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소재 시장 동향
- 상품DB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5-09-30
- 출처 : KOTRA
-
중국의 2024년 대한 PEEK 소재 수입액, 1억7775만 달러…전년 대비 2.6% 증가하며 한국 수입국 1위 기록
중국 첨단 PEEK 소재는 수입에 의존, 2024년 중국의 PEEK 소재 수출액은 5억3600만 달러, 수입액은 6억8300만 달러로 1억4700만 달러의 무역 적자
상품명 및 HS Cod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PEEK) 소재는 내고온성과 고성능을 갖춘 열가소성 특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산업 부품 등에 사용되는 산업용 플라스틱으로, 강도, 내충격성, 내열성, 경도 및 노화 방지 성능이 모두 우수하다. 한편, 특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종합 성능이 더욱 뛰어나고 장기 사용 온도가 150℃ 이상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한 종류로, 주로 첨단 기술 분야에 활용된다. (이하 ‘PEEK 소재’로 약칭)
<상품명 및 HS 코드>
상품명
HS COD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3911.90
[자료: HS 코드망]
산업 가치사슬
중국 PEEK 소재 산업의 업스트림은 원자재(DFBP, 하이드로퀴논, 디페닐술폰, 탄산나트륨 등)를 취급하는 업체들로 구성되며, 미드스트림은 PEEK 소재(PEEK 펠릿, PEEK 분말, PEEK 유리섬유 강화 펠릿, PEEK 탄소섬유 강화 펠릿을 포함) 제조 회사로 이뤄져 있다. △자동차 산업, △휴머노이드 로봇, △항공우주, △전자 정보, △의료기기 등 PEEK 소재를 활용하는 다양한 산업군들이 다운스트림을 구성하고 있다.
<중국 PEEK 소재 산업 가치사슬>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시장 동향
기술 발전과 혁신에 따라 전 세계의 PEEK 소재 생산 기업은 기술 연구개발 및 혁신 분야에서 끊임없이 뚜렷한 진전을 이루고 있다. PEEK 소재의 성능과 품질이 지속적으로 향상되며 더 많은 새로운 응용 분야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다. 2024년 전 세계 PEEK 소재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0.9% 증가한 61억 위안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고, 2025년에는 70억 위안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0~2025년 글로벌 PEEK 소재 시장 규모>
(단위: CNY 억)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중국의 PEEK 소재 수요는 안정적이면서도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가며 시장 규모 확대를 견인하고 있다. 중상산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중국 PEEK 소재 시장 규모는 17억 위안에 달했으며, 2024년 시장 규모는 19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1.8% 증가했다. 2025년에는 20억 위안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0~2025년 중국 PEEK 소재 시장 규모>
(단위: CNY 억)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생산가능량(생산능력) 측면에서 2024년 중국 PEEK 소재의 생산가능량은 9000톤에 달했으며, 2025년에는 1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2022~2025년 중국 PEEK 소재 생산가능량(생산능력) 변화>
(단위: 톤)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수출입 동향
중국 첨단 PEEK 소재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PEEK 소재 수입액은 수출액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중국의 PEEK 소재 수출액은 5억3600만 달러, 수입액은 6억8300만 달러로 1억4700만 달러의 무역 적자를 기록했다.
한편, 중국의 PEEK 소재 수출액은 2023년부터 최근 2년간 지속 감소하고 있다. 2024년 수출액은 5억36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9% 감소했다.
<2019~2024년 중국 PEEK 소재 수출입액 및 증감률 추이>
(단위: US$ 백만, %)

* 주: HS CODE 3911.90 기준
[자료: 한국무역협회]
중국의 PEEK 소재 주요 수입 국가 및 지역은 한국, 미국, 일본 순이다. 중국의 2023년 대한국 PEEK 소재 수입액은 전년 대비 4.4% 감소한 1억7328만 달러였으나, 2024년에는 전년 대비 다시 2.6% 증가해 1억7775만 달러로 집계됐다.
<2022~2024년 중국 PEEK 소재 주요 수입 국가/지역>
(단위: US$ 천, %)
순위
국가/지역
수입액
증감률
('24/'23)
2022
2023
2024
1
한국
181,253
173,278
177,747
2.6
2
미국
170,204
136,337
143,760
5.4
3
일본
175,022
134,180
136,081
1.4
4
독일
76,998
61,866
73,836
19.3
5
인도
25,212
34,206
28,062
-18.0
6
싱가포르
10,907
7,336
19,976
172.3
7
이탈리아
13,668
9,021
15,953
76.8
8
대만
19,590
15,633
15,092
-3.5
9
베트남
15,649
16,695
13,831
-17.2
10
말레이시아
13,784
11,053
13,182
19.3
[자료: 한국무역협회]
경쟁 동향
현재 전 세계 PEEK 소재 시장에서 영국 빅트렉스(Victrex), 벨기에 솔베이(Solvay) 등의 해외 제조업체는 선발 우위 및 장기간 축적된 기술, 브랜드 영향력을 기반으로 대부분의 시장 점유율을 확고히 유지하고 있다. 중국 기업은 인건비, 원자재 공급 및 장비 측면에서 무시할 수 없는 비용 우위를 바탕으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장점을 바탕으로 중국 기업은 고가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이 더욱 뛰어난 PEEK 제품을 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산업용 수입 PEEK 제품의 가격은 보통 800~1000위안/kg인 반면, 중국 국산 동종 제품의 가격은 400~500위안/kg에 불과해 가격 우위가 뚜렷하다.
현재 주요 PEEK 소재 업체로는 Jilin Joinature Polymer(吉林省中研高分子材料股份有限公司), SINO-HIGH (CHINA)(江苏新瀚新材料股份有限公司), Shenzhen WOTE Advanced Materials(深圳市沃特新材料股份有限公司), Shandong Kaisheng New Materials(山东凯盛新材料股份有限公司) 등이 있다.
<중국 주요 PEEK 소재 기업 현황>
(단위: CNY 백만)
기업명
설립 시기
2024년
총 영업이익
홈페이지
주요 소개
Jilin Joinature Polymer Co., Ltd.
(吉林省中研高分子材料股份有限公司)
2006
277
www.zypeek.cn
- PEEK 소재의 연구개발, 생산, 판매를 일체화한 첨단 기술 기업
- 주요제품은 수지 형태의 PEEK
SINO-HIGH (CHINA) Co., Ltd.
(江苏新瀚新材料股份有限公司)
2008
419
www.sinohighchem.com
- 전문 기술을 보유하고 방향족 케톤 제품 생산에 주력하는 전문 생산업체
- 주요제품은 벤조페논 계열, 아세토페논 계열 및 기타 방향족 케톤류 제품 수십 종
Shenzhen WOTE Advanced Materials Co., Ltd.
(深圳市沃特新材料股份有限公司)
2001
1,897
www.wotlon.com
- 주로 변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합금, 변성 범용 플라스틱 및 고성능 기능성 고분자 소재의 연구개발, 생산, 판매 및 기술 서비스에 종사
- 주요제품 범주는 변성 범용 플라스틱, 5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및 특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Shandong Kaisheng New Materials Co., Ltd.
(山东凯盛新材料股份有限公司)
2005
928
www.ksxc.cn
- 주로 정밀 화학 공업 제품 및 신형 고분자 소재의 연구개발, 생산 및 판매에 종사
- 주요제품은 염화티오닐, 폴리에테르케톤케톤(PEKK) 등
[자료: Wind, 중상산업연구원, 쯔옌컨설팅(智研咨询)]
유통구조
중국의 PEEK 소재는 직접 판매, 대리상 판매, 전자상거래 플랫폼 판매의 세 가지 유통 모델을 통해 시장에 공급되고 있다. 이 가운데 직접 판매는 주로 제조업체가 선택하는 유통 채널로, 자체 영업팀을 통해 항공우주·의료 등 대형 고객을 직접 관리하고, 심층적인 맞춤형 서비스와 기술 지원을 제공한다. 대리상 판매는 폭넓은 채널 자원을 기반으로 더 많은 지역과 고객층을 아우르며 PEEK 소재의 대중화와 시장 홍보를 촉진한다. 또한, 바이두 아이차이거우(百度爱采购)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도 PEEK 소재의 주요 판매 채널로 자리 잡아 고객에게 편리한 직접 주문·구매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관세율 및 인증
HS CODE '3911.90' 기준 중국 수입 관세율 및 인증 여부는 아래와 같다.
<PEEK 소재 중국 수입 관세율 및 인증 필요 사항>
(단위: %)
HS CODE
한중FTA
RCEP
최혜국 세율(MFN)
일반 세율
인증
3911.90
0
0
6.5
45
해당 없음
[자료: 중국세관총서(中国海关总署)]
시사점
PEEK 소재는 향후 고성능화를 중심으로 지속 발전할 전망이다. 과학 기술 진보 및 제조 공정 최적화가 지속됨에 따라 PEEK 소재의 역학적 성능, 내열성 및 화학적 부식 저항성 등이 한층 강화될 것이다. 예를 들어, 강화제, 충전제 도입 또는 특수 변성 처리를 통해 PEEK 소재의 강도, 강성 및 내마모성을 크게 높이면, 고온, 고압 등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작업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PEEK 소재의 고기능화 또한 향후 발전의 핵심 방향 중 하나다. 소재 과학의 심화 연구와 기술 혁신을 통해 PEEK 소재는 다양한 산업 수요에 맞춘 특수 기능을 확보하게 될 것이다. 예컨대 기능화 변성을 통해 전기 전도, 열전도, 전자기 차폐 등의 특수 성능을 가지게 함으로써 전자 정보, 신에너지 등의 분야에서 활용도가 크게 넓어진다. 또한, 고기능화된 PEEK 소재는 의료 분야에서도 광범위하게 응용될 것으로 예측된다. 생체 적합성과 약물 완화 기능을 갖춘 고기능 PEEK 소재는 의료기기 제조에 적용돼 환자에게 더 나은 치료 효과와 삶의 질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스마트 제조와 산업 4.0의 확산에 따라 PEEK 소재의 생산과 활용은 지능화 단계로 진화할 것이다. 지능형 제조 기술을 적용하면 자동화 생산 라인, 실시간 모니터링, 빅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생산 효율과 품질이 크게 개선된다. 스마트 감지, 자가 적응, 자가 복구 기능을 갖춘 PEEK 제품을 개발하면 사용 환경 변화에 따라 성능을 자동으로 조절하며 보다 지능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중국 PEEK 산업이 고성능·고기능·지능화로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한국 기업은 단순 가격 경쟁보다 고부가가치 시장 공략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현지 연구기관 및 기업과의 공동 R&D 협력을 통해 고온·내식성 강화 소재와 의료·신에너지용 고기능 제품을 조기 상용화하고, 자동화·스마트 생산 공정을 현지에서 구현함으로써 품질과 비용을 동시에 관리해야 한다. 아울러 중국의 첨단소재 관련 정책·규제 변화를 상시 모니터링해 시장 변동 리스크에 대비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자료: HS 코드망,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쯔옌컨설팅(智研咨询), 한국무역협회, Wind, 중국세관총서(中国海关总署), KOTRA 상하이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소재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미국 접착제 시장 동향
미국 2025-09-30
-
2
중국 식당의 밀키트 활용 화제…우리 기업의 시장 진출 기회는?
중국 2025-09-30
-
3
베트남 의약품 시장동향
베트남 2025-09-30
-
4
미국 액화부탄가스 시장 동향
미국 2025-09-30
-
5
말레이시아 고추장 시장 동향
말레이시아 2025-09-30
-
6
미국 '스와이시' 트렌드, K-소스에 찾아온 기회
미국 2025-09-30
-
1
2025 중국 치과산업 정보
중국 2025-09-10
-
2
2025년 중국 실버산업 정보
중국 2025-07-22
-
3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4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5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6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