information System of Malaysia, FoSIM)에 사전 등록돼야 하며, 등록 항목에는 제품 성분표, 제조국, 제조사 정보, 유통기한, 알레르기 유발 물질 등이 포함된다. 이 외에도 식품법(Food Act 1983) 및 식품 규정(Food Regulation 1985)을 충족해야 하며, 위반 시 통관 지연 또는 반입 거부될 수 있다.


또한 식품에 동물성 성분이 들어가 있다면 할랄 인증 확보가 필수다. 동물성 성분이 포함되지 않아 할랄 인증 필수 품목이 아니더라도, 무슬림 소비자 비중이 높기 때문에 할랄 인증 확보 시 슈퍼마켓 입점과 브랜드 신뢰도 형성에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 인증은 JAKIM (Department of Islamic Development Malaysia, 말레이시아 이슬람 개발부) 또는 동등 인정기관을 통해 발급받아야 하며, 신청자는 MYeHALAL 포털을 통해 등록하고 현장 실사 등 일련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 국내 기관의 할랄 인증(KHA, KMF)은 JAKIM 할랄 인증과 교차 인정돼 국내 기관의 할랄 인증을 부착할 수 있다. 

 

시사점

 

김 조미 제품은 건강 간식 수요, 한류 프리미엄 이미지, 환경·윤리 소비 트렌드가 맞물리며 말레이시아 시장에서 유망성이 높은 품목이다. 수입은 꾸준히 증가세이며, 특히 한국산은 타 브랜드 대비 포장 디자인, 할랄 인증, 품질 신뢰도 측면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향후 진출 시에는 소포장 중심 구성, 번들 프로모션, K-콘텐츠 연계 마케팅이 효과적이며, FoSIM 등록과 할랄 인증 확보를 통한 유통망 확장이 병행돼야 한다.



자료: Global Trade Atlas, 유로모니터, AKFTA, 관세령 2022, JAKIM, 각 기업 홈페이지 등, KOTRA 쿠알라룸푸르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말레이시아 조미김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