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고령화 시대, 중국 가정용 의료기기 시장의 도전과 기회
  • 트렌드
  • 중국
  • 다롄무역관
  • 2025-10-23
  • 출처 : KOTRA

고령화·만성병 증가로 팽창하는 시장, 정책 지원도 지속

일본·대만 브랜드 주도 속 한국, 품질 경쟁력으로 차별화 필요

가정용 의료기기 정의 분류


가정용 의료기기는 일반적으로 병원 외부 가정에서 사용되는 의료기기로주로 검측, 치료, 건강 관리 재활을 목적으로 하며, 의료기기 제품 등록증이 필요하다중국 주민 생활 수준의 향상, 만성질환 인구 증가 인구 고령화 심화에 따라 향후 가정용 의료기기 시장은 점차 확대돼,  많은 주민이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가정용 의료기기 분류>

치료 기기

인체의 가벼운 질환 치료를 주목적으로 하는 가정용 의료기기

자석 치료기, 물리치료기, 원적외선 치료 장비, 코세척기, 흡입기 등

검측 기기

인체의 상태를 검사하는 가정용 의료기기

혈압 측정기, 혈당 측정기, 전자 체온계, 휴대형 심전도 측정기, 청진기 등

의료 재활 장비

측정, 훈련, 치료를 위한 가정용 의료기기

가정용 산소 발생기, 경추/요추 견인기, 교정기, 보청기, 욕창 예방 매트리스 등

건강 기기

건강을 유지하거나 개선하기 위한 가정용 의료기기

통증 완화 마사지 기기, 시력 개선 기기, 견인 의자, 마사지기, 성인 가정 건강 기기 등

가정 간호용품

양육, 보호, 상해 방지, 노인/환자/허약자 돌봄을 위한 가정용 기기

가정 재활 간호 보조 기기, 여성 임신기 및 영유아 돌봄 용품, 가정용 산소 공급 장비 등

[자료: 공연망(共研网)]

 

중국 의료기기 가정용 의료기기 발전 역사


중국 의료기기의 발전은 195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국가가 설립된 시기였고, 각종 산업 발전 기반이 취약한 상황이었다. 국제적으로는 각국의 의료기기 산업이 이미 초기 규모를 형성해 산업 사슬이 구축된 상태였다. 이에 따라 중국 병원 의료기기 시장은 거의 수입 제품에 의존했다의료 산업의 발전에 따라 국산 의료기기가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고, 국가도 잇달아 일련의 지원 정책을 출범해 의료기기 산업 발전을 지원했다가정용 의료기기에 대한 중요성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가정용 의료기기 시장이 확대되기 시작하며 점차 성숙해졌다.

 

<연대별 중국 가정용 의료기기 발전 현황>

발아기: 1992~1997

가동기: 1998~2007

고속 발전기: 2008~2023

대부분 제품의 기능이 불분명하고 시장 환경이 비교적 혼란스러웠음.

엄격한 의료기기 생산 시장 감독 제도가 부재함.

가정용 의료기기 산업에 대한 감독 정책이 지속적으로 구축됐음.

기업들의 제품 연구 개발, 생산, 판매 프로세스가 점차 성숙해짐.

주요 기업들이 자금 조달과 시장 진출을 통해 기업 규모를 확장하고 제품 라인을 다양화했으며, 업계 집중도가 더욱 제고됐음.

COVID-19 팬데믹으로 가정용 의료기기 판매량이 증가함에 따라 산업 발전을 촉진함.

[자료: 공연망(共研网)]

 

중국 가정용 의료기기 시장과 수요 분석


최근 년간 가정용 의료기기 시장은 일부 변동을 경험했지만, 전체적으로는 성장세를 유지하며 가지 특징을 나타냈다. 

 

<2016~2023 중국 가정용 의료기기 시장 규모 성장률>

(단위: CNY 억, %)


[자료: 중국 의료기기 블루북 2024(中国医疗器械蓝皮书2024)]

 

중국 가정용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2023 중국 가정용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2343 위안으로, 전년 대비 12.3% 증가했다. 또한, 2024년에는 가정용 의료기기가 전체 의료기기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3.0%에 달했. <2024~2029 중국 가정용 의료기기 업종 시장 수급 주요 기업 투자 평가 논의 분석 보고서> 따르면, 2025 가정용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2295 위안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며 2026년에는 시장 규모가 3000 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4 12 기준, 전국 의료기기 생산 기업 수는 3만4894개사로, 2023 말의 3만2848개사 대비 6.2% 증가했다.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연평균 복합 성장률(CAGR) 13.2% 달하며, 향후 발전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된다.

 

<2024 중국 의료기기 생산 업체 현황>

(단위: 개, %)

의료기기 종류

생산 업체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I

13,795

-11.8

17,984

4.6

III

3,115

16.7

합계

34,894

6.2

[자료: 소후망(搜狐网), KOTRA 다롄무역관 정리]

 

2024 의료기기 생산 업체 수는 3만4894개사다. 위험 등급별로 살펴보면위험 III 의료기기의 생산 업체 수는 3115개사로, 전년 대비 16.7% 성장했다. 중등위험 Ⅱ류 업체 수는 1만7984개사로, 전년 대비 4.6% 증가했다. 반면, 저위험 I 업체 수는 1만3795개사로, 전년 대비 11.8% 감소했다. 이는 의료기기 산업이 단순 장비 생산에서 고부가가치, 첨단 기술 제품군으로 성장의 중심이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분포 측면에서는 광동성(广东省) 5346개사로 전국 1위를 차지했으며, 점유율은 15.3%. 장쑤(江苏省) 산동성(山东省) 각각 4994개사와 4346개사로 뒤를 잇고 있다. 전체 성장 형세에서 구이저우(贵州, 24.2%), 티베트(西藏, 12.5%), 광시성(广西, 11.6%) 증가율이 가장 두드러지며, 다양한 성들이 의료기기 산업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지린(吉林) 닝샤(宁夏) 소수 성은 업체 수가 오히려 감소했는데, 이는 산업 발전의 불균형성을 보여준다.

 

도시별 분포 측면에서는 선전시(深圳市) 1629개사로 전국 1위를 기록했으며, 쑤저우(苏州, 1345개사) 상하이(上海, 1256개사) 각각 2, 3위를 차지했다.

 

제품 생산 가능 기업 수에 있어서는 ()별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장쑤성(江苏省) 제품 생산 기업 수는 692개사에 달해 전국 1위를 기록했다광둥성(广东省) 베이징시(北京市) 각각 448개사와 340개사로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가정용 의료기기 생산 산업의 집적화 발전 특징은 앞으로 더욱 뚜렷해질 전망이다장강 삼각주(长江三角洲), 웨강아오 대만구(粤港澳大湾区, 광동-홍콩-마카오-대만구), 징진지 환보하이(京津冀环渤海, 베이징-톈진-허베이 보하이만 권역 가지 주요 지역은 현지의 풍부한 산업 자원 기반을 바탕으로 향후 발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시장의 주요 가정용 의료기기 브랜드>

회사 명칭

브랜드 명칭

취급제품

홈페이지

1

江苏鱼跃医疗设备股份有限公司

Jiangsu Yuyue Medical Equipment&Supply Co.,Ltd.

鱼跃(yuwell), 华佗(Hwato), 金钟(JZ)

산소발생기, 전자 혈압계, 혈당측정기, 시험지

www.yuyue.com.cn

2

天津九安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Andon Health Co.,Ltd.

iHealth

혈압계, 체온계, 분무기, 혈당측정기, 태아 심음계

www.jiuan.com

3

广东乐心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Guangdong Lexin Medical Electronics Co., Ltd

乐心 LIFESENSE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www.lifesense.com

4

乐普(北京)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Lepu Medical Technology(Beijing)Co.,Ltd.

乐普 LEPU Medical

수술 소모품, 혈관조영장치, 혈압계, 혈당측정기

www.lepumedical.com

5

可孚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Cofoe Medical technology Co.,LTD

cofoe, 通慈(tongci), jerrymedical, 华舟(huazhou), babaka

전동 휠체어, 한방 물리치료기, 보청기, 산소발생기

www.cofoe.com.cn

[자료: KOTRA 다롄무역관 종합 정리]

 

가정용 의료기기 수요


중국 가정용 의료기기에 대한 수요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다.

 

1. 인구 고령화 가속화


국가 민정부 사회복지센터와 중국 사회과학문헌출판사가 2025 8 26일에 공동 발표한 <2024 중국 양로 서비스 발전 보고서>  <2024년도 국가 고령사업 발전 공보> 따르면, 2024 기준 중국 60 이상 인구는 3억1000만 명에 달해 총 인구의 22.0% 차지하고, 65 이상 인구는 2억2000만 명으로 총 인구의 15.6% 차지했다. 2035년에는 심각한 고령화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며, 2050 전후에는 60 이상 인구가 5억1000만 명, 65 이상 인구가 3억50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년 인구 비율이 끊임없이 상승함에 따라, 노년층의 건강 모니터링 치료 장비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혈압계, 혈당측정, 산소호흡기 등의 가정용 의료기기에 대한 수요가 특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 만성질환자 증가


중국의 2025 만성질환 모니터링 데이터에 따르면, 만성질환 인구는 2 명을 넘어섰으며, 그중 60 이상 노년 인구가 60% 차지했다. 만성질환 인구 , 고혈압 환자가 40%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당뇨병 환자가 25%, 심뇌혈관 질환 환자가 20% 차지했다. 주목할 점은 생활 수준의 향상과 의료 조건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만성질환의 발병률이 해마다 상승하는 추세를 보인다는 것이다. 만성질환 환자 수의 증가는 혈당측정기, 혈압계  건강 모니터링 장비에 대한 시장 수요를 촉진하고 있다.

 

중국 의료기기산업협회 가정용 의료기기 분과 양징펑(梁敬丰) 사무총장은 만성질환자가 가정용 의료기기를 사용해 자가 모니터링을 하는 것은 이미 많은 가정의 표준이 됐으며, 예상컨대 향후 10년간 가정용 의료기기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10% 이상에 달할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경쟁동향


가정용 의료기기 시장의 경쟁 구도는 비교적 치열하며, 시장에는 다양한 브랜드와 제품들이 존재한다. 현재 가정용 의료 시장은 주로 일본 대만 의료 기업이 점유하고 있으며, 일본 오므론(Omron), 일본 아네드(A&D), 대만 유성 메디칼(Yuwell), 대만 합세 메디칼(HOMEDICS), 대만 박략 메디칼(Microlife), 일본 닛세이(Nissei), 일본 파나소닉(Panasonic) 몇몇 제조사들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중국 내 가정용 의료기기 생산 유통 업체 수는 많지만, 전체적으로는 여전히 규모가 작고 분산돼 있으며, 체계가 잡히지 않은 구조를 보여주어 시장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지원 정책


최근 년간 중국 의료기기 산업은 정부의 높은 관심과 지원을 받아왔으며, 관련 정책들이 잇달아 출시돼 산업 발전을 촉진하고 있다. 인구 고령화 추세의 가속화와 의료 수요 증가에 따라 의료기기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성장해 의료 위생 시스템 구축의 중요한 구성 요소가 됐. 주요 정책 동향으로는 장비 업데이트 구형 제품 교체 촉진, 의약 위생 체제 개혁 심화, 의료기기 규제 강화 등이 있다.

 

<2024~2025 국가 기관 정책 지원 발표>

발표일시

발표 기관

명칭

내용

2024.3.

국무원

〈대규모 장비 업데이트 및 소비품 구판 환신 행동 방안〉

의료위생 기관의 장비 및 정보화 시설을 차세대로 업그레이드하고, 선진 의료 장비 발전 및 응용 수준을 대폭 향상시키며, 우수하고 효율적인 의료위생 서비스 체계 구축 강화

2024.6.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국가위생건강위원회/

국가중의약관리국/국가질병통제국

<의료위생 분야 장비 업데이트 시행 방안 추진에 관한 통지>

의료위생 기관 장비 공급 측 구조 개혁을 추진하고, 장비·시설의 조달 경로와 투자 방식을 다양화해 업그레이드 및 차세대 교체 동력 활성화

의료위생 기관 장비 업데이트 목록과 지침을 연구 및 제정하며, 의료 장비 제품 '기술 서비스 구매', 공동 구매·공유·공동 활용 등 새로운 모델 발전 탐구

2025.4.

상무부 등 12개 부처

<건강 소비 촉진 특별 행동 방안>

처음으로 ‘실버(銀髮) 시장 서비스 능력 강화’를 10대 중점 과제 중 하나로 명시

고령자 친화적 스마트 복지 제품 연구 개발, 노년 관광 전용 노선 수립 등의 조치 지원

[자료: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 NetEase, 다롄무역관 종합 정리]

 

유통 가격 현황


가정용 의료기기의 기존 판매 채널은 주로 병원과 약국이었다. 그러나 새로운 소비 형태 네트워크 경제의 부상에 따라, 현재 가정용 의료기기 선도 기업들은 약국, 전자상거래(e-commerce), 3C 가전 대형 매장 백화점 다양한 채널을 갖춘 판매 채널을 형성해 가정용 의료 신규 유통(New Retail) 시대를 열었으며, 시민들이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가정용 의료기기 제품을 구매할 있도록 했다.

 

온라인 측면에서는 B2B, B2C, O2O 모델을 중심으로, 티엔마오(天猫, Tmall), 징동(京东, JD.com), 핀둬둬(拼多多, Pinduoduo), 수닝이궈(苏宁易购, Suning.com) 중국 주요 3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진출해 온라인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오프라인에서는 체인 약국 입점, 자체 매장 개설, 의료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판매를 실현하고 있다.

 

가격 측면에서는 제품 종류, 브랜드에 따라 가격도 다르. 전체적으로 수입 브랜드 제품의 가격은 국산 제품의 가격보다 높다. 특히 고가의 가정용 의료 장비 분야에서 수입 제품 가격은 국산 제품보다 훨씬 높다. 일부 가정용 의료기기의 가격은 다음과 같다.

 

<주요 가정용 의료기기 제품과 가격>

제품명 (기업명)

이미지

규격(비고)

전자혈압계

(OMRON)

- 가격: CNY 319

- 수입산(일본)

전자혈압계

(Yuwell)

- 가격: CNY 259

- 생산지: 장쑤성 젼장(镇江)

혈당측정기

(Yuwell)

- 가격: CNY 310

- 생산지: 장쑤성 젼장(镇江)

- 비고: 혈당 측정지 200, 채혈침, 알코올 솜

가정용 혈당측정기(OMRON)

- 가격: CNY 388

- 생산지: 장쑤성

- 비고: 측정지·혈침 각 50

가정용 혈당측정기

(Roche)

- 가격: CNY 498

- 생산지: 독일

- 비고: 시험지·혈침 각 25개

가정용 혈당측정기

(CareSens)

- 가격: CNY 189

- 생산지: 한국

- 비고: 시험지·채혈침·알코올 솜 각 50

분무기

(OMRON)

- 가격: CNY 319

- 생산지: 랴오닝성 다롄

- 기기 유형: 공기 압축

분무기

(cofoe)

- 가격: CNY 228

- 생산지: 후난성

- 비고: 3단계 조절, 저소음, 2.5마이크론 미세 분사 입자

[자료: 타오바오(淘宝) 프래시숍]


중국 가정용 의료기기 발전 트렌드 시사점


시장의 가정용 의료기기에 대한 수요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지능형, 개인화, 휴대성 추세가 뚜렷하고, AI 기술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스마트 혈당측정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 또한, 원격의료 가정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도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이러한 제품들 가운데 건강 검측(모니터링) 제품이 가장 중요한 소비 시장을 구축하고 있다. 혈압계, 혈당측정기, 혈중 산소 측정기, 분무기, 물리 치료기 등의 장비는 가정 치료와 재활에 편의를 제공하며, 가정용 의료 장비 시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응용 제품이기도 하.

 

KOTRA 다롄무역관이 인터뷰한 다롄 해왕성진 의약 유한공사(大连海王星辰医药有限公司) 담당자는 현재 혈압계와 혈당측정기가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의료 장비다. 대다수의 소비자들은 오므론(,Omron), 지멘스(西, Siemens) 등의 국제 브랜드를 선택한다. 이는 소비자들이 국제 브랜드 제품의 정확도가 높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라고 밝혔다.

 

한국 브랜드는 일반적으로 품질, 혁신 디자인 측면에서 좋은 평판을 갖고 있다. 이는 한국 브랜드의 가정용 의료기기가 중국 시장에 진출할 기회가 있음을 보여주지만, 삼성, LG 등의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많은 한국 브랜드들이 중국에서 인지도가 높지 않으므로 지속적인 브랜드 구축 투자와 소비자와의 신뢰 형성을 해야 한다.



자료공연망(共研网), 소후망(搜狐网), NMPA, Taobao(淘宝), 중국정부망(中国政府网), 의료기기협회, NetEase, People's Health Net, China Business Intelligence Network, KOTRA 다롄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고령화 시대, 중국 가정용 의료기기 시장의 도전과 기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