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5년 카타르 관광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카타르
  • 도하무역관 조지훈
  • 2025-10-14
  • 출처 : KOTRA

2024년 방문객 510만 명 기록하며 관광산업 급성장

글로벌 이벤트 허브로 부상하는 카타르

이벤트 기술, 문화콘텐츠, 외식·F&B, 스포츠 웰니스 등 다각적 협력 가능성

개요


카타르는 2022년 FIFA 월드컵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중동 최초의 글로벌 메가 이벤트 유치국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를 통해 대규모 국제 행사를 세계적 수준의 조직, 보안, 환대 체계 아래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입증했으며, 약 140만 명의 방문객을 맞이해 국제적 위상을 크게 강화했다. 


월드컵 개최 경험을 바탕으로 카타르는 이벤트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부는 신설 경기장, 지하철, 호텔, 문화시설 등 세계적 수준의 인프라를 구축했으며, 이를 향후 국제 행사에 적극 활용하고자 한다. 동시에 아시안게임, FIBA 농구 월드컵과 같은 대형 스포츠 이벤트 유치에 나서고 있으며, 포뮬러 1(F1) 장기 계약 체결, UFC 대회 및 대형 음악 페스티벌 개최 등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행사도 검토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카타르 국가비전 2030(QNV 2030) 및 국가 관광 전략 2030과 긴밀히 연계된다. 정부는 관광산업의 GDP 기여도를 2022년 7%에서 2030년 12%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스포츠와 문화 이벤트를 통해 국제적 브랜드 가치를 제고하는 동시에 숙박, 유통, 교통, 기술 등 연관 산업의 새로운 성장 기회를 창출하고자 한다. 


카타르 관광 전략 2030 (Qatar Tourism Strategy 2030)


카타르 국가 관광 전략 2030(Qatar Tourism Strategy 2030)은 카타르의 경제 다각화에 기여할 수 있는 분야의 지속적인 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4년에 처음 시작됐으며, 총 3단계로 구성돼 있다. 국내 총생산(GDP)에 대한 관광 부문의 기여도를 성공의 핵심으로 삼아 가이드라인을 설정했다. 관광 인프라 개발에 집중한 전략의 첫 번째 단계는 2014~2018년까지 진행됐고, 2단계는 2018~2022년까지 시행됐다. 2단계의 초점은 인프라 확장이며, 이를 위해 세계적 수준의 도시 개발, 유명 스포츠 이벤트 및 다양한 프로젝트 개최, 교통 인프라 발전 등을 추진했다. 또한, 충분한 숙박 시설의 공급과 전 세계 트렌드에 맞게 독특한 문화 경험을 관광객들에게 제공하는 관광지로서의 이미지를 굳히려는 노력도 보였다. 


<카타르 관광 전략 2030 단계별 목표>

1단계 (2014-2018년)

2단계 (2019-2023

3단계 (2024-2030)

관광 인프라 개발을 바탕으로 방문객 유도, 호텔 및 관광 상품 개발

1단계 성과를 바탕으로 방문객 수 및 수익 증가, 관광 상품 개발, 국가 홍보 등

- 1,2단계의 성과 통합
- 카타르를 세계적 관광지로 자리매김

- 관광 산업 경제,사회,문화 발전에 기여
- 관광 상품 및 서비스 개발, 확대 

- 방문객 관리 개선

[자료: 2030 Qatar Tourism Strategy]


카타르 관광청 (Qatar Tourism)은 국가 관광 산업에 대한 새로운 정책과 지침을 감독하는 기관이다. 이와 함께 카타르 상공부는 관광에 대한 투자와 민간 부문의 성장을 장려하고, 카타르 자치 행정부는 인프라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카타르 관광청에서 세운 전략의 2단계가 마무리됐다. 해당 전략의 2단계 목표는 국가 관광산업의 카타르 GDP 기여도를 413억 리얄(약 113억 달러)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2016년 카타르의 관광산업 GDP 기여도를 3.5%로 목표한 것 대비 실제로는 0.3%p 높은 3.8%를 달성하면서 GDP 기여도가 상승하기 시작했다. 2022년 월드컵을 기점으로 6년만에 2배인 GDP 기여도 7%를 달성하였으며 2030년 12%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산업 현황 


<2018-2024년 카타르 연간 방문객 수>

(단위: 백만 명)

[자료: CEIC Data]


카타르 관광산업은 주로 인접한 걸프협력회의(GCC) 국가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 관광객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카타르는 GCC 국가 중 유일하게 사우디아라비아와 육로 국경을 접하고 있어 접근성이 뛰어나고, 이로 인해 사우디 및 UAE 국적 관광객의 비중이 높게 나타난다.


카타르 방문객 수는 팬데믹으로 인한 일시적 위축 이후 뚜렷한 회복세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방문객 수는 2020년 58만 명으로 전년 대비 72.9% 급감했으나, 2022년 255만 명으로 회복했다. 또한, 2024년에는 510만 명으로 2년 만에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이는 카타르가 국제 스포츠 및 문화 이벤트를 연속적으로 개최하며, 세계적 관광지로서의 위상이 강화된 결과로 평가된다.


관광산업의 경제 기여도 또한 확대되고 있다. 2023년 기준 관광 부문은 국내 총생산(GDP)의 10.3%에 해당하는 812억 리얄(약 222억 달러)을 기록했으며, 전년 대비 31% 증가했다. 2024년에는 908억 리얄(약 249억 달러, GDP의 11.3%)까지 확대되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고용 측면에서는 2023년 약 28만6000명이 관광산업에 종사했으며, 2024년에는 33만4500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23년 국제 관광객 지출은 604억 리얄(약 165억 달러)로 전년 대비 약 40% 증가해, 관광산업이 카타르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카타르 스포츠 대회 일정


<2025~2030년 카타르 주요 이벤트 목록>

행사

기간

장소

비고

2025 World Table Tennis Championships - Wikipedia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2025년 5월 17일~25일

루사일

대회 사상 처음으로 48개 팀이 경쟁

2025 FIFA U-17 World Cup - Wikipedia

2025 FIFA 카타르 U-17 월드컵

2025년 11월 3일~27일

도하

국제적 파급력을 지닌 행사

T16 Grandstand | 3 Day Ticket - FORMULA 1® QATAR AIRWAYS QATAR GRAND PRIX  2025 - Overview

카타르 포뮬라 1 그랜드 프릭스

2025년 11월 28일~30일

루사일

매년 정례적으로 개최되는 행사

2025 FIFA Arab Cup - Wikipedia

FIFA 아랍컵

2025년 12월 1일~18일

도하

아랍 지역 단위 토너먼트

2025 T100 Triathlon World Championship Final Doha | Visit Qatar

트라이애슬론 결승전

2025년 12월 11일~13일

도하

글로벌 철인 3종 경기 시리즈, 5년 계약

2027 FIBA Basketball World Cup - Wikipedia

2027 세계 남자 농구 월드컵

2027년 8월 27일~9월 12일

도하, 루사일, 알라얀

아랍권 최초 개최

2030 Asian Games - Wikipedia

2030 도하 아시안게임

2030년 11월 4일~ 19일

도하

대륙 규모 종합 스포츠 대회

[자료: KOTRA 카타르 도하 무역관 정리] 


이러한 일련의 행사는 카타르가 지역 대회에 그치지 않고 글로벌 규모의 대회를 유치하려는 야심을 보여준다. 아울러 지속적인 대형 국제행사 개최 일정은 카타르가 국제 무대의 주목을 받도록 하며, 연중 관광 수요를 뒷받침하는 기반이 되고 있다.


진출 전략


카타르의 메가 이벤트 유치 전략은 한국 기업에 폭넓은 기회를 제공한다. 주요 진출 분야로는 행사 운영 및 기술, 문화콘텐츠, 시설·인프라 솔루션, 외식·F&B, 스포츠 및 웰니스 연계 산업 등이 꼽힌다.


<스포츠 관광업 내 유망 분야>

연번

분야

비고

1

행사 운영 및 기술

(Event Management and Technology)

카타르는 팬 경험 확대를 위해 AR/VR, AI 기반 티켓 관리, 차세대 방송 기술 등 첨단 솔루션 도입을 강화하고 있다. 한국 기업은 이벤트 기술 분야에서 혁신성과 글로벌 경험을 보유하고 있어 카타르의 국제행사에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참여할 수 있다.

2

문화콘텐츠 및 공연

(Entertainment Content and Performances)

K팝, 영화, e스포츠 등 한국 대중문화의 세계적 인기는 카타르 문화행사와 결합할 경우 큰 시너지를 낼 수 있다. 현지 행사 기획사와 협력할 경우 양국 간 문화교류 확대와 함께 엔터테인먼트 산업 내 지속적인 협력 기반을 구축할 수 있다.

3

시설 및 인프라 솔루션

(Venue and Facility Solutions)

카타르는 기존 경기장과 컨벤션센터를 다목적 공간으로 재활용하며 첨단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한국 기업의 고품질 LED 디스플레이, 음향시스템, 스마트 시설 관리 솔루션 등이 높은 수요를 얻을 수 있다. 더불어 한국의 건축·설계 역량은 다기능·미래지향형 공간 조성에 기여할 수 있다.

4

외식·F&B 서비스

(Hospitality and F&B Services)

방문객 증가와 관광산업 성장으로 식음료 및 서비스 산업 수요도 확대되고 있다. 한국 음식,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케이터링 서비스는 카타르 호텔·쇼핑몰·관광 허브와 협업해 시장 진입 기회를 넓힐 수 있다.

5

스포츠 및 웰니스

(Sports and Wellness Integration)

카타르 스포츠 생태계의 확장은 운동시설뿐 아니라 건강·웰니스 수요를 함께 창출한다. 한국 기업의 스포츠웨어, 피트니스 장비, 스마트 건강 모니터링 기기 등은 현지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한국의 헬스케어 혁신 이미지는 병원, 피트니스센터, 선수단 훈련시설과의 협력에도 강점으로 작용한다.

[자료: KOTRA 도하 무역관 정리]


종합적으로 한국 기업은 카타르의 국제행사 유치 전략과 긴밀히 연계될 수 있다. 기술·엔터테인먼트·라이프스타일 분야에서 축적된 경쟁력을 바탕으로 카타르의 글로벌 이벤트 생태계에 기여하면서 장기적 협력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이는 단순한 단발성 사업 기회를 넘어 카타르 경제 다각화 과정에 깊이 관여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


시사점


<카타르 관광업 SWOT>

Strength    

Weakness

- 아시아-유럽권으로부 6~7시간 거리에 위치한 전략적 충지

월드컵 개최 경험을 통한 글로벌 행사 운영 역량, 첨단 인프라 및 안전성 확보, 정부 주도 장기 전략

- 교통 및 호텔 부문의 인프라 발달

- 88개국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는 등 비자 제한 완화

- 다양한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는 중급 호텔과 액티비티 부족

- 가족 단위 여행객을 위한 목적지 외의 다양한 여행지 부족

- 다른 중동 국가와 비교했을 때 관광지로서 애매한 위치

- 아 발전 중인 MICE 업, 매년 반복되는 이벤트 수가 적음

- 제한된 내수시장 규모, 고온 기후에 따른 계절적 제약, 숙련 인력 부족

Opportunity

Threats

- 도하항 확장시 크루즈선을 통해 방문하는 관광객 증가 예상

- 호텔과 레스토랑의 물품, 소모품에 대한 공급업체 납품 기회 증가

- 국제 스포츠 이벤트를 계속 개최할 예정이므로 의료 테스트 장비 및 소모품의 공급 잠재력 높음

- 카타르 정부의 전 세계적 관광 마케팅 캠페인 진행, 관광 인프라에  활발한 투자

- 국제 스포츠·문화 이벤트 증가, 관광산업 비중 확대, 중동·아프리카 지역 허브로의 부상

- 주변 국가, 특히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경쟁 치열

- 호텔 증설 계획은 향후 공급 과잉 초래 가능성

- 글로벌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  

-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불안정성, 경쟁국(사우디, UAE)과의 행사 유치 경쟁

[자료: KOTRA 도하무역관 정리]


카타르의 글로벌 스포츠·문화행사 유치는 경제 다변화와 국제적 위상 제고 전략의 일환이다. FIFA 월드컵 2022의 성공을 토대로 포뮬러 1, FIFA U-17 월드컵, 2030 아시안게임 등 다수의 대형 행사를 준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관광·인프라·서비스 산업 전반의 지속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한국 기업에 이는 중동 시장 진출의 새로운 기회다. 첨단 기술과 문화콘텐츠, 서비스 역량을 결합해 카타르 행사산업과 협력할 경우 상업적 성과뿐 아니라 문화외교적 파급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협력은 양국의 상호 보완적 강점을 기반으로 장기적·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구축하는 발판이 될 것이다.



자료: 카타르 관광청(Visit Qatar), Oxford Business Group, WTTC, CEIC Data, World Bank, 현지 주간일간지(Gulf Times, The Peninsula, Doha News), Reuters, KOTRA 도하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5년 카타르 관광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