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 신공항 개항, 물류 인프라 혁신 가속화 전망
- 경제·무역
- 캄보디아
- 프놈펜무역관 오승준
- 2025-10-10
- 출처 : KOTRA
-
캄보디아 물류 시장 성장 가속화, 물류 인프라 혁신 중
Techo International Airport 개항으로 캄보디아 하늘길 넓혀
캄보디아 물류 산업 현황
최근 몇 년간 캄보디아는 교역량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물류 산업 또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캄보디아 관세청(GDCE)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총 교역액은 약 547억4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6% 증가했으며, 수출은 261억9000만 달러, 수입은 285억4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각각 전년 대비 15.7%, 18% 증가한 수치로, 의류·신발·가죽제품·농산물·가구·고무 등 전통적인 주력 수출품의 지속적인 수출 확대와 함께 의약품·식음료·보충제 등 소비재 수입 확대가 전반적인 물류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아시아개발은행이 발간한 ‘Key Indicators for Asia and the Pacific 2025’ 보고서에 따르면, 캄보디아 물류시장은 지난 5년간 총 59%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0년 11억 달러에서 2024년 17억5000만 달러로 확대됐다. 이러한 수출 주도형 경제성장은 화물 수요 증가를 이끌었고, 지난 12년간 컨테이너 수출입 물동량은 5배 이상 확대됐다. 세계은행 역시 2030년까지 도로·항만·공항·창고를 통한 교역 물동량이 현재의 두 배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0-2024년 캄보디아 물류 시장 규모 현황>
(단위: US$ 10억)
[자료: 아시아개발은행(ADB)]
현재 캄보디아의 화물·물류 시장은 섬유·봉제 수출 증가, 특별경제구역(SEZ)으로의 외국인 직접투자 확대, 그리고 도로·항만·철도·공항 현대화를 목표로 하는 정부 마스터플랜 추진에 힘입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2022년 개통된 Phnom Penh–Sihanoukville 고속도로는 수도와 항구 간 운송 시간을 기존 5~6시간에서 약 2시간으로 단축하며 물류 효율성을 크게 높였다. 여기에 APL Logistics, DSV, Panalpina, Yusen Logistics, Evergreen Marine Corp, Sinotrans, COSCO SHIPPING 등 글로벌 물류기업의 진출이 더해지면서, 서비스 수준과 규모를 한 단계 발전하고 캄보디아 물류체계의 고도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교역 확대에 따른 물류 인프라 개선 지속
교역량 증가로 캄보디아는 물류 역량 강화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에 캄보디아 정부는 국가 경쟁력과 경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도로, 철도, 내수로 등 운송 인프라와 물류 서비스 개선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정부는 ‘Comprehensive Intermodal Transport and Logistics System Master Plan 2023-2033(CITLS 2023-2033)’을 통해 항만, 세관, 창고 등 주요 분야에 대한 투자와 제도 개혁을 체계적으로 조율하며, 수출 주도형 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도로 인프라 분야에서는 국도 3호선, 5호선, 6호선의 확장 및 개보수가 이미 완료되었다. 2022년 Phnom Penh–Sihanoukville 고속도로가 개통되고, Phnom Penh–Bavet 고속도로가 현재 건설 중이며, Phnom Penh–Siem Reap–Poipet 고속도로는 중국도로교통공사(CRBC)가 타당성 조사를 진행하여 2024년 중반 예비 보고서를 제출한 상태다. 이러한 고속도로 개발은 수도권과 국경 지역을 연결하는 핵심 축을 강화하여 물류 흐름을 한층 원활하게 하고 있다. 항만 부문에서도 대규모 개선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시하누크빌 자치항(Sihanoukville Autonomous Port, PAS)은 2029년까지 3단계 확장 계획이 진행되고 있으며, 완공 시 수심 17.5m 규모의 컨테이너 터미널을 갖추게 된다. 이를 통해 미국과 유럽의 대형 선박이 중간 환적 없이 직접 기항할 수 있게 되며, 캄보디아는 아세안 지역 내에서 경쟁력 있는 항만으로 도약할 것으로 기대된다.
Techo International Airport 개항에 따른 물류 환경 변화
1) 신공항(Techo International Airport, KTI) 개요
캄보디아 물류 인프라 개선을 대표하는 상징적 프로젝트는 바로 Techo International Airport(KTI)의 개항이다. 2025년 9월 9일 공식 개항한 신공항은 프놈펜 국제 공항(PNH)을 대체하며, 캄보디아의 새로운 항공·물류 관문으로 자리매김했다. KTI는 프놈펜 남쪽 약 20km 떨어진 Kandal 및 Takeo주 경계 지역에 건설되었으며, 총 2,600ha 부지 가운데 약 700ha가 인프라 전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KTI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4F 등급을 획득해 Airbus A380, Boeing 747-8 등 초대형 항공기의 이착륙이 가능하다.<Techo International Airport 조감도>

[자료: Foster + Partners 홈페이지]
현재 KTI는 1단계 공정만으로도 연간 약 1300만 명의 여객과 17만 5천 톤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향후 3단계 확장이 완료되면 연간 5000만 명의 여객과 100만 톤의 화물을 수용할 수 있는 거대 공항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기존 PNH의 연간 500~600만 명 여객, 10만 톤 화물 처리 규모에 비해 두 배 이상 확대된 수준이다. 또한 KTI는 118m 높이의 관제탑, 189ha 규모의 주기장, 전용 화물터미널, 22개 게이트, 20km 길이의 제방·운하, 11km 공항 연결도로 등 첨단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영국 건축회사 Foster + Partners가 설계에 참여했으며, 개항과 동시에 세계 4F 등급 공항 중 규모 부문 9위, 건축 디자인 부문 세계 상위 11위에 선정됐다.
<Techo International Airport 개요>
구분
세부사항
위치
프놈펜 남쪽 20km, Kandal·Takeo주
부지 면적
약 2,600 ha
공항코드(IATA/ICAO)
KTI / VDTI
등급
ICAO Code 4F
여객 수용
(1단계) 1,300만 명 → (최종) 5,000만 명
화물 수용
(1단계) 17만 5천 톤 → (최종) 100만 톤
활주로
(1단계) 1본(4,000m) → (최종) 3본
운영사
Cambodia Airports(VINCI)
개발사
CAIC(OCIC 및 SSCA 합작)
투자 규모
1단계 기준 약 15억 달러(부지 제외)
[자료: Ministry of Information 및 EAC News, 프놈펜무역관 정리]
2) 항공 물류 역량 확대
캄보디아 민간항공청(SSCA)에 따르면, KTI 1단계 전용 화물터미널의 연간 처리 능력은 17만 5천 톤으로 기존 PNH 대비 두 배 가까이 확대됐다. 이를 통해 쌀, 수산물, 의류 등 시간 민감형 고부가가치 수출품과 전자상거래 물류를 보다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글로벌 공급망에서의 캄보디아 참여도 또한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KTI는 단순한 공항 기능을 넘어 Intergrated Cargo Village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당 구역은 1차 화물 운영, 포워더, 창고, 지원 서비스 등을 집약한 복합 물류 허브로 설계되었으며, 장기적으로 화물 관련 시설이 단계적으로 확장될 예정이다. 환경사회영향평가(ESIA)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부터 2050년까지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이 순차적으로 확대될 계획이다.- 화물터미널: 4.30ha → 12.78ha
- 항공우편 시설: 약 0.21ha (2050)
- 포워더(2차 시설): 3.44ha → 10.22ha
- 창고 구역: 4.59ha → 9.47ha
- 집하센터: 0.30ha → 0.58ha
- MRO 시설(항공 정비 지원): 4.60ha → 5.60ha
3) KTI–PPLC 연계, 캄보디아 물류 경쟁력 강화 기대
캄보디아 정부의 Comprehensive Intermodal Transport & Logistics System Master Plan (CITLS 2023–2033)을 토대로 건설 중인 Techo International Airport(KTI)와 프놈펜 물류단지(Phnom Penh Logistics Complex, PPLC) 간 긴밀한 연계를 통해 국가 물류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PPLC는 도로·철도·항공망을 통합하는 복합운송 SuperPort로 설계되어, 집하·환적·가공 등 부가가치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캄보디아 물류체계의 핵심 인프라로 평가된다. 이 가운데 KTI는 항공 부문을 담당하는 핵심 화물 허브로, 1단계 완공 시 연간 약 17만 5천 톤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기존 공항 대비 대폭 향상된 수준으로, PPLC의 물류 서비스와 직결되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양측의 연계는 상호 보완적으로 작동한다. KTI는 증가하는 항공 물동량을 처리하며 PPLC의 집하·환적 기능을 강화하고, PPLC는 수도 외곽에 조성된 교통망을 기반으로 KTI로 향하는 화물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완공된 Ring Road-3와 신규 간선도로가 단지와 신공항을 직접 연결함에 따라 화물 운송 시간이 크게 단축될 전망이다. 결과적으로 KTI와 PPLC의 결합은 단순한 인프라 확장을 넘어 물류비 절감, 운영 효율성 제고, 수출 경쟁력 강화라는 실질적 성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는 향후 캄보디아가 아세안 역내 주요 물류 허브로 도약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시사점
캄보디아는 최근 교역 확대와 함께 물류 인프라 현대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특히 Techo Internationa Airport(KTI)의 개항은 국가 물류체계의 효율성을 높이고, 글로벌 공급망에서 캄보디아의 위상을 강화할 핵심 프로젝트로 평가된다. KTI는 기존 공항 대비 두 배 이상 확충된 화물 처리 능력을 갖추었으며, 프놈펜 물류 단지(Phnom Penh Logistics Complex, PPLC)와의 연계를 통해 집하·환적·가공 등 복합물류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국가 물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이러한 변화는 우리 기업에도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KTI의 항공화물 역량 확대는 콜드체인, 항공특송, 전자상거래 풀필먼트 등 고부가가치 분야에서 협력 가능성을 넓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캄보디아 정부가 운송·물류를 2025~2035년 민관협력(PPP) 우선 분야로 지정함에 따라, 공항·항만·도로·창고·통관 인프라 관련 사업에 참여할 기회도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더불어 설계·시공, 장비 공급, 운영 관리, 교육 훈련 등 연관 산업에서도 진출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 다만,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 특성상 공정 지연, 재원 조달, 제도 변화 등 잠재적 변수도 존재하므로, 현지 정책 환경과 프로젝트 진행 상황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자료: 아시아개발은행(ADB), 세계은행(World Bank), 캄보디아 정보부(Ministry of Information), ERM, Khmer Times, EAC News, Airport Technology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캄보디아 신공항 개항, 물류 인프라 혁신 가속화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VR·빅데이터·챗봇으로 진화하는 베트남 다낭의 스마트 관광
베트남 2025-10-10
-
2
베트남 법인소득세법 개정, 기업이 알아야 할 주요 내용
베트남 2025-10-10
-
3
[기고] 법인설립대행회사에 대한 변경사항 : 자금세탁 방지 규정 등
싱가포르 2025-10-10
-
4
[기고] 베트남 외국인투자기업(FIE)의 정기보고 의무: IRC 변경 과정에서의 중요성
베트남 2025-10-10
-
5
'세계의 약국' 인도, 제약산업 공급망 재편 나선다
인도 2025-10-24
-
6
독일 정부, 2026년 내수 중심 회복세 전망
독일 2025-10-24
-
1
2025년 캄보디아 이커머스산업 정보
캄보디아 2025-03-21
-
2
2024 캄보디아 제조업 정보
캄보디아 2024-09-11
-
3
2021년 캄보디아 농업 정보
캄보디아 2021-12-27
-
4
2021년 캄보디아 건설 산업 정보
캄보디아 2021-12-27
-
5
2021년 캄보디아 산업 개관
캄보디아 2021-12-15
-
6
2021년 캄보디아 금융산업 정보
캄보디아 2021-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