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트남 볼트·너트 시장동향
- 상품DB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박성민
- 2025-10-23
- 출처 : KOTRA
-
제조업 확장과 국가 프로젝트 추진으로 성장세를 보이는 베트남 볼트·너트 산업
고정밀·고강도 제품은 여전히 수입 의존, 기술 제휴를 통한 현지화 기회 유효
상품명 및 HS코드
<볼트,너트 HS코드>
HS코드
품목
7318.15
기타 나사 및 볼트(너트 또는 와셔 포함 여부와 관계 없음)
[자료: KOTRA 하노이무역관 종합]
시장동향
베트남 산업용 볼트·너트 시장은 제조업 확장과 인프라 투자 확대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Credence Research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베트남 산업용 패스너(두 부품을 결합 고정하는 모든 기계요소) 시장 규모는 약 2억7000만 달러로 연평균 6.7% 성장이 예상된다.
주요 성장 요인은 자동차·오토바이 생산 확대에 따른 조립용 고강도 제품 수요 증가, 산업단지·플랜트 건설 확대, 기계·전자 산업의 정밀 조립 공정 확대 등이다. 현재 베트남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핵심 제조 허브로 부상하고 있으며, 특히 주요 산업단지와 국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수요가 집중되고 있다.
이와 함께 베트남 정부는 2025년 8월 국경절을 맞아 전국 34개 성·시에서 총 250개 인프라·산업 프로젝트를 착공 또는 준공하며 총 1280조 동(약 485억9149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진행했다. 교통·산업·주택·에너지 등 핵심 분야 중심의 대규모 프로젝트가 동시다발적으로 추진되면서, 건설 및 제조 관련 패스너 수요가 중장기적으로 지속 확대될 전망이다.
<2025년 베트남 주요 프로젝트 현황>
구분
세부 사항
프로젝트 수
- 250개 프로젝트
- 준공: 89개
- 착공: 161개
총 투자 자본
약 1280조 VND
주요 분야
교통 인프라: 59개 / 도시·주택: 44개 / 산업 건설: 57개 / 기술 인프라: 36개 / 사회주택: 22개
농업·농촌 개발: 6개 / 문화·체육: 3개 / 교육: 12개 / 국방: 1개 보건: 10개
주요 프로젝트
- 국가 전시 박람회 센터(하노이)
- 응옥호이 교량 건설(하노이–흥옌 연결)
- 사이공 마리나 국제금융센터 IFC
- 호아빈 수력발전소 확장 1호기
- 오몬 IV 가스복합 화력발전소
- 남북 고속철도 및 라오까이-하노이-하이퐁 철도
- 사회주택 건설 프로젝트 22개 동시 추진
- 칸지오 혼코아이 대규모 항구
- 롱탄 국제공항 및 노이바이 공항 T2 터미널
- 락미에우2 교량 건설 (메콩강, 동탑–빈롱 연결)
- 비엣텔 R&D, 공안부 생명공학 센터, 국가 데이터 센터 등 각종 인프라 센터
주: 1 USD는 약 26,342 VND(2025.10.22. 기준)
[자료: 현지언론 등 KOTRA 하노이 무역관]
수입동향
베트남 볼트, 너트 시장은 국내 생산과 수입이 병행되는 구조를 보이며, 중국·한국·일본이 주요 공급국으로 자리하고 있다. 2024년 기준 베트남의 볼트·너트(HS코드 731815) 수입액은 3억9084만 달러로, 전년 대비 10.6% 증가했다. 주요 공급국은 중국(점유율 69.5%), 한국(11.7%), 일본(5.0%), 대만(3.1%)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산 제품은 전년 대비 15.8% 증가하며 1위를 유지했고, 한국산은 9.2% 감소했으나 여전히 2위 공급국으로 자리하고 있다. 일본과 대만은 각각 5.4%, 3.7% 증가하며 완만한 성장세를 보였다. 이외에도 독일(14.3%), 싱가포르(11.4%), 인도(85.9%) 등은 수입이 증가한 반면, 미국(-21.3%)은 감소세를 보였다.
<2022~2024년 베트남의 볼트·너트(HS 7318.15) 수입동향>
(단위: US$천, %)
순위
구분
2022
2023
2024
점유율
(‘24)
증감률
(‘24/’23)
-
전 세계
374,623
353,040
390,380
100.0
10.6
1
중국
246,991
234,257
271,239
69.5
15.8
2
한국
41,418
50,407
45,774
11.7
-9.2
3
일본
23,864
18,535
19,543
5.0
5.4
4
대만
17,014
11,750
12,187
3.1
3.7
5
태국
11,672
10,395
10,964
2.8
5.5
6
홍콩
10,060
8,392
10,116
2.6
20.5
7
독일
4,959
2,907
3,323
0.9
14.3
8
싱가포르
3,699
2,919
3,253
0.8
11.4
9
인도
754
1,279
2,378
0.6
85.9
10
미국
2,733
2,547
2,005
0.5
-21.3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10.15.)]
경쟁동향
베트남 패스너 시장은 산업용 패스너를 생산하는 현지 기업과, 패스너 및 기계 부품을 함께 제조하는 글로벌 기업 중심으로 구성돼 있다. 고정밀·고강도 제품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현지 기업과 글로벌 기업 간 경쟁 구도가 형성되고 있다. 대표적인 현지 기업으로는 Lidovit, Vitviet, Song Nam이 있으며, 대형 건설 및 제조 프로젝트 납품을 통해 국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글로벌 기업으로는 OHTA(일본), Lamvien Winfull(대만) 등이 진출해 있으며, 자동차·기계 분야에 고정밀 패스너를 공급하고 있다. Marmon Fastener(미국)는 버크셔 해서웨이 계열사로, 동나이성에 공장을 임대해 현지 생산을 추진 중이다. 한국계 기업으로는 Seoul Metal Vietnam과 KPF Vietnam이 자동차 및 산업용 패스너를 생산하며, 품질 경쟁력과 안정적 공급망을 기반으로 시장 내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베트남 주요 패스너(볼트·너트) 기업>
연번
회사명
관련 지역
설립연도 / 위치
주요 내용
홈페이지
1
Lidovit
베트남
1988년 / 호치민
- 베트남 최초의 패스너 제조업체. Honda, Suzuki, IKEA 등 납품. 생산량의 약 50%를 EU로 수출
lidovit.com.vn
2
Vitviet
베트남
2010년 / 호치민
- 건설용 볼트·너트 및 자재 공급. Empire City, Saigon Center 등 주요 건설 프로젝트 참여
vitviet.com
3
Song nam
베트남
2003년 / 하노이
- 전자·기계·자동차·조선·전기·철도 등 다양한 산업용 볼트·너트 전문 유통기업
songnam.vn
4
Marmon Fastener
미국
2024년 / 동나이
- 버크셔 해서웨이 계열사로, 동나이성 공장 임대 계약을 체결하며 베트남 내 생산 확대 착수
-
5
OHTA
일본
2012년/ 동나이
- 일본 오타홀딩스 100% 투자. 나사·볼트 등 정밀 기계부품 제조 및 공급
ohtavn.co
6
Lamvien Winfull
대만
2006년 / 푸토
- 1965년 대만 본사 설립, 60년 이상 OEM 생산 경험 보유
- 자동차·오토바이·기계·전기·의료 등 다양한 산업용 패스너 제조
- VINFAST, Honda, Yamaha, Toyota 등 주요 고객사 보유
lamvien-fastener.com
7
seoul metal Vietnam
한국
2008년 / 박닌
- 한국 글로벌에스엠 자회사로, 볼트·스크류·샤프트 등 다양한 패스너류 생산
smvn.vn
8
KPF Vietnam
한국
2010년 / 하이퐁
- 한국 KPF의 현지법인으로, 볼트·너트·와셔 등 자동차 및 산업용 패스너 생산
kpf-global.com
[자료: 현지 언론 등 KOTRA 하노이 무역관]
유통구조
베트남 볼트·너트 제품은 주로 해외에서 수입돼 도매상, 대리점, 소매상을 거쳐 판매된다. 수입업체는 제품을 들여와 산업단지 내 도매상과 대리점에 공급하며, 이후 대리점이 공장, 건설사 등 주요 산업 수요처에 납품하는 구조다.
또한 일부 제품은 공구상점이나 철물점을 통해 중소 건설사, 유지보수업체, 개인 고객에게도 판매된다. 일부 중소업체는 단순 판매뿐 아니라 설치 및 정비 서비스까지 함께 제공한다. 특히 하노이 호안끼엠 거리 일대는 철물점과 공구상이 밀집해 있어, 기업이나 개인이 긴급히 제품을 확보할 때 다양한 제품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주요 도매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볼트·너트 제품은 전문 유통망과 지역 상점을 통해 전국적으로 공급되고 있다.
관세율
HS 7318은 철강으로 만든 볼트, 너트, 나사, 리벳, 와셔 등 패스너류 전반을 포괄한다. 이 중 HS 7318.15(기타 나사 및 볼트)는 외경 크기에 따라 세분되며, 주요 세부 품목인 HS 7318.15.10 및 7318.15.90에 대한 베트남의 일반 수입관세율은 약 18%로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그러나 한-베트남 FTA(VKFTA)를 활용할 경우 대부분의 패스너 품목에 무관세가 적용돼 한국 기업의 가격 경쟁력 확보에 핵심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RCEP 적용 시 약 8.8%, AKFTA 적용 시 5% 수준의 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베트남의 패스너류(HS 7318) 품목 관세율표>
HS코드
품목명
일반
AKFTA
VKFTA
RCEP
7318
철강으로 만든 나사, 볼트, 너트, 코치스크류, 나사고리, 리벳, 코터, 코터핀, 와셔(스프링 와셔 포함) 및 이와 유사한 제품
7318.15
기타 나사 및 볼트(너트 또는 와셔 포함 여부와 관계 없음)
7318.15.10
외경이 16㎜를 초과하지 않는 샤프트를 갖는 것
18
5
0
8.8
7318.15.90
기타
18
5
0
8.8
인증정보
볼트·너트 제품에 대해 별도의 전용 인증이나 허가제는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베트남 국가표준(TCVN) 기술적 기준의 역할을 수행한다. 대표적으로 TCVN 1916:1995(볼트·나사·너트의 기술요건)와 TCVN 8298:2009(조임력·토크 기준)가 있으며, 제품의 재질, 강도 등급, 치수 허용오차, 조임 방법 등이 이 표준에 명시돼 있다. 다만 TCVN은 법적 강제규정이 아닌 자율적 표준으로, 대부분의 기업은 이를 준거로 제품을 제조·검사한다.
시사점
베트남은 제조업 고도화와 산업 인프라 확충을 국가 핵심 전략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설·기계·자동차 등 주요 산업에서 볼트·너트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고정밀·고강도 제품에 대한 수입 의존이 높아 향후 기술력 중심의 고부가가치 제품 시장이 확대될 전망이다. 한국 기업은 VKFTA 무관세 혜택을 적극 활용하고, 현지 기업과의 기술제휴 및 OEM 협력을 통해 생산 거점을 확보함으로써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자료: Credence Research, GTA, 베트남 관세총국, 현지 언론 등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볼트·너트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태국 채식 축제, 신앙을 넘어 비건 소비시장으로 - K-푸드의 새로운 기회
태국 2025-10-23
-
2
고령화 시대, 중국 가정용 의료기기 시장의 도전과 기회
중국 2025-10-23
-
3
중국 보건식품 시장, 급성장 속 차별화 경쟁… 한국 기업에 新기회
중국 2025-10-23
-
4
작은 사치의 시대: 미국 소비 양극화 속 스몰 럭셔리의 부상
미국 2025-10-23
-
5
중국 이동식 스마트 스크린 시장, TV와 태블릿의 경계를 허물다
중국 2025-10-23
-
6
비용 절감이 최우선! 프랑스 저가 프랜차이즈 유통망 인기
프랑스 2025-10-22
-
1
2025년 베트남 철강 산업 정보
베트남 2025-07-07
-
2
2025년 베트남 전자산업 정보
베트남 2025-05-13
-
3
2025년 베트남 섬유의류 산업 정보
베트남 2025-04-11
-
4
2025년 베트남 자동차산업 정보
베트남 2025-04-02
-
5
2024년 베트남 전력 및 에너지 산업 정보
베트남 2024-12-10
-
6
2024 베트남 건설산업 정보
베트남 2024-11-06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