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보건식품 시장, 급성장 속 차별화 경쟁… 한국 기업에 新기회
- 트렌드
- 중국
- 샤먼무역관
- 2025-10-23
- 출처 : KOTRA
-
규제 강화 속 프리미엄 원료·기능성 제품 수요 급증
K-Beauty와 발효 기술 결합, 한국 기업에 돌파구
중국 보건식품 시장이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고령화·도시화·소득 수준 향상으로 건강 관리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가운데, 정부의 지원 정책이 산업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영향력 확대와 소비자층 세분화로 시장은 전례 없는 활기를 띠고 있다. 특히 기능성·편의성·프리미엄을 앞세운 제품들이 인기를 얻으며 한국 기업에도 새로운 기회가 열리고 있다.
정책 강화로 산업 질서 재편
중국 정부는 최근 몇 년간 보건식품 산업의 제도적 기반을 대폭 강화했다. 2025년 발표한 「중국 식품 및 영양 발전 강요(中国食物与营养发展纲要(2025–2030))」는 ‘식약동원(食药同源)’* 품목을 확대하고, 품질·안전 규제를 강화했다. 또한, 중의학 이론을 기반으로 한 약선(中医药膳) 산업 육성을 명확히 했다. 같은 해 상무부와 국가위생건강위원회 등 12개 부처가 공동 발표한 「건강소비 촉진 특별행동방안(促进健康消费专项行动方案)」은 보건식품 등록·심사 제도를 개혁하고, 신규 기능성 제품의 심사 절차를 간소화했다. 아울러 국무원 판공청의 「식품안전 전 과정 감독 강화 의견(关于进一步强化食品安全全链条监管的意见)」은 건강 효능(健康声称, Health Claim)에 대한 사전·사후 심사를 강화했으며, 2022년 「제14차 5개년 중의약 발전계획(“十四五”中医药发展规划)」은 중의약 자원을 활용한 보건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 개발을 장려했다.
* 식약동원(食药同源): 약재이자 식재료로도 활용 가능한 천연 성분
<중국 보건식품 주요 정책 요약>
정책명
발표기관 / 발표연도
주요 내용
《中国食物与营养发展纲要(2025–2030)》
중국 식품 및 영양 발전 강요(2025–2030년)
농업농촌부·국가위생건강위·공업정보화부 / 2025
식약동원(食药同源) 확대, 표준 강화, 품질 안전 규제
《促进健康消费专项行动方案》
건강소비 촉진 특별행동방안
상무부·국가위생건강위 등 12부처 / 2025
등록·심사 개혁, 신규 기능 심사 간소화
《关于进一步强化食品安全全链条监管的意见》
식품안전 전 과정(全链条) 감독 강화에 관한 의견
국무원 판공청 / 2025
효능 주장 심사 강화, 기술 연동, 전문가 합심
《“十四五”中医药发展规划》
제14차 5개년 중의약 발전계획
국무원 판공청 / 2022
중의약 자원 기반 보건식품·화장품 개발 촉진
[자료: 정부 웹사이트]
보건식품 시장 성장과 소비 트렌드
중국 보건식품 시장 규모는 2024년 4358억5000만 위안을 기록했으며, 2025년에는 4642억 위안을 돌파할 전망이다. 2019년 이후 연평균 성장률은 5.8%로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신규 기업 수도 46만 개(2019년)에서 183만7000개(2024년)로 약 4배 증가했다.
<2020~2024년 중국 보건식품 시장 규모 및 기업 수>
(단위: CNY 억, 만 개)
연도
시장 규모
신규 기업 수
2020
3,165.8
63.8
2021
3,466.6
77.3
2022
3,771.6
97.8
2023
4,069.6
158.4
2024
4,358.5
183.7
[자료: Frost & Sullivan, Ipsos, Moshang Consulting]
전문가들은 보건식품 시장을 △심뇌혈관 건강 △피부·구강 미용 △종합 영양 △골·관절 건강 △장 건강 등 5대 인기 분야로 구분하며, 성장 트랙으로는 △젊은 세대의 ‘셀프 투자형 소비’ △세분화된 효능형 제품을 꼽는다.
젊은 세대는 콜라겐 펩타이드 음료, 비타민C 복합 젤리, 발효 음료 등 피부·체중 관리 제품을 적극 소비하고, 효능 세분화 소비층은 피시오일+CoQ10 복합제, 프로바이오틱스, 아미노산 셀레늄 제품처럼 특정 건강 효능을 겨냥한 맞춤형 제품을 선호한다.
소비자는 특히 심뇌혈관 건강 제품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2024~2025년 관련 제품 매출은 약 77억 위안에 달하며, CoQ10과 피시오일(Fish Oil)이 시장의 70%를 차지했다. 36~45세 1선 도시 여성층이 주요 구매층이며, 남성은 종합 영양제 중심의 실용형 제품을, 경제력이 높은 20~40대 여성층은 프리미엄 기능성 제품을 선호한다.
유통 측면에서는 온라인 전자상거래가 시장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부상했다. 2024년 전자상거래 매출은 1048억 위안(전체 매출의 24%)에 달했으며, 2025년에는 1200억 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우인(抖音), 샤오홍슈(小红书), 티몰국제(天猫国际) 등 주요 플랫폼에서 콘텐츠 기반 판매가 활성화되며 제품 인지도와 구매 전환 속도가 크게 향상됐다.
<중국 보건식품 온라인 전자상거래 판매액>
(단위: CNY 억)

[자료: Nint(任拓)]
콜라겐 펩타이드 수입 급증… 한국 ‘프리미엄 원료국’ 부상
중국의 콜라겐 펩타이드(HS 21069090) 수입액은 2024년 약 60억 달러로, 5년 연속 증가했다. 한국은 2024년 약 2억6700만 달러(+18.1%)를 기록하며, 미국·독일·호주·홍콩과 함께 주요 프리미엄 공급국으로 자리 잡았다.
<2022~2024년 중국 콜라겐 펩타이드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국가/지역
수입액
증감률
('24/'23 기준)
2022년
2023년
2024년
총계
4,523,614
5,257,183
6,089,207
15.8
1
미국
1,151,030
1,123,974
1,410,509
25.5
2
독일
451,885
591,023
938,697
58.8
3
호주
767,253
916,677
936,204
2.1
4
홍콩
159,762
333,840
386,492
15.8
5
한국
158,366
226,010
266,820
18.1
6
네덜란드
228,654
238,617
238,396
-0.1
7
뉴질랜드
143,170
236,537
234,628
-0.8
8
영국
151,879
180,883
228,985
26.6
9
태국
188,896
203,879
164,714
-19.2
10
일본
291,196
263,279
163,492
-37.9
[자료: KITA]
액상형·복합제형이 강세를 보이는 보건식품 전시회 트렌드
2025년 제22회 중국 국제 보건식품 박람회에서는 콜라겐 펩타이드 음료, 발효 효소 제품, 피시오일+CoQ10 복합제, 아미노산 셀레늄, 프로바이오틱스, 심뇌혈관 및 면역·소화 기능 강화형 제품들이 주목받았다. 특히 액상형·복합제형 제품이 두각을 나타내며, 섭취 편의성·체감 효능이 구매의 핵심 기준으로 부상했다.
<2025년 중국 국제 보건식품 박람회 주요 제품>
세부 분야
대표 제품
주요 성분/원료
피부 관리
VC 콜라겐 젤리(VC胶原软糖)
저분자 어류 콜라겐 + 비타민C
콜라겐 펩타이드 음료(胶原蛋白肽饮)
심해 대구 콜라겐, 엘라스틴 펩타이드
체중·건강 관리
발효 음료(산사·진피·영지·인삼·사시 발효액), 효모 원료
복합 효소·발효 추출물
장 건강
D-리보스 황정분(D-核糖黄精粉)
D-리보스, 황정
피시오일+보조효소Q10 복합제(海鱼油+辅酶Q10)
오메가-3 피시오일, 보조효소Q10, 비타민E
복합 프로바이오틱스 분말(复合益生菌粉)
동물성 이중막균 BLa36, 비피도박테리움 BBi32 등
면역 강화
L-셀레노메티오닌(L-硒-甲基硒代半胱氨酸硒片)
아미노산 셀레늄
[자료: KOTRA 샤먼무역관 정리]
현지 주요 브랜드 및 기업
2016년 ‘등록·비안(备案) 이원제 개혁’ 이후, 해외 보건식품이 ‘식건자(食健字)*’를 기반으로 빠르게 시장에 진입했다. 경쟁이 격화되면서 기업들은 연구개발(R&D)·품질 중심의 프리미엄 전략으로 전환하고 있다. 특히 해외 기업들은 티몰국제·징둥(京东) 등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저비용·저장벽 방식으로 중국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식건자(食健字): 중국 식품의약품감독관리국에서 발급하는 건강기능식품 승인 번호로, 승인증서 유효기간은 5년이다. 수입 제품의 경우 “국식건자 J+4자리 연도 번호+4자리 순번'식으로 매겨진다. 해당 번호는 건강기능식품 공인 마크인 “란마오즈(蓝帽子)” 아래에 표기되며, 제품의 유일한 식별 번호로 사용된다.
<중국 시장 내 주요 보건식품 기업 현황>
회사명
주요 제품
국가
제품 이미지
Health&Happiness Group
H&H(健合)集团
히알루론산 나트륨 콜라겐 펩타이드 고형음료, 콜라겐 정제, 콜라겐·칼슘 마이크로버블 정제 등
호주
SUN SEASONS LIMITED
太阳四季健康有限公司
심해어유(Fish Oil), 보조효소Q10(CoQ10) 등 건강기능식품
이탈리아
FANCL
芳珂
과일 맛 콜라겐 음료
일본
Zhejiang Daldrem Biotechnology Co., Ltd
浙江大医德美生物科技有限公司

발효 진피 주스, 밀 펩타이드 복합 곡물 고형음료 등 제품 및 원료
중국
Henan PUREXTRACT Biotechnology Co.,Ltd
河南普惠天成生物科技有限公司
발효 시리즈 및 셀레늄 시리즈, 아연·셀레늄 캡슐, 철·셀레늄 엽산 정제 등
중국
Shaanxi Siqiang Biopharmaceutical Co., Ltd
陕西斯强生物药业股份有限公司
비타민 발포정, 탄산칼슘·낫토 비타민D3 정제, 초유 캡슐 등
중국

[자료: 각 회사 홈페이지 및 KOTRA 샤먼무역관 정리]
시사점
샤먼무역관이 인터뷰한 효소 전문기업 다이더메이(大医德美) 관계자는 한국 기업이 진출할 만한 유망 분야로 펩타이드·발효 기술·프로바이오틱스를 꼽았다. 인터뷰에 따르면, 한국은 고순도 콜라겐 펩타이드 및 기능성 원료 수출에서 강점을 보유하며, K-Beauty와 결합한 뷰티+헬스 제품 전략도 주목받고 있다. 대표 사례로는 VC Collagen Drink, 발효 인삼·과일 효소 음료, 다균주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등이 있다.
중국 보건식품 시장은 젊은 층 유입, 효능 세분화, 프리미엄화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규제 강화와 경쟁 심화라는 리스크가 있지만, 한국은 발효 기술과 펩타이드 연구력, K-Beauty 인지도를 기반으로 차별화된 경쟁 우위를 가질 수 있다. 업계는 “표준·인증 대응, 근거 기반 마케팅, 디지털 현지화 전략”을 한국 기업의 성공 요건으로 꼽으며, 지금이 중국 보건식품 시장의 프리미엄 세그먼트를 적극 공략할 적기라고 입을 모은다.
자료: 중국 정부 공식 웹사이트, Frost & Sullivan(沙利文), Ipsos(益普索), Moshang Consulting(摩熵咨询), Nint(任拓), 모징데이터(魔镜数据), Flywheel, 보관연구원(博覌研究院 / 博观研究院), 모징인사이트(魔镜洞察), KITA(한국무역협회), 각 기업 공식 홈페이지, KOTRA 샤먼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보건식품 시장, 급성장 속 차별화 경쟁… 한국 기업에 新기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태국 채식 축제, 신앙을 넘어 비건 소비시장으로 - K-푸드의 새로운 기회
태국 2025-10-23
-
2
Tall Poppy Syndrome: 호주 시장의 소비심리·트렌드 해석과 창업 가이드
호주 2025-10-23
-
3
작은 사치의 시대: 미국 소비 양극화 속 스몰 럭셔리의 부상
미국 2025-10-23
-
4
고령화 시대, 중국 가정용 의료기기 시장의 도전과 기회
중국 2025-10-23
-
5
캐나다 단백질 보충제 시장 동향
캐나다 2025-10-23
-
6
비용 절감이 최우선! 프랑스 저가 프랜차이즈 유통망 인기
프랑스 2025-10-22
-
1
2025 중국 치과산업 정보
중국 2025-09-10
-
2
2025년 중국 실버산업 정보
중국 2025-07-22
-
3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4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5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6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