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사우디 인테리어 전시회 INDEX 참관기
- 현장·인터뷰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장성원
- 2025-09-19
- 출처 : KOTRA
-
비전2030·관광 성장에 힘입은 사우디 인테리어 시장, 지속적 확대 전망
40개국 400개사·1만 7000명 참여로 사우디 인테리어 트렌드 집약
장기적 신뢰·품질 우위가 관건…한국 기업의 전략적 현지화 필요
행사 개요
2025년 9월 9일부터 11일까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프론트 전시 및 컨퍼런스 센터에서 ‘사우디 인덱스 2025’가 개최됐다. 올해 행사는 40개국 400개 이상의 기업이 참가하고, 1만 7000명 이상이 방문했다.
<2025 INDEX EXPO 행사개요>
행사명
2025 사우디 인덱스 (INDEX)
개최기간
2025년 9월 9일(화) ~ 9월 11일(목)
개최장소
리야드 프론트 전시 및 컨벤션 센터
주최사
dmg events
참가규모
400개 이상 기업 참가, 40개국, 1만 7000명 이상 참여
전시품목
액세서리, 데코∙홈웨어, 침대∙침구, 주방∙욕실 등
홈페이지
https://www.index-saudi.com/
[자료: INDEX EXPO 공식 홈페이지, KOTRA 리야드 무역관 정리]
사우디 인테리어 시장
사우디아라비아의 인테리어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리서치 회사 Statista에 따르면, 사우디 인테리어·홈데코 시장은 2025년에 13억4000만 달러의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되며, 가구 시장 규모는 71억8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해당 시장은 2025-2030년 연평균 1.82%의 성장률(CAGR)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사우디 인테리어 시장의 성장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우선 사우디 소비자들은 지속가능성과 친환경 소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다양한 문화를 결합해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려는 소비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이후 가속화된 온라인 쇼핑 확산, 스마트홈 기술 도입, 그리고 젊고 구매력이 높은 인구 구조가 시장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더불어 정부의 건설·부동산 투자 확대와 비전 2030을 통한 관광·서비스 산업 육성 정책도 인테리어 수요를 견인하는 주요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2021년-2025년 사우디 인테리어 시장 카테고리별 매출 추이>
(단위: US$ 백만)
인테리어 세부 분야
2021
2022
2023
2024
2025
양초
110.3
111.0
111.3
108.1
115.9
카펫 및 러그
431.8
447.8
442.6
425.5
449.6
커튼
332.4
335.3
320.3
297.0
314.8
장식물
434.7
454.5
451.7
436.5
463.9
합계
1,309.1
1,348.5
1,325.8
1,267.2
1,344.1
[자료: Statista]
INDEX EXPO 현장
이번 엑스포는 액세서리, 데코∙홈웨어, 실내 시공 서비스, 침대∙침구, 주방∙욕실, 섬유, 바닥재 & 표면재, 가구 & 가정용 비품, 예술 등 9개 주요 섹션으로 구성됐다. 사우디 기업 24개 사를 제외한 376개 참가 기업 중 중국 기업이 53개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 뒤로 이탈리아(47개 사), 터키(36개 사), 홍콩(24개 사), UAE(22개 사)가 뒤를 이었다.
전시장은 다양한 부스를 둘러보며 관심을 보이는 참관객들로 활기가 넘쳤으며 Kohler, Geberit, Sedar, Moorgen 등 글로벌 브랜드들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중동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다양한 카펫 제품들과 목조 장식품도 전시돼 관람객들의 시선을 끌었다.
‘Design talks’ 콘퍼런스에서는 총 80명의 연사가 참여해 사우디 인테리어 산업의 정체성과 미래 방향을 주제로 지속가능성, 기술 혁신, Vision 2030의 영향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다. 엔터테인먼트 및 호텔 회사인 BAAN Holding의 프로젝트 및 개발 디렉터인 아야 가산 알파라즈(Ayah Ghassan Al Farraj)는 “사우디의 미래가 혁신, 지속 가능성, 문화적 정체성의 조화에 달려있다”라며, 사우디 고유의 본질을 담아내면서도, 방문객에게 몰입감을 제공하고 환경까지 고려한 책임감 있는 공간 디자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INDEX EXPO 현장 사진>

[자료: KOTRA 리야드 무역관]
<Design Talks 현장 사진>

[자료: KOTRA 리야드 무역관]
사우디 인테리어 시장 진출 전략과 과제
터키 가구 제조업체 Kolsan 기업의 Osman 대표는 KOTRA 리야드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사우디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단기적인 거래보다는 직접 보고 듣고 만지며 신뢰를 쌓는 장기적 관계(long-term relationship)가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한번의 전시회 참석으로 성과를 내기 어려우며, 정말 꾸준하게 사우디 시장을 두드려야 한다고 전했다.
그는 “사우디 인테리어 시장은 향후에도 관광 및 호스피탈리티 산업 성장에 힘입어 꾸준히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가장 큰 도전은 중국산 제품과의 가격 경쟁이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품질 우위 확보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기타 참가기업 동향
미국의 주방∙욕실 전문 브랜드 Kohler는 현장에서 말차 만들기 체험을 진행했다. 또한 다양한 수전과 물줄기가 흘러나오는 샤워 부스를 전시하며 기능성과 디자인을 동시에 강조했다. 스위스 브랜드의 NEKO Lighting AG는 벽난로 연출 제품을 전시해 따뜻하고 현대적인 공간 연출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스위스 위생 설비 제조기업인 Geberit은 전시회에서 자사 최신형 변기 플러시 기술을 선보였다. 변기 내부에 수많은 미니볼을 직접 투입한 뒤 강력한 세정력으로 모두 제거되는 과정을 시연해 현장 참가자들에게 제품의 성능을 입증했다. 강력한 세정력 뿐만 아니라 물의 흐름을 최적화한 기술적 설계가 강조됐으며 이러한 체험형 시연은 브랜드의 기술력과 신뢰도를 동시에 부각시켰다.
<말차 만들기 체험 사진>

[자료: KOTRA 리야드 무역관]
시사점
2025년 INDEX EXPO를 통해 사우디 인테리어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Osman 대표의 인터뷰에서 드러난 것처럼, 사우디 바이어와의 거래는 지속적 현존과 신뢰 관계 구축이 핵심이다. 따라서 현장 전시·체험·네트워킹을 통한 브랜드 인지도 제고와 현지 파트너십 확보가 필수적이다. 향후 한국 기업들이 현지 문화와 소비자 취향을 반영한 제품 개발과 함께, 기술력∙품질 차별화를 앞세운 전략적 진출을 통해 사우디 인테리어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넓혀가기를 기대한다.
자료: INDEX 엑스포 홈페이지, Statista, Euromonitor, KOTRA 리야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5 사우디 인테리어 전시회 INDEX 참관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K-뷰티 제품 관심 증가…일본 '도쿄 인터내셔널 기프트쇼 2025' 참관기
일본 2025-09-18
-
2
미국 컴퓨터 모니터 시장동향
미국 2025-09-12
-
3
산둥성을 중심으로 알아보는 중국의 콜드체인 산업
중국 2025-09-15
-
4
한국-세르비아 혁신 동맹을 맺다…스타트업 협력의 새로운 전환점
세르비아 2025-09-17
-
5
러시아 2025 ProSafety 참관기
러시아연방 2025-09-19
-
6
2025 멕시코 청정 에너지 전시회 참관기
멕시코 2025-09-19
-
1
2024년 사우디아라비아 석유화학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4-12-20
-
2
2024년 사우디아라비아 자동차 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4-07-09
-
3
2021 사우디아라비아 방산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14
-
4
2021 사우디아라비아 재생에너지 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14
-
5
2021 사우디아라비아 농림식품수산 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10
-
6
2021 사우디아라비아 석유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06